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진무” 에 대한 검색결과 1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8)

사전(7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말 조선초에 설치되었던 군직(軍職). [내용] 고려말의 원수나 도순문사 등과 같은 장수들의 밑에는 대개 의 직이 두어졌는데, 는 그가 소속된 장수의 막료로서 군기(軍機)에 참여하고 군령을 전달하며, 제반 군사업무를 총괄하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로 복설되면서 의 직명이 다시 나타난다. 모두 3인을 두어 각기 일군(一軍)을 전담하게 하였는데, 혼자서는 벅차다고 하여 모두 6인을 두기도 하였다. 가끔 문신으로 임명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대개의 경우 무신이 겸임관으로서 충당되었다. 삼군진무소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뒤에도 계속 존속시키면서 고려의 내정간섭을 본격적으로 행하는 관서로 성격이 변질되었다. 그 뒤 이문소(理問所) 등 여러 기구가 설치될 때 사도 설치되었으며, 그 임무는 군사사무를 관장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임명된 관리는 원나라 조정의 지령을 받아 고려 내정...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원(元)나라 지배하에 설치된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산하 관서. 일본정벌을 위해 설치했으나 그 후에 내정간섭 관서로 존속.
    정의고려시대 원(元)나라 지배하에 설치된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산하 관서. 일본정벌을 위해 설치했으나 그 후에 내정간섭 관서로 존속.[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ojinmusa | MR표기Tojinmu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총관(都摠管),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이규철 [정의] 조선 태종대 설치되었던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관련어도총관(都摠管),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고서·고문서(49)

  • ○兵曹據都體察使韓明澮啓本啓"咸興府率軍官二人留鎭,本府者事變寢息,不可虛費糧餉,請姑罷軍官. 訓戎·童關·高嶺諸鎭已改號僉節制使,請令率軍官三人赴防."從之.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使韓明澮啓本啓"咸興府率軍官二人留鎭,本府者事變寢息,不可虛費糧餉,請姑罷軍官. 訓戎·童關·高嶺諸鎭已改號僉節制使,請令率軍官三人赴防."從之.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행정 외교 ○咸吉道都節制使馳報曰"九月二十六日, 兀狄哈三千餘兵,來圍慶源邑城,判官李伯慶及護軍牛安德等分出夾攻,斬首三級,趙石岡領兵而到,賊稍却. 石岡入城,整軍而出,追至豆滿江相戰,賊涉江日已暮,我軍未得追,乃還."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군사 ○咸吉道都節制使據慶源僉節制使李澄玉呈馳報曰"今五月十三日午時, 嫌進兀狄哈百餘名,境內阿山地面突入作賊, 高郞岐伊留防軍與戰. 澄玉領金得海等八名,馳至擊之,賊退北. 澄玉追之,管下人金乙信射獲一級,賊人中箭者二十三名,仍奪賊人鞍子三面·馬三匹.我軍中箭者亦十餘人."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汝等惟善養幼子遂自縊而死欣然若不以死爲難者年二十七 良人扈從返無期義子零丁幼且癡撫育眞能如已出生平母虧 逃難全身計已窮幼兒金幣付家僮自治喪具從容死千載爭欽烈婦風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국방]

    고려말 조선초에 설치되었던 군직. 1389년(공양왕 1) 도순문사가 도절제사로 개칭된 이후 도절제사 밑에도 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때 같은 라도 양계 도절제사의 는 정3품인 상호군 이상으로 임명하는 경우가 많았고, 남도에서는 조선 세조초에 와서야

  • 사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원나라 지배하에 설치된 정동행중서성 산하 관서. 원나라 세조는 일본을 정복하기 위하여 개경에 행성을 설치하고 그 사무를 관장시켰다. 그 뒤 이문소등 여러 기구가 설치될 때 사도 설치되었다. 임무는 군사사무를 관장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임명된 관리는 원

  • 수군우후 / 水軍虞候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도의 수군절도사를 보좌하는 정4품의 외관직 무관. 수군도안무처치사(水軍都安撫處置使)가 세조(世祖) 12년의 관제개혁 때에 수군우후(水軍虞候)로 개칭되었다. 수군우후(水軍虞候)는 충청도, 전라좌·우도, 경상좌·우도의 5수영(水營)에만 있었으며, 그 소임

  • 도총관 / 都摠管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오위도총부의 정2품 무관직. 1409년(태종 9) 삼군진무소가 설치되고 1457년(세조 3) 오위진무소로 개칭되었다. 이 책임자를 라 하였다. 오위진무소는 1466년(세조 12) 오위도총부로 바뀌면서 가 도총관으로 바뀌었다. 도총관의 수는 5인

  • 부총관 / 副摠管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도총부의 종2품관직. 1457년(세조 3)에 삼군진무소가 오위진무소로 개칭되었다. 1466년(세조 12) 이 진무소가 오위도총부로 바뀌면서 가 도총관·부총관으로 바뀌었다. 부총관의 수는 5인으로 문·음·무의 고급관리가 겸하였으니 대개 종실 등이 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