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승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96)
사전(1,161)
- 도승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承政院)의 정3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298년(충렬왕 24) 1월 충선왕이 즉위해 관제를 개혁할 때 밀직사를 광정원(光政院)으로 고치고 지주사(知奏事)를 도승지로 개칭, 종5품으로 격...이칭별칭지신사(知申事)
- 겸도승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승정원 도승지의 관계(官階) 진급에 따른 임시관직. [내용] 도승지의 정식품계는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였으나, 여기서 3계를 진급하여 정2품 자헌대부(資憲大夫)가 되거나, 자헌대부 이상의 관계를 가진 사람이 도승지에 임명되...
- 도승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承政院)의 정3품 관직.정의고려‧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承政院)의 정3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seungji | MR표기tosŭngj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승정원 소속의 이전(吏典) 담당 관서. [내용] 문관의 인사‧서훈‧고과(考課) 관계 사무의 출납을 맡았다. 그 담당 승지[色承旨]는 도승지로서 정3품 당상관이었다. 승정원은 육조(六曹)의 체제에 맞추어 6방으로 편성되었는...
- 지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관제가 복구되면서 지주사로 환원되었으며, 1362년 다시 지신사로 바뀌어 고려말에 이르기까지 그대로 존속하였다. 또한,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태조 때 도승지가 설치되면서 혁파되었으며, 태종 때 다시 두어졌다가 1433년(세종 15) 도승지로 바뀜으로써 완전히 혁...
고서·고문서(634)
- 與王龍圖勝之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一卷 與王龍圖勝之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33 與王龍圖勝之 某啟專介辱書承涉夏秋體氣清適暑雨爲孽古所未聞救災恤患事匪一端某言不足爲人信才不足爲時用徒耗廩祿每自咄嗟而已承見諭實當今之實患也其如言之不見信何他非相見莫盡所懷稍寒惟當以時保嗇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五月。 以都承旨睦詹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五月。 以都承旨睦詹 30_189_055.jpg 五月。 以都承旨睦詹, 特拜戶曹參判。 詹亦庸碌無能, 故被上擢用。 ○以許曄陞嘉善, 拜慶尙監司。 時慶尙監司鄭芝衍以疾遞。 上以嶺南巨道, 兼有島夷之虞, 命大臣擧資兼文武可鎭嶺南者。 大臣以具鳳...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正言贈都承旨(金公)神道碑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七 神道碑銘 16 正言贈都承旨(金公)神道碑銘 17_071_043.jpg 正言贈都承旨(金公)神道碑銘 正...銘: 초1‧초국2‧중규1‧중공2에는 “贈承旨金公墓碣銘”으로 되어 있으나 본문에 신도비명을 부탁받았다는 내용이 있음. 隆慶庚午春, 金公啓出...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九月, 承政院都承旨朴應男卒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九月, 承政院都承旨朴應男卒 29_207_016.jpg 九月, 承政院都承旨朴應男卒。 應男戇直敢言, 外若不曉是非, 而內有權衡。 累主風憲, 駁擊無顧忌, 人多怨者。 第以好善, 故善類推許, 而且以中殿叔父, 被上眷重, 士林恃 恃: 대규...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514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14년(중종9) 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승정원(承政院) 도승지(都承旨)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도승지는 조선시대 왕의 비서기관인 승정원의 장이다. 예문관(藝文館)의 직제학(直提學)과 상서원(尙瑞院)의 정(正)은 도승지가 의례적으로...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구술자료(1)
- 대원군이 관상을 보고 준 도승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장인 안태기가 안두모를 보고 가문에 남길 만한 이야기를 하라고 권하면서 이 이야기의 운을 텄다. 그러자, 오래간만에 선조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다. 이야기를 다듣고 난 다음 일부 대목이 미흡하다고 생각한 안태기가 보완하는 이야기를 덧붙여 해주었다. 이야기를 마치고...조사일시1984-04-14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 제보자안두모
주제어사전(69)
-
도승지 / 都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의 정3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도승지는 왕의 측근에서 시종하며 인재를 가려 관리로 선발하는 일에 깊숙이 관여했기 때문에 기능이 왕권과 직결되었다. 따라서 왕권이 강력한 시기나 국왕의 신임을 받을 때에는 의정부·육조 대신에 필
-
승지 / 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 도승지·좌승지·우승지·좌부승지·우부승지·동부승지 등 6승지를 말하며,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
-
권상유 / 權尙游 [종교·철학/유학]
1656(효종 7)∼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증영의정 권격, 어머니는 함평이씨로 돈녕부도정 이초로의 딸이다. 대사간, 도승지,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성리설에 밝았으며, 특히『논어』와『주역』에 관통하였다.
-
김한철 / 金漢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1∼1759). 사간원정언으로 재임할 때 붕당 타파를 상소하였다. 대사간에 발탁되었으며, 도승지·이조참판·경기관찰사·함경도관찰사 등 내외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양전의 실시를 주장하였고, 나중에 우참찬에 이르렀다.
-
이감 / 李敢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 문신. 아버지는 광식, 어머니는 이세응의 딸이다. 1543년(중종 38)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그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병조참판, 도승지, 형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