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첨의사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9)
사전(81)
- 도첨의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백관(百官)의 서무를 관장하던 중앙행정관청. [내용]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과 상서성을 병합하여 첨의부(僉議府)를 설치하였는데, 1293년에 도첨의사사로 고쳤다.
- 영도첨의사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후기 도첨의사사의 종1품 관직.정의고려 후기 도첨의사사의 종1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yeong Docheomuisa sa | MR표기yŏng Toch’ŏmŭisa 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도첨의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첨의사사사(判都僉議使司事)로 고쳤다. 『고려사(高麗史)』
- 우헌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도첨의부(都僉議府)‧문하부 등에 소속된 정5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308년(충렬왕 34) 당시까지의 정6품관인 좌‧우사간을 좌‧우헌납으로 개칭하고 그 품계를 정5품으로 올리면서 비롯되었다....이칭별칭우사간
- 좌헌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도첨의부(都僉議府)‧문하부(門下府)에 소속된 정5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308년(충렬왕 34) 당시까지의 도첨의사사의 정6품관인 좌‧우사간을 좌‧우헌납으로 개칭하고, 직품을 정5품으로 올리...
고서·고문서(8)
- 원사_元史19 本紀19 成宗2 元貞二年七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768 중국 정사 원사 본기 367 충렬왕(忠烈王) 22 1296 7 元史19 本紀19 成宗2 元貞二年七月 授特進上柱國高麗王世子王謜 為儀同三司領都僉議司事 왕실, 조공책봉, 몽고식 관제, 元貞 2년은 충렬왕 22년(12...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렬왕(忠烈王) 22
- 도서(島嶼)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都僉議司使李齊賢 在元 爲書上都堂曰 竊惟 小邦始祖王氏 開國以來 凡四百餘年矣 臣服聖朝 歲修職貢 亦且百餘年矣 有德於民 不爲不深 有功於朝廷 不爲不厚 往者 歲在戊寅 有遼民甹孼號金山王子者 驅掠中原之民 東入島嶼 陸梁自肆 太祖聖武皇帝 遣哈眞扎剌兩元帥討之 會天大雪 餽餉不通 我忠憲王 命...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二十四 | 지역분류도서(島嶼)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歷史輯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小尙未盡去,弊政多所未革,送密旨令王復以王煦爲政丞,政丞盧頙知之,稱疾不出,於是復置整治都監以煦及金永旽安軸金光轍等三十餘人爲屬官,分遣使臣于諸道,整理弊政,時元奇后族弟三萬倚勢奪人田土恣行不法,都監捕杖死獄中,元征東行省理問之,放祿生等 冬十一月以王煦領都僉議司事,未幾復爲政丞,時中外大饑,煦發倉...서명歷史輯略 | 자료명高麗紀忠穆王
- 高麗破哈丹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闍干闍梨帖木兒右丞塔出等率步騎一萬三千人來助討賊王幸江華命知都僉議司事宋玢留守開京玢棄城奔入江華西京留守鄭仁卿亦逃來十七年正月賊兵將至鐵嶺【在今安邊府南】鄭守琪望風遁還鐵嶺道隘纔通一人賊下馬魚貫而登時賊飢甚及得守琪所棄資糧大饗數日鼓行而前遂踰嶺闌入交州道【卽今江原道】金炘等皆不守而走賊乃攻陷楊根城屯...서명東國兵鑑 | 저자문종(文宗, 朝鮮) 命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歷史輯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老醜鬼近前耶,王曰此老貌醜如鬼,心淸如水,諡文節 十二月以許珙爲僉議中賛洪子藩韓康爲僉議贊成事,趙仁規廉承益並知都僉議司事,康慈仁尙佛,仁規以譯語進有才局,承益無他才行惟以祈禱左教,得倖於兩宮 戊子十四年[元世祖至元二十五年]春正月以安珦爲左副承旨,珦好儒學,歷典內外,聲稱赫然 知都僉議司事廉承益免...서명歷史輯略 | 자료명習漢語
주제어사전(3)
-
도첨의사사 / 都僉議使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백관의 서무를 관장하던 중앙행정관청.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과 상서성을 병합하여 첨의부(僉議府)를 설치하였는데, 1293년에 도첨의사사로 고쳤다. 1356년(공민왕 5)에 문종 때의 구제(舊制)에 따라 중서문하성
-
내서사인 / 內書舍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공민왕 때 도첨의부의 종4품 관직. 문종 때 관제에서 중서문하성의 중서사인이 1298년(충렬왕 24)에 일시 즉위한 충선왕의 관제개혁에서 도첨의사인(都僉議舍人)으로 개칭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가 중서문하성으로 환원됨에 따라 다시
-
문하부 / 門下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최고정부기관인 중앙 관청. 중서문하성의 후신이다. 1275년(충렬왕 1)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이 합쳐져 첨의부로 일원화되었다가, 그 뒤 도첨의사사·도첨의부·중서문하성·도첨의부로 이름이 여러 번 바뀌었으며, 1369년(공민왕 18) 문하부가 되었다. 조선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