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자” 에 대한 검색결과 14,4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277)

사전(2,17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院)에 를 전문적으로 만드는 장(匠)을 두었고 를 전문적으로 거래하던 전도 있었다. 길이는 편의에 따라 조절하였다. 칼이나 칼집에 장식이 없는 것을 , 은으로 만들거나 장식이 있는 것은 장도(粧刀)라 하였다.
    이칭별칭주머니칼
  • TD_E2_D_0553 관직 來朝, 子孫, 蕃盛, 星主, 王子 新羅, 耽羅 高厚兄弟 古記 D_17_01_33 대동운부군옥 17권 1장 3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1장 3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토기와 기는 점력(粘力)을 갖춘 가소성(可塑性)이 있는 질[胎土]로 형태를 만들고 이것을 불에 구워낸 것이다. [내용] 토기를 만들려면 점력을 가진 흙이면 대체로 질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토기를 구워내는 화도(火度)는 600℃ 이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9(명종 14)∼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지지(至之). 호는 복재(復齋) 또는 양심헌(養心軒). 영산현 온정리(靈山縣溫井里)에서 출생. 아버지는 공조참의(工曺參議)에 추증된 석경(...
    이칭별칭 지지(至之)| 복재(復齋), 양심헌(養心軒)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예전에 를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장인. 는 작은 칼, 창칼, 소도(小刀)를 말한다. 匠盧應祿裵業李難金銅匠鄭義賢, (책례1651/037ㄱ12~13)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단행본(9)

  • 토기와 기: 한국 기 문명사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
    저자 : 김종일, 권오영, 장남원, 한혜선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428
    한국의 토기와 도자기문화의 발전 과정을 기존과는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성형기법, 산지 추정, 사회적 기능 및 역할과 고유의 미감을 포착하는 것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문명사적 관점에서 토기 및 도자기 제작기술이 여타 다른 분야의 제작에 끼친 영향에 대...
  • 기로 보는 조선왕실문화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
    저자 : 방병선...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30
    유형단행본
  • 월남 이상재 평전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 지도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저자 : 김권정 ... | 출판사 : 도서출판 이조 | 출판일 : 20211130
    이 책의 목적은 개화기와 대한제국기,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월남 이상재의 일대기를 소개하고 그의 지도력이 근대전환기 한국역사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다. 19세기후반에서 20세기 전반 동아시아의 패권이 중국에서 일본으로 넘어가는 전환의 시기에 월남 이상재가 국내외 ...
  • 우남 이승만 평전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 지도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저자 : 이택선 ... | 출판사 : 도서출판 이조 | 출판일 : 20210530
    이 책의 목적은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 미군정 시기를 거쳐 대한민국 제1, 2공화국까지 활동한 정치지도자 이승만의 일대기를 소개하고 그의 리더십이 한국 정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이승만의 ‘카리스마 리더십’이 어떻게 탄생하고 발전하는지, 그리고 종국...
  • 백암 박은식 평전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 지도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저자 : 노관범 ... | 출판사 : 도서출판 이조 | 출판일 : 20210530
    박은식은 격동기의 거인이었다. 황해도 시골 선비로 태어나 서울 언론계에서 필설을 드날렸고 중국과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에 힘썼다. 생애 말년에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끌었다. 언론인, 활동가, 혁명가의 삶이었다. 그의 삶 자체가 역동적인 한국 근대사이다. 인물에 관한 책...

고서·고문서(4,824)

  • 04707 잡가 雅樂部歌集 16003 1934년 이후 이왕직아악부 필사본 笑言 [140] 가게 이운긔 우항 탁나탁금 타목 지울 덩경 산공 쥬불 치가 바닥 로ㅣ 덜미뒤 드것 보아라 견듸여 좀 게가 지운이 항우 낙탁 금탁 목탁 울지...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지 김 남자 경상북도 영양군 길림성(吉林省) 매하구시(梅河口市) 화원향 수리관리소 2 1 지, 안녕, 세헤...
    대표표제어지도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보료 김 여자 길림성(吉林省) 쌍양현(双阳县) 3 3 보
    대표표제어보도자료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보료 김 남자 베이징시(北京市) 통주구(通州区) 양장로(杨庄路) 양장로서과원19호 4 1 보
    대표표제어보도자료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보료 김 남자 베이징시(北京市) 통주구(通州区) 양장로(杨庄路) 양장로서과원19호 4 2 보
    대표표제어보도자료 | 성씨

구술자료(47)

