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진무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7)
- 도진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뒤에도 계속 존속시키면서 고려의 내정간섭을 본격적으로 행하는 관서로 성격이 변질되었다. 그 뒤 이문소(理問所) 등 여러 기구가 설치될 때 도진무사도 설치되었으며, 그 임무는 군사사무를 관장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임명된 관리는 원나라 조정의 지령을 받아 고려 내정...
- 도진무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원(元)나라 지배하에 설치된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산하 관서. 일본정벌을 위해 설치했으나 그 후에 내정간섭 관서로 존속.정의고려시대 원(元)나라 지배하에 설치된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산하 관서. 일본정벌을 위해 설치했으나 그 후에 내정간섭 관서로 존속.[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ojinmusa | MR표기Tojinmu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의학제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원나라가 고려에 설치하였던 정동행성(征東行省)의 속관(屬官). [내용] 설치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도진무사(都鎭撫司)ㆍ이문소(理問所)ㆍ유학제거사(儒學提擧司) 등 정동행성의 다른 속관들이 설치된 충렬왕 때일 것으로 추정된다.
- 정효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433년 사은사(謝恩使)로, 1450년(문종 즉위년) 진하사(進賀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병조판서를 거쳐 삼군도진무사(三軍都鎭撫使)에 올랐다. 1453년 (단종 1) 계유정난 때 김종서(金宗瑞) 등 중신이 살해되자 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다가 파직되었다. 의분...이칭별칭 충경(忠景)|일성군(日城君)
- 이문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명이 있었다. 정동행성에는 다른 행성과 같이 이문소, 도진무사(都鎭撫司), 유학제거사(儒學提擧司), 의학제거사(醫學提擧司), 권농사(勸農司)라는 부속 관서가 있었다. 그 중 이문소는 대원관계 범죄를 다스리는 임무로 출발하였으나 차츰 부원세력(附元勢力)을 규합하...
고서·고문서(4)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水沈永廢之地, 亦令徵稅, 甚至墓入陳樹木成林處, 亦皆白地徵稅, 比諸白骨徵布, 豈不有甚乎? 若令矯革此弊, 隨起隨稅, 則民可蒙實惠矣。 上曰, 俄已下敎於楊牧所達矣。 禹齊曰, 富平, 乃江都鎭撫使前營將也。 有束伍軍七百名, 脫有緩急, 可以得力, 而又有摠戎廳收米軍六百餘名。 故慮其收米...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0151 B010151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年 2月 12日_029 ... 亦皆白地徵稅, 比諸白骨徵布, 豈不有甚乎? 若令矯革此弊, 隨起隨稅, 則民可蒙實惠矣。 上曰, 俄已下敎於楊牧所達矣。 禹齊曰, 富平, 乃江都鎭撫使前營將也。 有束伍軍七百名, 脫有緩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不飭。 此條件勿爲申目, 直爲勿施, 當該府使, 從重推考, 道臣亦爲推考。 出榻敎 若魯曰, 機張鎭請屬於萊府事, 萊伯自是迂儒, 故不知而有此仰請矣。 上曰, 江都鎭撫使, 自金慶德創設乎? 若魯曰, 似然矣。 上曰, 創設運餉使, 非爲義州, 蓋爲皇都而設也。 若魯曰, 軍餉事爲難, 故以運餉...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원문류_元文類41 軍制 世祖卽祚建官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531 중국 문집 원문류 011 기타 元文類41 軍制 世祖卽祚建官位事侍衛則有左右前後中諸衛衛設親軍都指揮使外此則萬戸之下置總管千戸之下置總把百戸之下置彈壓總以樞密院皇太子兼樞宻使節制天下兵方面有警則置行樞密院事巳則廢而移都鎭撫司屬行省命長官一二人領之萬戸千戸百...국가중국 | 서명원문류 | 왕대기타
주제어사전(2)
-
도진무사 / 都鎭撫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원나라 지배하에 설치된 정동행중서성 산하 관서. 원나라 세조는 일본을 정복하기 위하여 개경에 행성을 설치하고 그 사무를 관장시켰다. 그 뒤 이문소등 여러 기구가 설치될 때 도진무사도 설치되었다. 임무는 군사사무를 관장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임명된 관리는 원
-
정효전 / 鄭孝全 [종교·철학/유학]
?∼1453(단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진. 태종의 딸 숙정옹주 부마, 1422년(세종 4) 일성군에 봉하여졌다. 1433년 사은사로, 1450년(문종 즉위년) 진하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병조판서를 거쳐 삼군도진무사에 올랐다. 1453년 (단종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