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순찰사” 에 대한 검색결과 3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2)

사전(19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 재상으로서 왕명을 받들어 외방에 나간 사신. [내용] 고려시대는 우왕 때 육도(六道使)라는 것이 있어 왜구의 창궐에 대비하기 위하여 각 도에 1인씩 재상을 보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는 도체찰사(都體...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조선시대 재상으로서 왕명을 받들어 외방에 나간 사신.
    정의고려‧조선시대 재상으로서 왕명을 받들어 외방에 나간 사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sunchalsa | MR표기tosunch’al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461 제도 (使) 使 조선시대 왜구의 창궐 등 지방에 변란이 있을 때 임시로 파견한 군관직(軍官職) 벼슬. 대개 지방 관찰사(觀察使)가 겸임하여 순찰사(巡察使)라 하였는데, 중앙에서 정2품의 재상이
    유형분류제도
  • (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使 도체찰사(都體察使), 순찰사(巡察使), 찰리사(察理使), 체찰사(體察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정이품 [정의]
    관련어도체찰사(都體察使), 순찰사(巡察使), 찰리사(察理使), 체찰사(體察使)
  • 도순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군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하던 국왕의 특사. [내용]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신립(申砬)이 삼도도순변사에 임명되어 충주에서 왜군을 막다가 전사한 것 이외는 도순변사에 임명하는 별다른 기록이 없어...

고서·고문서(145)

  • 1725년 (使) 전령(傳令)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전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01년 경상(慶尙使) 관(關)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해유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해유문서
  • 1882년 전라(全羅使) 소첩(小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00년 전라도관찰사겸(全羅道觀察使兼使) 관(關)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관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관 | 현소장처고창‧고부 광산김씨
  • 1804년 전라도관찰사겸(全羅道觀察使兼使) 해유이관(解由移關)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04년(순조4) 7월 27일에 전라도관찰사겸가 전제원찰방모달겸의 해유를 위해 후임인 제원찰방이 겸에게 올린 첩정을 첨부하여 호조에 올린 것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해유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해유문서 | 현소장처함평 함평모씨 모정원

신문·잡지(2)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九 命忠淸使 正三品李時宰 以上十二月六日
    게재일1904년 12월 9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珪文奎臣任電話課主事 九品趙舜九仝金敎庠仝洪曾裕仝洪升裕命侍從院分主事 江華隊中隊長李永均命慶尙南道督刷官 全州隊大隊長白南信命全羅北道督刷官 漢城裁判所判事河圭一命全羅南道督刷官 命慶尙南使 漢城裁判所首班判事金璉식以上十二月二日 贊政朴齊純解臨時署理學部大臣事務十二月二日
    게재일1904년 12월 6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10)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재상으로서 왕명을 받들어 외방에 나간 사신. 조선시대는 도체찰사·의 구분이 있어 정1품 재상은 도체찰사, 종1품 재상은 체찰사, 정2품 재상은 , 종2품 재상은 순찰사로 구분하기도 하였으나, 세조 때 이 구분을 없애어 ·순찰사로

  • 최영 / 崔瑩 [종교·철학/유학]

    1316년(충숙왕 3)∼1388년(우왕 14). 고려 후기의 명장. 최유청의 5세손, 아버지는 최원직이다. 육도, 판삼사사, 철원부원군, 문하시중, 판문하부사, 팔도도통사 등을 역임하였다.

  • 조희필 대구도호부판관 해유문서 / 趙熙弼 大丘都護府判官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868년(고종 5) 10월 일에 후임관이 겸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0월 22일에 행경상도관찰사겸가 호조에 문서 이관, 1870년(고종 7) 9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 이관, 동년 9월 22일에 이조에서 조희필(趙熙弼)에게 조흘하였

  • 도체찰사 / 都體察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이 맡은 임시관직. 왕의 명을 받아서 할당된 지역의 군정과 민정을 총괄하여 다스렸다. 도체찰사 직명은 고려 공민왕 때 외적의 침입을 방어하면서 처음 등장하였다. 정1품은 도체찰사, 종1품은 체찰사, 정2품은 등으로 부르다가 세조 때 품계에 관

  • 순문사 / 巡問使 [정치·법제/국방]

    조선 초기 의흥친군위에 딸린 군직. 왕명을 띠고 군무를 순찰하는 특사이다. 한편 정3품의 절제사를 지칭하기도 하였다. 1584년(선조 17) 비변사가 북도를 내려보내면서 그 책임이 중하니 칭호를 순문어사(巡問御史)라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청하자, 선조는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