  • 캄보디아 20180206_055_005_캄보디_01_썸마카라_F_도끼와 깨진 기 민담 도끼와 깨진 기 2018. 02. 06(화) 오후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동 썸마카라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4년차] 조사자 포함 4인 김정은, 황승업, 강새미
    국가캄보디아 | 제보자썸마카라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를 배출하는 도인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이어 바로 다음을 구연하였다. 이야기 중에 나오는 강군수는 2010년 선거를 통해 임실군수로 취임하게 된 강완묵 군수를 지칭한 다.
    조사일시2010년 7월 4일(일) | 조사장소임실군 성수면 도인리 85번지 제보자 자택 | 제보자양창식
  • 장님 수 슐다스와 크리스나신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인도 20181226_002_032_인도_03_파드마_L_장님 수 슐다스와 크리스나신 전설 장님 수 슐다스와 크리스나신 2018. 12. 26(수) 오후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파드마바티차크라바르티 [인도, 여, 1992년생, 유학 2년차] 조사자 포함 5인 신
    국가인도 | 제보자파드마바티차크라바르티 [인도, 여, 1992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성낙현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화당 원내부총무 시절 김재규와의 정치적 갈등 여고생 스캔들 사건 경위 여고생 스캔들의 진상 박정희 대통령의 야당 지에 대한 평가 여고생스캔들 내막과 정계은퇴 과정 박정희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와의 관계 박정희 정권 말기에 대한 의견 정치사퇴 이후 행보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경기도 | 시대현대
  • 김상현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야당 정치인의 변절에 대한 평가 김영삼, 이철승 등 야당 지에 대한 평가 정치활동 규제와 여권의 탄압 유신체제의 붕괴와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민추협 결성과 단일화 실패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기초학문(149)

  • 한국제작기술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4031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4 한국제작기술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동남아시아 기에 보이는 중국기의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70029 한국연구재단 한국학회 2011 동남아시아 기에 보이는 중국기의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한국출토의 당대기(唐代器)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인규, 게재일 : 2007
    34727 김인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회 2007 한국출토의 당대기(唐代器)에 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피로도공들의 기발달과 후예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우동규, 게재일 : 1987
    07112 우동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7 피로도공들의 기발달과 후예들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1987
  • 스포츠 지의 리더쉽 검사지 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하형주, 게재일 : 1997
    10278 하형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학회 1997 스포츠 지의 리더쉽 검사지 개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1997

신문·잡지(5,596)

  • 待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목포항 만복동 쥭동남교등디 평리원판쟝 리윤용씨의 리 일본인 강야슈삼랑씨가 디단을 륵졈고 디셰 람봉 건으로 동인민등의호원이 낭거니와 무안감리 안긔현씨가  인민등의 호소인야 그디단에 동리 일우기젼 형지와 동리가된후 형지그려 농상공부에 보고고 ...
    게재일1906년 11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不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에셔 일본군령부쳥구를인야 함경도 장진군슈의게훈칙기를 일아젼후에 일본병뎡일명이 아라병뎡의게 피살야 그시신이 지금것 본군경에잇다니 그일병의 시쳬가 어느곳에 뭇쳣지 그공동명과 리슈와 계경을소상히쥬명고 그구역을그려셔 상송되 그분묘난각별슈호라 얏더니 ...
    게재일1906년 8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쳥남도홍쥬군우편국에셔본월십일경에우편국에근무본국관리리즁일명이일본우판국장의게야무삼불평고가잇던지칼로그국장의인후를질으고긔인후를질녓다국장은즁상을면얏스나그사은명죠셕이라더라
    게재일1905년 12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8) 영웅지론 지론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31년 7월 5일 이광수 동광 제23호 평론 3 이 글은 1931년 7월 5일 『동광』에 실린 이광수의 논설로, 지와 단체, 지도단체, 조선과 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
    대표표제어지도자론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이광수 | 출처동광 제23호 | 키워드지도자, 지도단체, 이광수, 조선, 신간회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全鮮豫想 1920년 7월22일 서울 서울 경성상업회의소가 조사한 조선 전국 각 지역의 도작() 내역 htt...
    대표표제어全鮮稻作豫想 | 연월일1920년 7월22일 | 지역서울

멀티미디어(375)

