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시경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4)
- 신묘신사(辛卯信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1710년에는 연로변의 정비를 시작하여 시가지의 가옥을 정비하고 청소, 화재 예방, 예의범절, 도시경관 정비, 의복 청결 등 구체적인 지시 사항을 담은 포고문을 시달하였다. 1711년 11월 통신사 일행은 조선 왕의 국서를 장군에게 전하기 위하여 강호성(江戶城)에...상위어통신사(通信使) | 관련어덕천가선(德川家宣), 범휘(犯諱), 신정백석(新井白石)
- 도시공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선하고, 공해나 재해를 방지하여 양호한 도시경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계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하여 결정된 것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도시녹지는 광의의 개념으로 오픈 스페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건물 혹은 구조물에 의하여 피복되지 않은 모든 토지 및 수면, 그...
- 영덕군(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상업활동으로 남석리에 4‧9일장인 영덕장이 개장되어 동해에서 잡은 싱싱한 해산물과 채소 등이 거래된다. 최근 상업기능이 발달해 시가지 내에 상가의 형성과 행정기관의 집결로 도시경관을 조성해 가고 있다. 남북간의 동해고속화도로의 개통과 영덕∼안동간의 국도가 포장되어 물자...
- 주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발사업추진을 추진하여, 건축물의 수명단축과 고층화에 의한 도시경관 파괴 등을 가져와 도시환경을 악화시키게 되었다. 또 지방 소도시에서는 신규택지개발과 함께 대부분 고층아파트를 건설함으로써 자연경관 파괴의 우를 범하게 되었다. 앞으로 맞이하는 21세기에는 보다 환...이칭별칭한옥
논문(3)
- 나이로비 도시경관의 변화 : 거주민의 목소리를 통해 본 나이로비 변천사 [Voices from the Cities: A Comparative Study on Urbanization in Kenya and Korea | University of Nairobi]저자 : 장용규(한국외국어대학교) | 게재정보 : 아프리카 硏究 36권, 게재일 : 2014.09유형논문
- 이주와 도시경관의 변화: 케냐 나이로비의 카베테(Kabete)에서의 사례연구 [Voices from the Cities: A Comparative Study on Urbanization in Kenya and Korea | University of Nairobi]저자 : 장용규(한국외국어대학교) | 게재정보 : 아프리카 硏究 33권, 게재일 : 2013.01유형논문
- 나이로비 도시경관의 변화: 거주민의 목소리를 통해 본 나이로비 변천사 [Voices from the Cities: A Comparative Study on Urbanization in Kenya and Korea | University of Nairobi]저자 : 장용규 | 게재정보 : 아프리카 硏究유형논문
고서·고문서(1)
- 경성 미관A 엽서의 봉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2082 P-SDK-02082-P-E-05-00 P-SDK-02082-P-E-05-00-1 P-SDK-02082-P-E-05-00-2 경성 미관A 엽서의 봉투 大半島の重鎭 근대화된 도시경관을 바탕으로 남대문의 모습을 인쇄한 봉투 경성 미관A자료명경성 미관A 엽서의 봉투 | 발행처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기초학문(9)
- [논문] 부산의 임진왜란 기념물 조성과 도시경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737984 한국연구재단 부경역사연구소 2017 [논문] 부산의 임진왜란 기념물 조성과 도시경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7
- [논문]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38275 한국연구재단 한국도시지리학회 2010 [논문]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논문] 몰타의 역사문화자원과 도시경관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734315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17 [논문] 몰타의 역사문화자원과 도시경관 특성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일상 공간행위와 재현을 통한 도시경관의 문화정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도영, 게재일 : 200831230 송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8 일상 공간행위와 재현을 통한 도시경관의 문화정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인도의 식민도시 고아(Goa)의 도시경관과 문화적 정체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정석, 게재일 : 200827846 박정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인도학회 2008 인도의 식민도시 고아(Goa)의 도시경관과 문화적 정체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8
기타자료(1)
- 나주 금성관 외삼문(망화루) 주변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경 1. 위치 2. 고고‧역사학적 배경 3. 나주관야 / Ⅲ. 조사내용 1. 망화루지 2. 건물지 3. 출토유물 / Ⅳ. 조사서오가 / □ 부록 : 나주목의 연혁과 도시경관 변화 Ⅰ. 들어가는 말 Ⅱ. 나주목의 연혁 1. 고려시대 이전의 나주 2. 고려시대 이후의...발행연도2002/12 | 발굴기관(재)호남문화재연구원/ 나주시청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1)
-
도시경관 / 都市景觀 [지리/인문지리]
화의 물질적 측면들의 집합과 독특한 배열 형태라고 정의 내린다. 도시경관은 그 도시의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와 기술을 드러내주는 일종의 거울이자 텍스트이다. 또한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 자체는 그 도시경관을 생산하고 재생산하는 주체이면서 동시에 도시경관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