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8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이정병
- 궁방전
- 신성하
- 김상헌
- 심지원
- 김해하자마농장소작쟁의
- 안동풍산소작인회
- 암태도소작쟁의
- 전주백인기농장소작쟁의
- 권상유
연구성과물(6,719)
사전(1,259)
- 도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子君承襲嫡長曾孫)에게 정3품 당하관 정을 초수(初授 : 처음으로 제수)하고, 여기에서 승품(陞品 : 품계가 오름.)하여 도정에 오르도록 규정했으며 정원은 없었다. 돈녕부의 도정은 1470년(성종 1) 4월 관제 개혁 때 본래 첨지(僉知)를 개칭한 것으로 정원은...
- 도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위한 방법이었다. 즉 도조법은 풍년일 경우에는 소작인들에게 유리하였으나, 흉년에는 소작들에게 남은 몫이 없거나 적어서 타격을 주게 되었다. 이 때문에 1833년(순조 33)에는 대규모의 항조운동이 일어났고, 그 결과 도정제도가 고안되었다. 그래서 1841년(헌종...
- 도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호국의 승려이다. 승병들을 이끌고 구월산으로 가 동정을 엿보던 중 왜적의포로가 된 금강산 승려를 만나게 된다. 이에 승려로 하여금 성으로 들어가 왜적들의 음식에독을 탄 후 성문을 열도록 시킨다. 그리고 중독된 적들을 무찔러 큰 승리를 거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도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46년에 발표된 지하련(池河蓮, 1912-?)의 단편소설.정의1946년에 발표된 지하련(池河蓮, 1912-?)의 단편소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ojeong | MR표기Toj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도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종친부‧돈령부‧훈련원에 속하여 종친, 외척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정삼품 벼슬정의종친부‧돈령부‧훈련원에 속하여 종친, 외척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정삼품 벼슬 | 문광부표기Dojeong | MR표기Toj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논문(3)
- 習近平時代的中國朝鮮半島政策 [동북아 지역연구 속의 한국학 교육자와 차세대 육성 및 대만 내 한국학 연구 정립 사업 | 국립정치대학교]저자 : 劉德海(유덕해) | 게재정보 : 韓國學報유형논문
- 하가점 하층문화의 최근 조사 성과-적봉 이도정자유적을 중심으로- [고조선문명의 학제적 연구 | 울산대학교]저자 : 백종오(한국교통대학교) | 게재정보 : 고조선단군학 32권, 게재일 : 2015.06유형논문
- 푸틴 제3임기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 분석 普京第三任期俄羅斯的朝鮮半島政策分析 [중한 전략적 동반자 협력관계 시각에서 복합형 한국학 인재 양성 모델 추진방안 | 遼寧大學 (Liaoning University)]저자 : Zhang DongMing | 게재정보 : Journal of Yanbian University
고서·고문서(4,259)
- 二道井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李海應, 『薊山紀程』 제4권,復路, 갑자년 2월 25일(을유) 『薊山紀程』 갑자년(1804, 순조 4) 2월 25일(을유) 1804 二道井 壯元橋 壯元橋 方士村 瀋陽 二道井 지리 외교 ...출처전거『薊山紀程』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도정절집(陶靖節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華容途打令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557 잡가 가집 16002 1934년 이후 이왕직 아악부 필사본 華容途打令 [145] 쵹한 셩들아 젹벽강 싸흠 가자 한죵실 유현덕이 하구에 진을 치고 즁군에 제갈공명 긔하장 마리요 젼션장 죠자룡이 후군장 방사원이 좌선봉 관운...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六大島打令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976 신민요 C.40786―A, C.40786―B 1937년 콜롬비아 레코드 六大島打令 〈a〉高馬夫 作詩〈/a〉 〈co〉洪秀一 作曲〈/co〉 〈ar〉奧山貞吉 編曲〈/ar〉 〈s〉姜弘植〈/s〉 〈b〉伴奏 콜럼비아 管絃樂團〈/b〉 〈pic〉사...구분신민요
- 華容途打令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630 잡가 雅樂部歌集 16003 1934년 이후 이왕직아악부 필사본 華容途打令 [63] 쵹한 셩들아 젹벽강 싸흠 가자 한죵실 유현덕이 하구에 진을 치고 즁군에 제갈공명 긔하장 마리요 젼션장 죠자룡이 후군장 방사원이 좌선봉 관...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구술자료(23)
- 세도정치와 등신군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역사의 흐름에 대한 비판적인 논리를 곁들여 가며 이 이야기를 비유적으로 제시하였다. *조사일시1979-10-04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2동 | 제보자배상오
- 정원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시절과 해방 3. 해방 이후 진주한 소련군 및 토지개혁 4. 중학교 시절 건국사상총동원운동 경험 5. 1947년 7~8월 월남 실패 및 재차 월남 시도 6. 만주와 북조선에서 있을 때 생활 7. 월남, 그리고 6.25전쟁 발발 전후로 서울 생활 8. 전쟁 와중 학도정훈구술자정원근 | 직업무직 | 지역황해도
- 충청북도 괴산군_1. 진방아 2. 중거리 방아 3. 짧은 방아 4. 잘하네 못하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북도 괴산군 칠성면 도정리 1988.6.16 素88-6-16③B 박연봉 박연봉(1919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1, 2, 3 .호미로 아시매기 때의 방아소리 류 4. 잘하네 못하네 형의 이듬매기 소리 멕받형(선후창) 1. 아 - - , 아 - - 오 -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도정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강원도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강원민요 강원도정선아리랑 정선아라리 화전할때부르는노래 자장가 강릉오돌또기 농두소리 산유가 두레질할때부르는노래 소몰이소리 놀량사거리 산타령 구나라타령 농부가 시집살이 새로시집간새애기노래 1962-08-11,1963-08-22,1966-06-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봉식
- 강원도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강원민요 강원도정선아리랑 정선아라리 화전할때부르는노래 자장가 강릉오돌또기 농두소리 산유가 두레질할때부르는노래 소몰이소리 놀량사거리 산타령 구나라타령 농부가 시집살이 새로시집간새애기노래 1962-08-11,1963-08-22,1966-06-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태호
기초학문(42)
- 전후 일본의 독도정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현대송, 게재일 : 201466512 현대송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학회 2014 전후 일본의 독도정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세종대 대마도정벌의 군사적 전개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일환, 게재일 : 201242448 김일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세종대 대마도정벌의 군사적 전개과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2