  • 전국새마을지대회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이 뉴스는 박정희 대통령이 새마을운동에 공이 많은 새마을지들에게 훈장을 수여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새마을운동이 소득증대에 역점을 두고 진행되어야 한다는 박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어서 서울, 경기도 수원, 강원도 춘천, 충북 청주, 충남 대전, 전북 전주,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4년 12월 2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계룡산 기-공주 학봉리 도요지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계룡산 기-공주 학봉리 도요지 c4-0170_#1 유구 도면1.유구 배치도(좌부터 5호, 7호, 8호 가마) c4-0170_1_2015-05-03_1301_도면1.유구 배치도(좌부터 5호, 7호, 8호 가마).jpg c4-0170_#2
    제목계룡산 도자기-공주 학봉리 도요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 마리아 2주차. 어머니 영성의 전개 3주차. 한국 가톨릭 교육과 어머니 영성 4주차. 한국 가톨릭교회의 모성적 돌봄 5주차. 한국 가톨릭 지들의 어머니 영성 6주차. 한국 가톨릭 사회운동과 어머니 영성 7주차. 한국 가톨릭 평화운동과 어머니 영성 8주차. 약자를
    강좌제목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기도하는 한국 천주교 II | 강의자최우혁 교수, 윤만근 교수, 이진옥 교수
  • , 마리아 2주차. 어머니 영성의 전개 3주차. 한국 가톨릭 교육과 어머니 영성 4주차. 한국 가톨릭교회의 모성적 돌봄 5주차. 한국 가톨릭 지들의 어머니 영성 6주차. 한국 가톨릭 사회운동과 어머니 영성 7주차. 한국 가톨릭 평화운동과 어머니 영성 8주차. 약자를
    강좌제목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기도하는 한국 천주교 II | 강의자최우혁 교수, 윤만근 교수, 이진옥 교수
  • , 마리아 2주차. 어머니 영성의 전개 3주차. 한국 가톨릭 교육과 어머니 영성 4주차. 한국 가톨릭교회의 모성적 돌봄 5주차. 한국 가톨릭 지들의 어머니 영성 6주차. 한국 가톨릭 사회운동과 어머니 영성 7주차. 한국 가톨릭 평화운동과 어머니 영성 8주차. 약자를
    강좌제목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기도하는 한국 천주교 II | 강의자최우혁 교수, 윤만근 교수, 이진옥 교수

연구결과보고서(2)

기타자료(1,096)

  • 료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61/05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H-0002-09) [915] UN(유엔)총회, 제16차. New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차관 | 수신자수석대표
  • 원촌;元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146 남한 경기 仁川昭和高等女學校 2-40 제1회 졸업기념 1944 1면 원촌;元村 경기;경기도 부천군 소사읍 심곡리 421 제1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仁川昭和高等女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정;新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6996 남한 경남 마산고등여학교 2-24 1915년도 以降 졸업증서대장 1905―04―28 92면 신정;新井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면 교하동 156 제21회 1943년 3월2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고등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원전;原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7081 남한 경남 마산고등여학교 2-24 1915년도 以降 졸업증서대장 1905―04―28 112면 원전;原田 경남 함안군 칠원면 구성리 784;마산부 만정 4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고등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삼정;三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7086 남한 경남 마산고등여학교 2-24 1915년도 以降 졸업증서대장 1905―04―28 112면 삼정;三井 경남 마산부 萬町 173-3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고등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0)

주제어사전(165)

  • / [생활/의생활]

    풍속이 변하여 과대에 숫돌형 장식과 오자도(五子刀)를 패용하던 것을 일컫는 것으로 여겨진다. 뒤에 과대가 점차 사라지고 또 실용적인 의미가 강해지면서 독립적으로 편복에 휴대하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시대는 상의원(尙衣院)에 를 전문적으로 만드는 장(匠)을

  • 기 / [예술·체육/공예]

    점토에 장석, 석영 따위의 가루를 섞어 성형, 건조, 소성한 제품. 도기(陶器), 자기(瓷器), 사기(沙器), 토기, 질그릇 따위를 통틀어 말한다. 토기와 기는 점력(粘力)을 갖춘 가소성(可塑性)이 있는 질[胎土]로 형태를 만들고 이것을 불에 구워낸 것이다. 토기

  • 전 / 氷 [문학/한문학]

    「빙전」에 찬(贊) 한편과 송(頌) 두수를 지었다. 이 점은 「빙전」을 단순한 설화적 가전문학으로 구성한 것이 아니라, 시문학의 차원으로까지 격상시키고 있는 것이다.

  • / 李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석경, 어머니는 하함의 딸이다. 정구의 문인이다. 1592년에 임진왜란시 노모를 안전하게 보호한 뒤 이듬해 김면의 진중에 나가서 위장으로 활약하였다. 1600년 고령향시에 스승의 권유로 나가 장원

  • 도재고 / [종교·철학/민간신앙]

    고려시대 제사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문종 때 설치된 것으로 보이는데, 산천·일월·성신 등에 제사하는 제물을 취급, 보관하던 특수 창고로 추측된다. 관원으로는 사 1인, 부사 3인, 판관 2인 등이 있었으며, 이속으로는 기사 4인, 기관 1인, 급사 2인이 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