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방” 에 대한 검색결과 2,6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49)

사전(34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변에 큰 위협을 느끼게 되어 스스로를 보호할 목적으로 결사대 100여 명을 자기 집에 머무르게 하고 그 이름을 이라 하였다. [내용 및 변천] 은 일종의 사병집단제로서 원래 사병들의 숙소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뒤에는 숙위대의 명칭으로도 사용되었...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사병집단이며 숙위기관(宿衛機關).
    정의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사병집단이며 숙위기관(宿衛機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bang | MR표기Tob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2_D_0067 관직 六番, 自衛 崔忠獻 麗史 D_04_03_23 대동운부군옥 4권 3장 2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3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4_D_0184 정책-제도 崔忠獻, 慶大升 麗史 D_06_03_31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3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3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B3_D_0059 俯伏 풍속 官人 濟州 東文鑑 D_06_03_175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17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17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논문(1)

고서·고문서(1,576)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북강송 오 남자 4 3 북강송, 중국시간, 조선시간, 방송, 락필, 선생님, 방조, 안녕, 오씨
    대표표제어북강도방송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북강송 오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해림시(海林市) 4 3 북강송, 중국시간, 조선시간, 방송, 노래, 락필, 선생님...
    대표표제어북강도방송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북간송 김 여자 길림성(吉林省) 장백현(长白县) 장백진 녹강가 제134호 1 1 북간송, 청취자, 책자, 소식...
    대표표제어북간도방송 | 성씨
  • 전라언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전라언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전라언사전 주갑동 저 수필과비평사 : 신아출판사 전주 2005 언어사전; 한국...
    대표표제어전라도방언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주자동지(薰鑄字洞志)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사회-지리-지지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구술자료(6)

  • 도사와 총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고종천씨가 앞 이야기에 이어서 계속 들려 준 것이다.*
    조사일시1983-07-18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갑천면 | 제보자고종천
  • 06_400 경남 경상남도 합천군 경상남도 합천군_1. 상사 2. 치나칭칭 1. 상사 2. 치나칭칭 1. 에이여루 상사 2. 잦은 논매기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상신리 박곡마을, 마을 2001.6.3 素 MD 01-6-3 n.8 (메): 이종식 (
    녹음지역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상신리 박곡마을, 도방마을 | 녹음날짜2001.6.3 | 가창방식1,2. 멕받형(선후창)
  • 2. (메): 전상백, (받); 전상백,이봉규 전상백(1927년생.남.토민), 이봉규(1935년생.남.쌍책면 상신리 토민) 이소라 이소라 1. 상사 류 2. 칭칭이 류 1,2. 멕받형(선후창) 1. 에이, 에이 여허루 상-, 사- 디 여 2. 치기나칭칭
    녹음지역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하신리 | 녹음날짜2001.6.3 | 가창방식1,2. 멕받형(선후창)
  • 한상순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원, 인하대학교, 하버드대학교, 화도교회, 감리교, 덕적도, , 새누리당 기독교분과위원, 『십대들의 쪽지』, 인천시청, 청년단, 연평해전, 1.4후퇴, 4.19혁명 한글 연세대학교 사업가
    구술자한상순 | 직업사업가 | 지역황해도
  • 한동상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함경남도 함흥, 함남중학교, 미츠이(三井), 미쓰비시(三菱), 위안부, 징용, 공출, 이승만, 친일파, 박정희, 평양의학전문학교, 부농, 함흥의과대학, 대학생 우대, 민주청년동맹, 인민군, 장교, 수위대,
    구술자한동상 | 직업증권업 | 지역함경도

기초학문(19)

