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총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2)
- 도총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대호와 중호의 경우는 5호(戶), 규모가 적은 소호의 경우는 10호가 한 단위가 되어 왜구의 방어에 출동한 방리군의 점검을 위하여 도총도감을 설치하였으나, 오히려 개성부민에게 많은 부담을 줌으로써 1388년(우왕 14)에 이를 혁파하자는...
- 오부방리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소로 결정되었으며, 오부도총도감(五部都摠都監)에서 관장하였다. 오부방리군은 임시 모집군으로서 도성 및 그 부근을 왜구의 침입으로부터 지키며, 때로는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왜구를 격퇴하여 그 활동영역이 넓었다. 이밖에도 도성의 혼란에 따른 일반 질서유지에 동원...
고서·고문서(1)
- 근도(近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146 B031146 근도 近島 도서 근도(近島) 高麗史 권82 志36 兵2 鎭戍 恭愍王二十二年 ○五月 以倭寇近島閱城中諸戶以十戶爲一統出一人赴防五日一代○七月 以倭寇西江括城中烟戶並令赴防○閏十一月 立都摠都監括城中諸戶大中戶幷五爲一小戶幷十爲一各僉一人中東部赴東江南西北部赴西江...출처전거高麗史 권82 | 지역분류근도(近島)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도총도감 / 都摠都監 [정치·법제/국방]
, 규모가 적은 소호의 경우는 10호가 한 단위가 되어 왜구의 방어에 출동한 방리군의 점검을 위하여 도총도감을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