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령” 에 대한 검색결과 1,7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81)

사전(3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백제시대의 승려. [내용]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일본에서 활동하였으며 일본의 풍속이 순후하다는 말을 듣고 바다를 건너가 남경(南京 : 지금의 大阪)에 머물렀다. 불경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영험을 수시로 나타내었다고 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관직명. [내용] 전투부대의 실질적인 최고지휘관이다. 『고려사』에서 이 나타나는 곳은 전시(戰時)의 군사조직인 오군(五軍 : 中‧前‧後‧左‧右), 별초군(別抄軍), 양계(兩界)의 주진군(州鎭軍), 귀화한 여진인의 수령이다....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1. ☞ 양반 2. () ☞ 농환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TD_C6_D_0244 산림 草站 嶺南, 鎭山 D_12_02_38 대동운부군옥 12권 2장 3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2장 3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H3_D_0040 군제 微賤, 選補, 別抄, 勇敢 崔忠獻, 李義旼 麗史 D_12_02_37 대동운부군옥 12권 2장 3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2장 3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124)

  • 10701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강실 〈ad〉公州郡長􀀀面松仙里〈/ad〉 〈in〉尹楷炳君報〈/in〉 〈#394〉 강실∧ 강실 강실책을 엽헤 고 아자만네 노름방에 강실∧ 드러가니 고초갓흔 말을 타고 강실 고개...
    구분창가
  • 04674 잡가 雅樂部歌集 16003 1934년 이후 이왕직아악부 필사본 打令 [107] 쥭엇단다 쥭엇단다 뒷집 金이 쥭엇단다 服 닙자니 남이 알거시오 흔 唐只 드리자니 金方 테셜이 날 거시라 明年 夏五月에 咸鏡道 北山 北布로 ...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 打令 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4319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打令 타령 [253] 쥭엇단다 쥭엇단다 뒤ㅅ집 金이 쥭엇단다 服 닙자니 남이 알거시요 흔 唐只 드리자니 今方 테셜이 날 거시라 明年 夏五月에 咸鏡道 北山 北布...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39286 B039286 단사 丹鯊 수산물 『玆山魚譜』 卷一 鱗類 鯊魚 四齒鯊 四齒鯊(俗名丹鯊) 大者 七八尺 頭似艫閣鯊 但艫鯊如平板 此則腦後頗凸 成長方形 頭下如他鯊 左右各有二齒近頰 豊本向前漸殺 狀如半破壺磈磊 如鰒殻之背而滑澤 堅可碎石 能齧鰒螺之甲 性極頑懶 泅...
    출처전거『玆山魚譜』 卷一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04272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리생각 [206] 하로 이틀 한달 두달 이를 엇지 하잔 말고 무죄구슈 나의 몸이 하시졀에 노혀 보리 쳥텬에 난 구름 노흠도 놉흘시고 뎌 구름에 올나서면 님 계신 대...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구술자료(118)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운 한여름 대낮에 길가 깨밭에서 혼자 김매고 있는 할머니에게 쉬었다 하라고 권하여 나무 그늘에서 잠깐 채록한 민요다.*
    조사일시1984-07-15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 제보자진미례
  • 과 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이복순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8-03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사등면 | 제보자이국인
  • 나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복희 제보자가 편과 꿀종지를 잃어버린 바보사위의 이야기에 마치고, 조사자가 이야기를 계속 청했다. 그러자 앞서 다섯 편의 설화를 구연 한 석철순 제보자가 재미있는 이야기를 한 가지 더 하겠다며 구연을 시작했다. 구연을 하는 도중, 노인회관에 술에 취한 마을 주민이...
    조사일시2010. 2. 17(수) | 조사장소강원도 홍천군 남면 중화계리 147-2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석철순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 | 제보자강귀연

기초학문(1)

  • A Study on the Search for Equestrian Aesthetics from the Below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도령, 게재일 : 2017
    63394 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 A Study on the Search for Equestrian Aesthetics from the Below https://www.krm.or.kr
    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85)