- 1940년 전후 서정주의 시적 도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2465 한국연구재단 한국시학회 2015 1940년 전후 서정주의 시적 도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권위주의시대의 제도정치의 전개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인권, 게재일 : 200404369 전인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04 권위주의시대의 제도정치의 전개과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세도정치기 산림의 현실인식과 대응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8084 한국연구재단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8 세도정치기 산림의 현실인식과 대응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707)
- 鉄道停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의텰도 역를 일이명식이 역더니 슈일젼붓터 졍역이 되엿더라게재일1902년 6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間島情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간도란곳은 두산뒤로 나려가는 두만강 상류란 강슈건너편이니 이편으로는 무산과 죵셩을 졉야 온셩지 신 뎌편으로 만쥬 길림을 졉고 쟝광으로 말지경이면 기리는 이십여리오 광은 일십여리니 도합 면젹이 삼쳔일오십방리더라게재일1903년 3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田島貞次(田島貞次)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田島貞次(田島貞次) 서울 田島貞次 田島貞次 黃金町 4-218 건축재료 - 타일 소매 2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田島貞次(田島貞次) | 지역서울 | 품목건축재료 | 영업종목타일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緊急決議案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247 1946 2 4 1 1 緊急決議案 신문 동아일보 1면 2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過渡政府樹立 A19460204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匪徒偵探費支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츙북관찰 리호셩씨의 뎐보를 인야 탁지부에 죠회고 도 각군 비도가 창궐바 뎡탐비 오환을 급쇽히지라 고로 탁지부에셔 위션 이환을 지츌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
- 허정을 수반으로 하는 과도정부가 출범하였다. 허정이 주요 인사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다. 아울러 국회에서 국회의원들이 회의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0년 5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허정 과도정부 수반이 주요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하는 모습이다.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반공정책 강화 2. 부정선거 책임자와 시민들에게 불법적 폭력을 행사한 자만 처벌할 것 3. 비민주적인 통치하에 제정된 법 폐지 4. 한미관계를 개인적, 정치적인 목적으로 활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0년 5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기타자료(424)
- 도정칠;都正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49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도정칠;都正七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도정;金道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13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2면 김도정;金道珽 제14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도정호;都定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365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2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2) 제12회(1922년) 도정호;都定浩 경기 고양군 숭인면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도정원;都廷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349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9면 도정원;都廷元 제3회 1943년 3월 1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도정원;都廷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87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3면 도정원;都廷元 제3회 1944-03-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正祖學' 총서- 正祖의 文/ 正祖의 武 / 正祖의 禮/ 正祖의 法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호 | 경인교육대학교 | 2015 | 국내 | 인천
-
한국 근대화의 사상적 동력 : 근대 조선과 대한민국 건국기까지의 거대 담론들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황태연 | 동국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80)
-
도정 / 都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종친부와 훈련원에 설치된 정3품 당상관직. 훈련원의 도정(都正) 2원 가운데 1원은 녹관으로서 관아의 실질적인 최고 책임자였다. 종친부와 돈녕부에만 둔 정3품 상위직으로 도정(都正)을 거치지 않고서는 봉군이 안되는 종반 중의 화직으로 왕의 특지가 있어야
-
도정 / 都定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소작료 산정 및 징수방법. 매년 작황을 조사하여 일정액의 소작료를 산정하던 방법으로, 주로 궁방전의 소작지에서 행하여졌다. 이는 조선 후기에 정액지대인 도조법(都租法)이 행해지면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
도정사 / 都正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전곡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서. 1014년(현종 5)에서 1023년까지 존속하였다. 1014년에 무신 김훈·최질 등이 난을 일으켜 권신 황보유의·장연우 등을 축출하고 실권을 장악하였다. 이와 함께 일련의 제도개혁을 실시하였는데 이때 종전의 삼사를 도정사로 바
-
도정산 / 渡正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상온포리의 북서쪽 연사군과의 경계에 있는 산. 도정산의 높이는 2,200m이고, 관모봉(冠帽峰, 2,541m)ㆍ입석산(立石山)ㆍ남하석산(南下石山)과 더불어 함경산맥 동북쪽에 솟은 고봉으로서 무산군ㆍ경성군의 분수령을 이룬다. 약 10㎞에 걸쳐서 북쪽으로
-
도정서원 / 道正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도정리에 있었던 서원. 1700년(숙종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탁(鄭琢)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86년(정조 10)에 정윤목(鄭允穆)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