  • 제주언의 단위성의존명사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순자, 게재일 : 2014
    45476 김순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학회 2014 제주언의 단위성의존명사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미자, 게재일 : 2004
    03005 유미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지안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전문대 여대생의 직업의식과 진로지안 조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1
    32566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업교육학회 2001 전문대 여대생의 직업의식과 진로지안 조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학부모 보조교사를 활용한 초등영어 수준별 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인옥, 게재일 : 2006
    36791 김인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06 학부모 보조교사를 활용한 초등영어 수준별 지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멀티미디어 활용 초등영어 읽기․쓰기 통합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허근, 게재일 : 2012
    38007 허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2 멀티미디어 활용 초등영어 읽기․쓰기 통합지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479)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당진군은 우협곡에 쳐야 젹경의 틈발이 달은고을보다 더욱우심 그젹경을 진압면 병참을셜치고 병뎡을쥬둔거나 포군을설치고 긔계지발야 로 초포기젼에는 진압 슈업다고도관찰가군보고인야 부에 보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치도국관졔 일젼관보에 반포지라 그일에 쥬관 일인기 주권씨와 일본부기 삼명과 기슈 륙칠명을 고빙 터인데 그치도 구역은 이왕에 말바와갓치 평양 원산간과 목포 광쥬간과 군산 젼쥬 간 셰곳인데 그길의 리슈 칠팔구십리가된다며 역시작은 그셰곳을 일시에 시...
    게재일1906년 4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 경셩에 젹경이대치되 각셔 경찰관리들이 금집지 못는고로 경무쳥에셔 각셔로 훈령고 경찰괸리에 임면 규측을 로 마련엿는데 일은 각셔쟝이 그방를 경찰되 젹경이 량 잇스면 견고 에는 감봉고 륙에는 면관오 일은 당에 춍슌이 경찰되 젹경이 초...
    게재일1902년 12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福一(-) 인천 福一 - 本町 4-1 - - 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무역 60 겸업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福島邦一(-)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福一(-) 인천 福一 - 本町 4-1 - - 비료,농구,사료 무역 60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福島邦一(-)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비료,농구,사료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기타자료(219)

  • 순환운동의 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순환운동의 지법 순환운동의 지법 循環運動의 指法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과정 보건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규환 | 사료철명문교경북
  • 일반사회과 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일반사회과 지안 일반사회과 지안 一般社會科 指案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과정 학습지도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한우택 | 사료철명교육
  • 학습부진아의 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학습부진아의 지안 학습부진아의 지안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교육과정 학습지도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남경 | 사료철명부산교육
  • 정신박약아 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정신박약아 지법 정신박약아 지법 교육 문헌 취학전ㆍ특수교육 장애인교육 교육과정 학습지도 교육과정 생...
    범주1취학전ㆍ특수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손정일 | 사료철명교육경남
  • (사회과교육) 국민학교 사회과 지향과 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 국민학교 사회과 지향과 지안 (사회과교육) 국민학교 사회과 지향과 지안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과정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강석 | 사료철명교육경남

주제어사전(2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사병집단이며 숙위기관. 경대승이 1179년(명종 9) 정중부 일파를 살해하자, 일부 무신들은 적의를 품게 되었다. 이에 경대승은 신변에 큰 위협을 느끼게 되어 스스로를 보호할 목적으로 결사대 100여 명을 자기 집에 머무르게 하고 그 이름을

  • 강원언 / 江原 [언어/언어/문자]

    강원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강원언은 중부방언의 한 하위 방언으로, 휴전선을 기준으로 이북 지역(이천·평강·김화·회양·통천)을 제외하고 이남 지역(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춘천·홍천·양양·횡성·평창·강릉·원주·영월·정선·삼척)의 방언을 주로 이르며, 태백산맥

  • 경기언 / 京畿 [언어/언어/문자]

    서울을 중심으로 한 경기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경기언은 크게 남부 방언과 북부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남부 방언은 충청언과, 북부는 서울말과 공통점이 많다. 한편 경기도에 속하는 도서(島嶼) 지역의 방언은 내륙의 방언과 구분된다. 또한 다른 방언과 마찬

  • 충청언 / 忠淸 [언어/언어/문자]

    충청남북도에서 사용되는 방언. 충청도 방언의 자음은 19개(ㅂ, ㅃ, ㅍ ; ㄷ, ㄸ, ㅌ ; ㄱ, ㄲ, ㅋ ; ㅅ, ㅆ ; ㅎ ; ㅈ, ㅉ, ㅊ ; ㅁ, ㄴ, ㅇ ; ㄹ)이다. 단모음은 10개(ㅣ, ㅔ, ㅐ ; ㅡ, ㅓ, ㅏ ; ㅜ, ㅗ ; ㅟ, ㅚ)로서 대부분의 지

  • 평안언 / 平安 [언어/언어/문자]

    평안남북도에서 쓰이는 방언. 평안도는 낭림산맥을 경계로 함경도와 접해 있어 평안언과 함경언은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낭림산맥이 시작되는 압록강 유역의 평안북도 후창과 산맥의 남쪽에 위치한 평안남도 양덕 등은 함경언의 특징을 일부 가지고 있다. 반면, 평안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