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류” 에 대한 검색결과 2,8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94)

사전(16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는 둔갑(遁甲) 8원도 함께 소격서에 소속되었다. 經國大典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나머지 사연은 모두 다음으로 미룸. 萬萬承討 姑不宣, 박세채(朴世采), 3-146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청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시냇물’을 의인화한 것이다. 안문 출신으로, 자는 중심(仲深). 선류(仙流)를 좇아 산골짝을 찾아다니던 중 우연히 어우 선생과 견백도인이 남루에 합석하고 있는 보고 동석을 청하여 허락받는다. 뒤이어 도착한 여러 객들과 함께 견백주인이 마련한 연회를 즐기던 중 동틀 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의 도량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7년 7월 《조광》에 발표된 김남천(金南天, 1911-1953)의 평론.
    정의1937년 7월 《조광》에 발표된 김남천(金南天, 1911-1953)의 평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Yangdoryu ui doryang | MR표기Yangdoryu ŭi tory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 소격서(昭格署)에 소속된 종9품 잡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 : 도사로 불리는 도교승려 수행자) 출신의 전문직으로서 삼청전(三淸殿)‧태일전(太一殿) 등에서 초제(醮祭)를 담당하였다. 소격서에는 15인의

고서·고문서(2,528)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460 詩經講義 卷二 ITKC_MP_0597A_0460_030_004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詩經講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唐風 (주무)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0:5:1 “薪”、“芻”之束, 必牢固, 方免放失. 夫婦之約, 亦猶是也. 男女, 情之至也; 失時, 怨之極也. 爲此詩者, 欲君人者 者: 국중본(가)에는 ‘之’로 되어 있다. 有以知天下之所同也. 是以明王爲政, 必使仲春會男女. 歲儉, 則奔者亦不禁, 可以見矣...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袁世凱 : 訴訟 5 -元山姚令稟家驤呑烟自盡一案卷(원산 姚令이 유가양의 아편을 삼키고 자살한 사건을 稟한 卷宗)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
    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원세개 소송(袁世凱 訴訟) | 주제어사망, 死亡, 중국인 사이의 채무관계 때문에 유가양이 아편을 삼키고 자살한 사건
  • 24260 B024260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42年 4月 6日_004 ○詔曰, 全羅南道智島郡智終身罪人金亨燮, 莞島郡古今終身罪人金羲善, 薪智終身罪人金敎先, 興陽郡鹿終身罪〈人〉方泳柱, 莞島郡莞終身罪人金永韶, 智島郡智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4679 B024679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16年 7月 14日_016 ○又以刑曹言啓曰, 黃海道油紙案中, 白川朴準基, 平安道油紙案中, 孟山金判乭, 全羅道油紙案中, 康津縣古今島李致實, 慶尙道油紙案中, 河東白億萬等, 放字書下矣。 謹...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3)

  • 07_086 전북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북도 남원시_논맴 양산도 논맴 양산도 화순형 논맴 양산도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일대리 1986.8.18 素86-8-18①A 이찬구 이찬구(1926년생.남.12대째 거주 토민) 이소라 이소라 논맴양산 선입후제창 또는 멕받형(선
    녹음지역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일대리 | 녹음날짜1986.8.18 | 가창방식선입후제창 또는 멕받형(선후창).
  • 07_179 전북 전라북도 순창군 전라북도 순창군_논맴 양산도 논맴 양산도 반월 논매기 둘째꼭지 전라북도 순창군 풍산면 반월리 1987.2.3 素87-2-3A 김성원 김성원(191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논맴양산 멕받형(선후창) 네노- 네노 , 네헤 - 에
    녹음지역전라북도 순창군 풍산면 반월리 | 녹음날짜1987.2.3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7_205 전북 전라북도 순창군 전라북도 순창군_논맴 양산도 논맴 양산도 화순형 논맴 양산도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 2002.8.28 素MD02-8-28 n.16 이정호 이정호(1940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논맴양산 멕받형(선후창) 에 - 에헤헤
    녹음지역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 | 녹음날짜2002.8.28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신문·잡지(22)

