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봉소사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도봉소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라는 소문이 퍼졌다. 이에 남아 있는 군졸들이 구명운동을 전개하면서부터 도봉소사건은 거대한 군란으로 확대되어갔다. 즉, 같은 달 9일 무위영 군졸들은 민겸호에게 직접 호소하고자 민겸호의 집을 찾아갔는데, 여기서 군졸들과 도봉소에서 구타당했던 민겸호의 하인과의...
- 민겸호(閔謙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뒤이어 군무(軍務) ‧ 변정(邊政) ‧ 기연(譏沿) 당상에 임명되었다. 1881년 4월 일본 육군소위 호리모토 레이조(堀本禮造)를 연군교사(練軍敎師)로 초빙해 별기군(別技軍)을 창설하였다. 1882년 선혜청당상 겸 병조판서오서 도봉소사건을 일으킨 김춘영(金春永) 등...유형분류인물
- 민겸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수였던 김춘영(金春永)‧유복만(柳卜萬)‧정의길(鄭義吉)‧강명준(姜命俊) 등이 주동이 되어, 도봉소 고직(庫直)에게 항의하며 충돌한 도봉소사건이 일어났다. 이 소식을 들은 선혜청당상 겸 병조판서였던 그가 김춘영 등을 잡아 포도청으로 넘겨 형살(刑殺)시키려고 하자,...이칭별칭 윤익(允益)| 충숙(忠肅)
- 이하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격렬히 전개되었다. 이때 그는 자신의 서장자(庶長子) 재선(載先)을 옹립해 그의 재집권을 꾀하는 안기영(安驥永)의 국왕폐립음모(國王廢立陰謀)에도 간여하였다. 1882년 임오군란 때에는 봉량미(捧糧米) 문제로 도봉소 사건(都捧所事件)을 일으킨 난병(亂兵)이 운...이칭별칭 시백(時伯)| 석파(石坡)| 헌의(獻懿)|흥선정(興宣正)|흥선군(興宣君)|흥선대원군|대원왕(大院王)|대원위대감(大院位大監)|궁도령(宮道令)
주제어사전(1)
-
도봉소사건 / 都捧所事件 [역사/근대사]
1882년 6월 무위영(武衛營) 소속 군병들이 일으킨 군란. 도봉소사건은 정부의 개화정책 일환으로 군제개편이 단행되면서 구조적으로 소외된 구 5군영 소속 군병들의 불만이 집약되어 일어난 것으로, 임오군란의 발단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