[전체] “도총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9)
사전(112)
- 도총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나라에서 내렸던 승려에 대한 직책 중 최고의 승직(僧職). [내용] 정확히 어느 때부터 이 명칭이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왕사 나옹(懶翁)이 선교도총섭(禪敎都摠攝)의 직명을 가졌던 것으로 보아 고려 말에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도총섭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승직(僧職) 가운데 최고 직위.정의조선시대 승직(僧職) 가운데 최고 직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ochongseop | MR표기toch’ongs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도총섭(都摠攝)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총섭 도총섭 都摠攝 팔도선교십육종도총섭(八道禪敎十六宗都摠攝), 의승장(義僧將), 남한치영(南漢緇營), 북한치영(北漢緇營), 의승군(義僧軍), 승영(僧營) 문화종교/불교 직역 대한민국 조선 오경후 ...관련어팔도선교십육종도총섭(八道禪敎十六宗都摠攝), 의승장(義僧將), 남한치영(南漢緇營), 북한치영(北漢緇營), 의승군(義僧軍), 승영(僧營)
- 북한산성도총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승군(僧軍)의 관직. [내용] 북한산성 안의 중흥사(重興寺)에는 치영(緇營)이라 하여 승병을 설치하였는데, 도총섭 1인을 두어 산성을 지키게 하였다. 도총섭은 본래 중흥사에 거주하던 승려로 임명하였는데, 1797년(정조 21)
-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팔도도총섭 팔도도총섭 八道都摠攝 승군(僧軍), 총섭(摠攝), 치영(緇營), 남북한산성(南北漢山城), 승장(僧將), 도총섭(都摠攝), 승역(僧役) 문화종교/불교 직역 대한민국 조선 오경후 ...관련어승군(僧軍), 총섭(摠攝), 치영(緇營), 남북한산성(南北漢山城), 승장(僧將), 도총섭(都摠攝), 승역(僧役)
고서·고문서(6)
- 금산(錦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474 B031474 금산 錦山 산악 大東地誌 권4 경상도 密陽 祠院 拙齋密陽人燕山主甲子被禍官獻納贈都承旨表忠祠英宗癸亥建同年賜額釋休靜字玄應號淸虛又號西山俗姓崔氏完山人宣祖壬辰倡義僧軍討倭賜國一紫都大禪師都總攝號釋惟政字離幻號泗溟又號松雲俗姓任氏豐川人官知中樞私謚慈通弘濟尊者壬辰代...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山寺設堡之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者,爲表忠都總攝,巡行諸山,董飭軍務,凡諸山堡長皆受總攝節制。凡有文報事情,勿關兵營,直報表忠祠。其有大事,總攝轉報兵營。【山堡旣定,乃選驍健之僧,以赴官軍,仍令總攝將之】 382 ~ 383쪽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民堡議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기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08년_부내면( 府內面) 1708년 부내면( 府內面) 第二十三白陽寺 기타 戶 老良僧加山山城都摠攝印輝年柒拾陸癸酉本蔚山父正兵李玉男祖正兵於屯曾 祖弼元外祖南山本新寧等乙酉戶口相准 戶 良僧恰屹年參拾貳丁巳本慶州父正兵朴會日祖正兵士仁曾祖通政大夫守龍 外祖通政大...연도_면이름1708년_부내면( 府內面) | 면이름부내면( 府內面) | 마을이름第二十三白陽寺
- 추안급국안 : 병자년(1696, 숙종 22) 체종(體宗) 신문기록{推案}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之故欲於秋間始事之矣七 覺曰吾於四月始見汝面以何情分使汝傳之乎體宗曰雖 與汝初面六兼三彦則舊日相知故使我傳之矣七覺曰所 謂傳會何樣傳令耶體宗曰非聚僧軍謀殺都揔攝之 事乎七覺曰汝言愚矣吾寺乃山城願堂而汝則山城僧欲 殺都揔攝則豈以傳令草給山城僧耶此言尤不近理矣 ○ 체종에게 매질을 더하고 칠각을...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1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기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通政大夫普軒年肆拾丙午本慶州父驛吏李奉上祖奉男曾 祖正兵乙生外祖驛吏朴加音同本密陽率上佐進迪不喩法連年貳拾 肆壬戌等壬午戶口相准 @5 戶 良僧架山山城都摠攝印輝年柒拾參癸酉本蔚山父正兵李玉男祖 正兵於屯曾祖元弼外祖忠義[衛]南山本蔚山率上佐釋心今故等 壬午戶口相准 @5 新戶 良僧法烱年貳拾柒...연도_면이름1705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二十四白陽寺
신문·잡지(1)
- 十三道都摠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에문찬이와 관오 량인이 십삼도 도춍셥을 피임 엿다더라게재일1902년 6월 3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6)
-
도총섭 / 都摠攝 [정치·법제/법제·행정]
나라에서 내렸던 승려에 대한 직책 중 최고의 승직. 왕사 나옹이 선교도총섭의 직명을 가졌던 것으로 보아 고려 말에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직명이 널리 보편화된 것은 선조 때부터이다. 이 승직은 국가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었던 것으로 조정에서 직명을 내리는 것이 상
-
북한산성도총섭 / 北漢山城都摠攝 [종교·철학/불교]
조선시대 승군의 관직. 북한산성 안의 중흥사(重興寺)에는 치영(緇營)이라 하여 승병을 설치하였는데, 도총섭 1인을 두어 산성을 지키게 하였다. 도총섭은 본래 중흥사에 거주하던 승려로 임명하였는데, 1797년(정조 21) 수원유수 조심태의 계청에 의하여 용주사(龍珠寺
-
북한지 / 北漢誌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승려 성능이 북한산성에 관하여 1745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목활자본. 1711년(숙종 37) 북한산성 축조시에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이었던 승려 성능(性能)이 도총섭의 직책을 서윤(瑞胤)에게 인계할 때 산성에 관한 14조를 지지의 형태로 기록한 책이다
-
남한치영 / 南漢緇營 [정치·법제/국방]
경기도 광주군 남한산성 안에 있었던 의승군의 군영. 남한산성은 수도의 방어를 위한 중요한 요새로, 수어청에 소속되어 있었다. 1624년(인조 2) 남한산성을 개축할 때 성 안 사찰의 의승을 모아 치영(緇營)을 설치하고, 팔도도총섭 각성(覺性)의 지휘 아래 의승군이 이
-
고양 봉성암 전성능대사 부도 / 高陽奉聖庵傳聖能大師浮屠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봉성암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성능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석조 불탑.사리탑. 시도유형문화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8호. 봉성암은 1713년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이던 성능대사(聖能大師)가 북한산성 축성 시 산성의 수비를 위하여 25칸 규모로 건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