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염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29)
- 도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10년(충선왕 2) 다시 도염서에 영과 정(正)을 두었다. 조선시대에도 그 명칭과 기능은 그대로 이어졌으나, 1460년(세조 6) 제용감(濟用監)에 합쳐진 뒤 폐지되었다. →제용감 『고려사(高麗史)』
- 都染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265 都染署 관직 織染, 色染, 雜織署, 內謁 麗初 忠宣王 百官志 D_12_07_16 대동운부군옥 12권 7장 1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7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雜織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N4_D_0103 雜織 방직·직물 織紝, 都染署, 織染局 文宗, 忠肅王 百官志 D_20_03_02 대동운부군옥 20권 3장 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3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노선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세종 때의 문신. [내용]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양필(良弼). 호는 동악(東岳). 아버지는 도염서승(都染署丞) 갑생(甲生)이다. 1435년(세종 17) 식년정시(式年庭試)에 병과로 급제, 서승(署丞)이 되었고,이칭별칭 양필(良弼)| 동악(東岳)
- 신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67(세조 13).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고령(高靈). 공조참의 포시(包翅)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공조참판 장(檣)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숙주(叔舟)이며, 어머니는 윤경연(尹景淵)의 딸이다. 도염서령(都染署...
고서·고문서(2)
- 건어(乾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皮, 義盈庫納榛子、乾菌, 都染署納芷草, 濟生院納藥材宜除。” 從之。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소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후예들에게 이 비석을 통해 씨족을 열고 복을 전한 은혜를 생각하라고 당부하였다. 贈通訓大夫通禮院左通禮奉直郞洪 州判官朴公(秉鈞) 墓碣 5 이 글은 저자의 선조인 朴秉鈞의 묘갈명이다. 박병균의 자는 子平이고, 본관은 羅州이다. 曾祖는 고려의 名臣濯이고 父는 都染署 丞禎이...분야문학 | 유형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