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순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49)
- 도순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군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하던 국왕의 특사. [내용]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신립(申砬)이 삼도도순변사에 임명되어 충주에서 왜군을 막다가 전사한 것 이외는 도순변사에 임명하는 별다른 기록이 없...
- 도순변사(都巡邊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순변사 도순변사 都巡邊使 삼도순변사(三道巡邊使) 도체찰사(都體察使), 순변사(巡邊使), 신립(申砬), 체찰사(體察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동의어삼도순변사(三道巡邊使) | 관련어도체찰사(都體察使), 순변사(巡邊使), 신립(申砬), 체찰사(體察使)
- 이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란이 일어나자 경차관(敬差官)이 되어 웅천성(熊川城)탈환에 공을 세웠다. 1516년 영안도순변사(永安道巡邊使)가 되어 야인의 동태를 살펴 그 대책에 이바지하였고, 그 뒤 선조 때 최응춘(崔應春)ㆍ선홍복(宣弘福) 등이 모반을 꾀하자, 포착금부도사(捕捉...
- 신경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기묘명현 상(鏛)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별검(別檢) 화국(華國)이고, 아버지는 급(礏)이며, 도순변사(都巡邊使) 입(砬)의 조카이다. 1588년(선조 21)
- 성우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ㆍ훈련원도정ㆍ안변부사ㆍ길주목사를 거쳐 통제사가 되었는데 그동안 그의 근무의 태만과 방군징포(放軍徵布)가 심하다 하여 여러 번 탄핵을 받았다. 1613년(광해군 5) 서로방어사(西路防禦使), 1618년 평안도병마절도사ㆍ함경도순변사(咸鏡道巡邊使)를 역...이칭별칭 자수(自受)
고서·고문서(4)
- 上土鎭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義州 咸鏡道 安州 黃海道 上土鎭 五萬嶺 上土 咸鏡道 지리 군사 平安道巡邊使高荊山復命,引見于思政殿曰"義州之城,久未得築,今則築之,深可嘉也.防禦形止何如?" 荊山曰"臣往觀之,則於十五里有石,故以爲可築,...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豆滿江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安邊府,關南州鎭亦爲叛民所據,皆受淸正節制. 端川郡守姜燦素得民心,頗集良民爲兵,自衛據郡界,谷中土民多歸之.初, 李渾被執, 金貴榮等以便宜,除會寧府使李瑛爲南兵使. 瑛憚南出,求兼南北道巡邊使,陪行王子入北,以文夢轅爲會寧府使竝被執. 金貴榮老昏, 黃廷彧父子皆不戢下,宮家奴輩到處侵擾,大失人心...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수정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湯站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僧,幹私貿易,又設瓦署,使其僧之徒,亦爲幹事,此寺之所由作也.今則無賴之僧,來住此寺,潛奸閭閻之女,至於生子,撤去甚便."上曰"撤去可也."獻納徐赳啓曰"今以權瑊爲平安道巡邊使.近年再擧西征,天使連年出來,加以今年之旱尤甚,至今不雨,西成之事可知,若擧築城之役,則平安人民,必未得蘇息,請姑停."上曰...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義州城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於決大事則不可擅便啓稟.近者, 柳尙齡上疏,視如黃石公秘記,而秘密挾持,故大臣等亦以爲,該曹當自爲之,而不建處置之策,自上當爲斟酌."上曰"平安道巡邊使下送事,前者,備邊司及兵曹啓曰'大臣亦以爲,七月當下送云,須及七月初旬間,下送爲當.'故已依啓矣.但見平安道啓本則似有旱災.農事豐歉,未可預知,竢見...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2)
-
도순변사 / 都巡邊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하던 국왕의 특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신립이 삼도도순변사에 임명되어 충주에서 왜군을 막다가 전사한 것 이외는 도순변사에 임명하는 별다른 기록이 없어 그 구체적인 직무를 알 수 없다.
-
신립 / 申砬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개 현손, 할아버지는 상, 아버지는 화국이다. 어머니는 윤회전의 딸이다. 무과에 급제 선전관·도총관·도사·경력, 외직인 진주판관, 함경도남병사, 삼도순변사 등을 역임하였다. 고니시(小西行長)를 선두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