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염서” 에 대한 검색결과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1310년(충선왕 2) 다시 에 영과 정(正)을 두었다. 조선시대에도 그 명칭과 기능은 그대로 이어졌으나, 1460년(세조 6) 제용감(濟用監)에 합쳐진 뒤 폐지되었다. →제용감 『고려사(高麗史)』
  • TD_E2_D_0265 관직 織染, 色染, 雜織署, 內謁 麗初 忠宣王 百官志 D_12_07_16 대동운부군옥 12권 7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7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N4_D_0103 雜織 방직·직물 織紝, , 織染局 文宗, 忠肅王 百官志 D_20_03_02 대동운부군옥 20권 3장 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3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노선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세종 때의 문신. [내용]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양필(良弼). 호는 동악(東岳). 아버지는 승(丞) 갑생(甲生)이다. 1435년(세종 17) 식년정시(式年庭試)에 병과로 급제, 서승(署丞)이 되었고,
    이칭별칭 양필(良弼)| 동악(東岳)
  • 신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67(세조 13).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고령(高靈). 공조참의 포시(包翅)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공조참판 장(檣)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숙주(叔舟)이며, 어머니는 윤경연(尹景淵)의 딸이다. 령(...

고서·고문서(2)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 선공시의 속사로 하였다. 관원으로는 사 2인을 두었다. 1310년(충선왕 2) 다시 에 영과 정을 두었다. 조선시대에도 명칭과 기능은 계승되었다. 1460년(세조 6) 제용감에 합쳐진 뒤 폐지되었다.

  • 잡직서 / 雜織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직제상 확립을 본 것은 문종 때였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일시 잡직서와 를 직염국(織染局)으로 통합시켰으나, 곧 회복되어 명칭과 기능이 조선으로 계승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