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절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5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4)

사전(36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樞)로서 임명된 듯하다. 이전의 도순문사는 본래 군사지휘관의 성격을 가지는 외관이었지만 공민왕 후년부터 민사(民事)도 함께 관장하였으므로 그 후신인 역시 군사‧민사 모두를 관장하였다. 또한 1388년(창왕 1)에 남도(南道)의 안렴사(按廉使)가...
  • (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使 도체찰사(都體察使), 체찰사(體察使) 절제사(節制使) 도순문사(都巡問使), 병마(兵馬使), 수군도만호(水軍都萬戶), 수군도안무처치사(水軍都按撫處置使), 수군(水軍使) 정치행정/관직...
    상위어도체찰사(都體察使), 체찰사(體察使) | 하위어절제사(節制使) | 관련어도순문사(都巡問使),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 수군도만호(水軍都萬戶), 수군도안무처치사(水軍都按撫處置使), 수군도절제사(水軍都節制使)
  • 수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 각 도의 수군을 통솔 지휘하던 정3품의 서반 외관직.
    정의조선 전기 각 도의 수군을 통솔 지휘하던 정3품의 서반 외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ugun dojeoljesa | MR표기sugun tojŏlche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수군(水軍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군 수군 水軍使 (使), 도체찰사(都體察使), 병마(兵馬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경기좌·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황해도, 안동도 조선 조선 김경옥
    관련어도절제사(道節制使), 도체찰사(都體察使),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
  • 병마(兵馬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병마 병마 兵馬使 관찰사(觀察使), 영(使營),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1389년(공양왕 1) 1466년...
    관련어관찰사(觀察使), 도절제사영(都節制使營),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고서·고문서(222)

  • 군사 외교 ○庚子/平安道使馳報"兀良哈四百餘騎寇閭延,我軍與戰十餘次,勝負未決."上召三議政,議備禦策,皆啓曰"若更有賊變,則堅壁固守.本郡士馬及留防軍未能以守,則選江界道軍士驍勇者,輪番赴防.且閭延在極邊,雖有賊變,使不及赴援.今後江界使領兵赴急,使勿令行兵....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1425년 조흡(曺恰)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25년(세종 7) 6월 6일에 조흡을 정헌대부 우군도총제 부총제로 임명한다는 내용이다. 수취자인 조흡은 조선태종대의 무신으로, 경차관, 우군첨총제, 전라, 영길도도순문사, 평안, 도총제 등을 역임하였다. 1425년에 받은 고신 외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 송성문
  • 1406년 조흡(曺恰)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06년(태종 6) 7월 13일에 조흡을 가선대부 좌군도총제 부동지총제로 임명한다는 내용이다. 수취자인 조흡은 조선태종대의 무신으로, 경차관, 우군첨총제, 전라, 영길도도순문사, 평안, 도총제 등을 역임하였다. 1406년에 받은 고신...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1409년 조흡(曺恰)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09년(태종 9) 8월 10일에 조흡을 가정대부 중군도총제 부총제겸판군기감사로 임명한다는 내용이다. 수취자인 조흡은 조선태종대의 무신으로, 경차관, 우군첨총제, 전라, 영길도도순문사, 평안, 도총제 등을 역임하였다. 1409년에 받...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동국대학교 박물관
  • 75729 B07572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文宗實錄 元年(1451) 六月 문종실록_10106005_002 ○左贊成金宗瑞嘗啓: “火車, 實禦敵利器, 固宜多造, 然積之歲久, 則或至齟齬, 可令備材善乾, 臨時加造。 於兩界防禦緊要處及下三道使營, 亦宜造作預習。 上曰: “...
    출처전거文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고 동 사업지구내에 포함되어 있는 병영성지 일부에 대한 학술적인 발굴조사를 실시해 줄 것을 당관에 의뢰하였다. 병영성이라는 이름은 조선 초기 이 곳에 경상좌도병마영이 자리한데서 생긴 것이며 열마 전까지만 해도 병영면, 병영동 등의 지명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발행연도1986 | 발굴기관동아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주제어사전(14)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양계지역에 파견되었던 외관직. 1389년(공양왕 1)에 도순문사(都巡問使)가 개정된 것이다. 그 후 1390년(공양왕 2)부터는 양계에도 도관찰출척사를 두고 를 겸임하도록 하였으며, 고려가 멸망하기 3개월 전인 1392년 4월에 전국의 도관찰출척

  • 도진무 / 都鎭撫 [정치·법제/국방]

    고려말 조선초에 설치되었던 군직. 1389년(공양왕 1) 도순문사가 로 개칭된 이후 밑에도 도진무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때 같은 도진무라도 양계 의 도진무는 정3품인 상호군 이상으로 임명하는 경우가 많았고, 남도에서는 조선 세조초에 와서야

  • 번상 / 番上 [정치·법제/국방]

    정군이 일정한 기간의 당번근무를 위해 서울에 올라오는 일. 세종대(世宗代)에 중앙군의 양적 확장과 번차수 증가가 이루어지고, 문종대(文宗代)에 하번 중앙군이 모두 거주지에 녹적되어 (使)가 장악하면서 번상(番上)의 체제가 완전히 갖추어졌다.

  • 절제사 / 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에 파견되던 관직. 병마는 1466년(세조 12) 병마절도사로, 수군는 1420년(세종 2) 수군도안무처치사로 직함이 변경, 1466년 수군절도사로 각각 개칭되었다. 2품 수장(守將)으로서 변방에 파견되던 병마절제사는 1455년 전국을 군

  • 병마절제사 / 兵馬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3품 수령이 겸대한 서반 관직. 조선 초기 양계에는 군익도(軍翼道)가 편성되어 있었고, 그 군사책임자 직함이 도병마사··병마절제사 등으로 일정하지 않던 것을 1415년(태종 15) 병마절제사로 통일하였다. ≪경국대전≫의 규정에서는 경주와 전주의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