  • 受員의捉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함평군 여션면 공젼령슈원 박상가 그죡하박로진으로더부러슈봉공젼구이십일환오십이젼을 가지고 일본동경으로 도망야 변명고 두류다가 그곳경찰셔에 쳬포되야 광쥬관찰도로 압부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立三郞(-) 대구 立三郞 - 大和町 - - 금전대부 - - 전당포 겸업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立島領三郞(-)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금전대부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 昨日下午四時量에典洞街路上에셔全羅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昨日下午四時量에典洞街路上에셔全羅光郡儒生李文煥等에訴狀遺失거슬該坊巡檢이拾得入署이기玆廣佈니所失人中誰某든지警務中署로來야覔去시압 警務中署 告白
    게재일1906년 8월 15일 | 기사분류광고
  • 東儂 고목화 (枯木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그 두놈의 말을 오이 듯고 얼는나가 그 자리에와 돌오누엿 쥬인 나그가 나오더니 쓰러지며 네활를 마것펴고 코를 드르렁 드르렁곤다 오이 젼에던 실을 버리지를 안이엿스면 쳥쥬집을 졍거쟝에셔만나 그쳐럼 위리도업고 돈푼것을 갓져스면 치고앗기라도...
    게재일1907년 9월 20일 | 기사분류기타
  • 東儂 고목화 [枯木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 허리춤에서 편지갓흔것을 여주며 눈물이 러지것을 보고 혼말노 년놈이 뎌러케 친던가 듯지못구먼 무신수작이 뎌러케만은지 왜셰살젹에 못만 편지 뉘편지야 아양부리노라고 울기지 암만야도 안이될걸 솜씨에 혀를 차면셔 홱돌아셔더니 그길노 오쳐소...
    게재일1907년 6월 11일 | 기사분류기타

기타자료(10)

  • 도영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0042 일본 東京 法政大學 法政大學校友名鑑 1941―05―25 156면 도영호;浩 조선 1940년 3월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法政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자산성(三子山城)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삼자산성(三子山城) 중국 삼자산성(三子山城) 관방유적 / 산성 고구려 / 발해 길림시(吉林市) 사하자향(沙河子乡) 삼 대립자산(大位子山) 삼자산성.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
    대표표제어삼도령자산성(三道嶺子山城)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삼도령자산성(三道嶺子山城)
  • 진원조;陳元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2924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42면 (30) 제28회 153명(1932년 3월 졸업) 진원조;陳元兆 線철도 종업원(길림철도국 圖們車段)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중화;白重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0421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87면 1. 숭전·숭실 졸업생;5) 바行部 백중화;白重華 의주군 가산면 동 66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옥녀;吳玉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5)

  • /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의 관직명. 전투부대의 실질적인 최고지휘관이다. ≪고려사≫에서 이 나타나는 곳은 전시의 군사조직인 오군, 별초군, 양계의 주진군, 귀화한 여진인의 수령이다. 이들 가운데 성격이나 활동이 가장 주목되는 것은 양계 주진군의 이었다. 양계 제의 성립시기

  • 가 /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흥왕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제목과 창작연대가 『삼국사기』 잡지(雜志) 제1악조에 수록되어 있으며,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지 17에 옮겨져 있다. 노래의 가사·해설이 전하지 않으므로, 내용은 물론 형식을 전혀 알

  • 나무설화 / [문학/구비문학]

    나무의 아들로 태어나 대홍수 때 아버지인 나무를 타고 가다 구해 준 동물들의 보은으로 곤경을 벗어나 혼인하여 인류의 시조가 된 소년에 대한 설화. 이 설화 유형은 수목 신앙을 바탕으로 한 신화적 형태에서 합리적 설명을 첨가한 형태로 변모하고, 다시 인간 구제는 할 수

  • 한문연본춘향전 / 漢文演本春香傳 [문학/한문학]

    . 전체 분량은 33장이다. 각 장은 24행, 각 행은 20자 내외이다. 「춘향전」의 서사단락에 따라 본문은 12회로 나누어져 있다. 본문의 앞과 뒤에는 각각 출장연담(出帳演談)이 붙어 있다. 제1회 이의 광한루 구경, 제2회 이과 춘향의 만남, 제3회 이

  • 남창춘향가 / 男唱春香歌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판소리. 「동창춘향가」와 짝을 이루도록 분화(分化)시킨 작품이다. 필사된 이본이 여러 개 전해 오지만 미세한 자구의 차이만 보여 주는 것들이다. 이 작품은 다른 「춘향전」·「춘향가」와 마찬가지로 춘향과 이 이 사랑을 성취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