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체찰사” 에 대한 검색결과 49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8)

사전(3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정(議政)이 맡은 임시관직. [내용] 왕의 명을 받아서 할당된 지역의 군정과 민정을 총괄하여 다스렸다. 보통 1개 이상의 도(道)를 관할하였고, 종사관이 휘하에 있었다. 라는 직명은 고려 공민왕 때 외적의 침입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의정(議政)이 맡은 임시관직.
    정의조선시대 의정(議政)이 맡은 임시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chechalsa | MR표기toch’ech’al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517 제도 (使) 使 조선시대 전쟁이 일어나는 등 유사시에 왕명에 의해 해당 지역에 파견되어 군정과 민정을 총괄하던 임시관직. 보통 1개 이상의 도(道)를 관할하였고, 종사관이 휘하에 있었다. 외적
    유형분류제도
  • (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使 도순찰사(都巡察使), 순찰사(巡察使), 찰리사(察理使), 체찰사(體察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정일품 [정의]
    관련어도순찰사(都巡察使), 순찰사(巡察使), 찰리사(察理使), 체찰사(體察使)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지방의 군사력을 통제한 전시의 사령부.
    정의조선시대 지방의 군사력을 통제한 전시의 사령부.[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ochechalsa Bu | MR표기Toch’ech’alsa P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69)

  • 1592년 황진(黃進)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592년 11월 4일에 가 익산군수유지영을 파면시키고, 그 자리에 동복현령황진을 임명하는 차첩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1896년 고종 애통조(哀痛詔)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96 년 고종 이 전국 각지에서 궐기한 의병들을 선무하기 위해 칠로(七路)의 의병들에게 근왕군명칭을 부여하였으며 또 그들이 조정의 지시에 호응하여 김병시(金炳始) 등의 명령을 받도록 선무하는 국왕조서이다.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조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조서 | 현소장처영천 영천향교
  • 17227B017227 강화성 江華城 군사교통 世祖實錄 十一年(1465) 十一月 세조실록_11111003_002 ○使韓明澮啓: “今承命審定京畿、江華、喬桐城基, 江華城基, 以布帛尺九千四百十六尺, 喬桐城基七千四百九十尺。 兩邑民小, 築之爲難, 請待京畿號牌軍籍及徙民傳送...
    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207 B030207 군산도 群山島 도서 전라북도 承政院日記 仁祖 3年 4月 19日_021 ○李聖求, 以備邊司郞廳言使意啓曰, 忠淸道泰安郡安興鎭前洋, 南距全羅道群山島, 水路六百餘里, 風浪甚險, 故安興以下公私船卜, 致敗於此處者甚多, 而間有一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208 B030208 군산도 群山島 도서 전라북도 承政院日記 仁祖 3年 4月 19日_021 ○李聖求, 以備邊司郞廳言使意啓曰, 忠淸道泰安郡安興鎭前洋, 南距全羅道群山島, 水路六百餘里, 風浪甚險, 故安興以下公私船卜, 致敗於此處者甚多, 而間有一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주제어사전(11)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이 맡은 임시관직. 왕의 명을 받아서 할당된 지역의 군정과 민정을 총괄하여 다스렸다. 직명은 고려 공민왕 때 외적의 침입을 방어하면서 처음 등장하였다. 정1품은 , 종1품은 체찰사, 정2품은 도순찰사 등으로 부르다가 세조 때 품계에 관

  • 도순찰사 / 都巡察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재상으로서 왕명을 받들어 외방에 나간 사신. 조선시대는 ·도순찰사의 구분이 있어 정1품 재상은 , 종1품 재상은 체찰사, 정2품 재상은 도순찰사, 종2품 재상은 순찰사로 구분하기도 하였으나, 세조 때 이 구분을 없애어 도순찰사·순찰사로

  • 유충립 / 柳忠立 [종교·철학/유학]

    1572(선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잠 증손, 할아버지는 자신, 아버지는 희견, 어머니는 이현의 딸이다. 광해군의 처조카이다. 1610년(광해군 2) 별시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여 종사관, 동부승지, 공조참의,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 정분 / 鄭苯 [종교·철학/유학]

    ?∼1454(단종 2).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신중, 아버지는 이오이다. 1416년(태종 16)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우찬성, 경상도 ,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 이잠 / 李潛 [역사/조선시대사]

    1561(명종 16)∼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무신. 보 7대손, 태빈의 아들이다. 무과급제하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정철의 막료로 있었는데, 적개의병장 변사정이 그의 현명함을 듣고 청하자 부장이 되었다. 신상필벌을 강화하고 사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