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단련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
사전(48)
- 도단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강화와 국방력의 강화를 위해 이 제도를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절도사를 두고, 이보다 작은 주에는 도단련사‧단련사‧자사(刺使)‧방어사(防禦使)를 설치해 군사적인 절도사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도단련사는 이러한 배경에서 설치되었다. 도단련사가 설치된 지역은...
- 곤해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전기 절도사체제에서 12절도사 중 승주(昇州 :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에 설치된 군. [내용] 995년(성종 14) 10도(道)의 설치와 동시에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절도사‧도단련사(都團練使)‧단련사‧자사(刺史)‧방...
- 영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府)를 설치하였다. 성종 때 환주(歡州)로 고쳐 도단련사(都團練使)를 두었고, 목종 때 이를 없앴다가 현종 때 복구시켜 지군사(知郡事)를 설치하였다. 이 시기에 천안은 온수군(溫水郡)을 비롯하여 아주(牙州)ㆍ신창(新昌)ㆍ풍세(豊歲)ㆍ평택(...이칭별칭천안부(天安府)|환주(歡州)|영주(寧州)
- 안절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12군(軍). [내용] 거란의 1차침입을 물리친 고려가 재침에 대비하여 중앙집권적인 지방통치질서를 강화할 목적으로 995년(성종 14)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전국을 10도(道)로 나누고 각 지방을 절도사ㆍ도단련사(都團練使)...
- 순의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절도사(節度使)에 소속된 12군의 하나. [내용] 995년(성종 14)에 10도의 설치와 동시에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절도사ㆍ도단련사ㆍ단련사ㆍ자사ㆍ방어사 등의 군사적인 절도사체제의 지방제도를 실시하면서 983년(...
고서·고문서(22)
- 대부도(大部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1468 B041468 대부도 大部島 도서 경기도 大東地誌 권1 경기도 水原府 沿革 本百濟買忽新羅景德王十六年改水城郡領縣四振威車城永豐廣德隸漢州憲德王十四年以唐恩縣來倂興德王四年析之高麗太祖陞水州南征甄萱時郡人金七崔承珪等歸順效力以其功陞爲知郡事成宗十四年改置都團練使穆宗八年罷之顯宗...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부도(大部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1547 B041547 대부도 大部島 도서 경기도 新增東國輿地勝覽 京畿道 水原都護府 建置沿革 本高句麗買忽郡新羅景德王改水城郡高麗太祖南征郡人金七崔承珪等歸順効力以功陞爲水州成宗置都團練使穆宗罷之顯宗九年復知水州事元宗十二年窄梁防戌蒙古兵入大部島侵掠居民島人怨憤殺蒙古兵以叛副使安悅率兵...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부도( 大部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1572 B041572 대부도 大部島 도서 경기도 高麗史 권56 志10 地理1 楊廣道 水州 水州 本高勾麗買忽郡新羅景德王改爲水城郡 太祖南征郡人金七崔承珪等二百餘人歸順效力以功陞爲水州 成宗十四年置都團練使 穆宗八年罷之 顯宗九年復知州事 元宗十二年窄梁防戍蒙古兵入大部島侵略居民島...출처전거高麗史 권56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결성(結城)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732 B020732 결성 結城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3 충청도 洪州 沿革 本百濟周留城唐改支潯州領縣九支潯已汶馬津于來解禮古魯平夷珊瑚隆化新羅合于任城郡高麗太祖析置運州成宗十四年置都團練使隸河南道顯宗三年改知州事九年改洪州領郡三大興楷城結城領縣十一高邱興陽驪陽新平保寧靑陽德豐伊山唐津貞...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결성(結城)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757 B020757 결성 結城 정치행정 新增東國輿地勝覽 忠淸道 洪州牧 建置沿革 本高麗運州成宗十四年置都團練使顯宗三年改知州事後改今名恭愍王七年以王師普愚之鄕陞爲牧十七年降知州事二十年復爲牧本朝因之世祖時置鎭屬縣新平縣 在州北九十里越人沔川郡東村本百濟沙平縣新羅景德王改今名爲槥城郡領...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도단련사 / 都團練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10도 12주 절도사체제 하의 지방관. 983년(성종 2) 12목 체제의 지방통치방식을 실시하고 있었던 고려가 995년 지방세력의 통제강화와 국방력의 강화를 위해 당나라 제도를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절도사를 두고, 이보다 작은 주에는 도단련사·단련사·자사
-
귀덕군 / 歸德軍 [정치·법제/국방]
고려 전기에 설치된 12절도사 중 상주에 주둔한 군. 고려는 995년 10도(道)의 설치와 동시에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절도사·도단련사·단련사·자사·방어사 등의 군사적인 절도사체제의 지방제도를 실시하였는데, 성종초에 두었던 12목(牧)을 12주 절도사로 개편하고
-
속함 / 速含 [지리/인문지리]
재보다 동쪽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940년(태조 23) 허주(許州)로 고쳤고, 995년(성종 14) 도단련사(都團練使)로 승격시켰다. 1012년(현종 3) 함양군으로 강등시켜 1018년 합주(陜州)에 예속시켰다. 1172년(명종 2) 현으로 강등시켜 감무를 설치하
-
영산 / 寧山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천안 지역의 옛 지명. 천안은 본래 별도의 행정구역이 없었는데, 930년(태조 13) 양정(湯井)·대록(大麓)·사산(蛇山) 지역의 땅을 떼어 천안부(天安府)를 설치하였다. 성종 때환주(歡州)로 고쳐 도단련사(都團練使)를 두었고, 목종 때 이를 없앴다가 현종
-
영풍 / 榮豊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 있었던 지명. 영주와 풍기가 합쳐져 생겨난 명칭이다. 고려 통일 이후 안동부의 관할 지역이 되었는데 신라시대 내령군은 강주(剛州)로, 급산군은 흥주(興州)로, 기목진은 기주현(基州縣)으로 개명되었다. 강주에는 995년(성종 14)에 도단련사(都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