  • 三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즁츄원고문 리근 시죵원부경송관 비셔승 셔상 삼씨 무운동일이 잇지 심방도 셔로 빈삭고 의론도 대단이 쥬밀다더라
    게재일1907년 6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省三(-) 부산 省三 - 富平町1-37 - - 다다미(疊) - 14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都留省三(-)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다다미(疊)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幸十郞(鶴屋) 부산 幸十郞 鶴屋 大廳町2-16 - - 과자 - 14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都留幸十郞(鶴屋)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과자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安試用 京城商議에 照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間安試用 京城商議에 照會 1935년 1월30일 서울 서울 간도영사관에서 본년도부터 조선농민에게 유안(硫安)을 사용...
    대표표제어間島硫安試用 京城商議에 照會 | 연월일1935년 1월30일 | 지역서울
  • 大詔放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월십팔일에 죠칙을나리 젼라남도 완도군신지도 류죵신죄인 김풍 리츙구 리룡관과 지도군지도 류죵신죄인 강셩향 민용훈과 흑산도 류죵신죄인 리죠현과 류십오년죄인 쟝윤상과 임도 류죵신죄인리죵림과 류십년죄인 김찬과 진도군금잡죵신죄인최영화 강인필 리승린 홍병진과 황도...
    게재일1906년 1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

기타자료(75)

  • 암전지광;岩田志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6690 일본 東京 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동아상업학교 제13회 졸업기념 1942 4면 1. A, B조 생도 명부 암전지광;岩田志光 山梨縣 南郡 下吉田町 本町 20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예천 동본리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예천 동본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에는 우물‧배수로‧공방유구 각각 1기가 확인‧조사되었으며 토 218점, 금속류 4점, 옥석류 1점 등 모두 223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2002.08.26~2002.10.29 Ⅰ.머리말 / Ⅱ.유적의 환경과 현상 1.자연지리적 환경 2.역사적 환경 3.현...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근대 목관묘에서 토 21점, 금속류 66점, 옥석/기타 38점, 총 125점이 출토되었다. 조선시대 여막터에서 토 21점, 총 21점이 출토되었다. 조선시대 구상유구에서 토 14점, 총 14점이 출토되었다. 조선시대 목곽묘에서 토 26점, 금속류 23점,...
    발행연도2008 | 발굴지역경상북도
  • 성주 백전 예산리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내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일대 넓은 범위에 걸쳐 원삼국시대 관련 유적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토 528점, 금속류 120점, 철기류 44점, 석기류 3점, 옥류 8식 1,442과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Ⅰ지구 목곽묘 1호에서 유물은 토 1건 1점...
    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김천-어모간 국도확장공사구간내 김천 옥률리‧남산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0점이 출토되었다. 옥율리유적 가지구 고려시대 주거지에서는 토 2점, 와전류 2점이 출토되었으며, 가지구 고려시대 이후 토광묘에서는 토 2점, 금속류 4점이 출토되었다. 가지구에서는 총 10점이 출토되었다. 나지구 고려시대 건물지에서는 와전류 19점이 출토되었다...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중앙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1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소격서에 소속된 관직. 도교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였다. 정원은 15원이다. 잡직으로 4품에서 그만 두며, 근무성적이 좋아 계속 근무하는 자를 위하여 서반 체아직 셋이 배당되었다. 둔갑술을 하는 둔갑 8원도 함께 소격서에 소속되었다.

  • 공충도관찰사안장계 / 公忠道觀察使案狀啓 [정치·법제]

    1868년(고종 5) 3월 20일. 공충도관찰사가 고종에게 당해 도내의 정배죄인 및 유배죄인 중 불한년질에 둘 사람들의 명단을 보고한 장계. '불한년질'이란 무기한으로 귀양 살게 할 중죄인의 부류를 이른다. 정배죄인 중 도년죄인 서상홍(徐相洪) 등 4명과 유배죄인 김중

  • 지도 / 志道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소격서에 소속된 종9품 잡직. 정원은 1인이다. () 출신의 전문직으로서 삼청전·태일전 등에서 초제를 담당하였다. 소격서에는 15인의 와 8인의 둔갑가 소속되어 있었는데, 이들을 위한 정규관직은 지도 1인과 종8품 상도 1인 의 두 자리밖에

  • 취재 / 取才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하급 관리를 채용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취재에는 수령·외교관·역승·도승·서제·음자제·녹사··서리를 선발하는 이조취재와 의학·한학·몽학·왜학·여진학·천문학·지리학·명과학·율학·산학을 전공한 기술관 및 화원··악생·악공을 선발하는 예조취재가 있었다.

  • 기술관 / 技術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의 전문기능직 관원. 잡학이라고 불린 기술학에 종사하는 관직자들을 총칭하였는데, 역관·의관·천문관·지관·산관·율관·화원··금루·악생·악공·상도·지도·화사·공제·공조·재부·선부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