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남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
사전(16)
- 도남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남서원 경북 상주시 도남동. 1606년(선조 39) 지방 유림의 공의로 정몽주, 김굉필, 이황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 정경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발전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그는 영남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주에 서원을 세워야 한다고 역설하고, 유생을 설득하여 도남서원(道南書院)을 창건하였으며, 이곳에 오현(五賢)을 종사(從祀)하였다. 1607년 대구부사로 나가 치적...이칭별칭 경임(景任)| 우복(愚伏)| 문장(文莊)
- 노수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상주의 도남서원(道南書院)‧봉산서원(鳳山書院), 진도의 봉암사(鳳巖祠), 괴산의 화암서원(花巖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의(文懿)이며, 뒤에 문간(文簡)으로 고쳤다. 『선조실록(宣祖實錄)』이칭별칭 과회(寡悔)| 소재(蘇齋), 이재(伊齋), 암실(暗室), 여봉노인(茹峰老人)| 문의(文懿), 문간(文簡)
- 만오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書)의 「상우복선생문목(上愚伏先生問目)」은 스승 정경세에게 상례(喪禮)에 대하여 질의한 내용이며, 소(疏)의 「언사소(言事疏)」는 당쟁의 폐단을 지적하고 정치의 공정성을 역설한 상소문이다. 「정방백문(呈方伯文)」은 황희(黃喜)를 모시는 사당과 도남서원(道...
- 정상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고, 도남서원(道南書院)에서 용학(庸學)과 『심경』을 강의하면서 후진을 가르쳤다. 영남유림을 대표하여 유성룡(柳成龍) 부자를 제향한 병산서원(屛山書院)의 사액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저서로는 『제암집』이 있다. 『제암집(制庵集)...이칭별칭 중소(仲素)| 제암(制庵)
고서·고문서(49)
- 도남서원(道南書院)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870년 도남서원(道南書院) 회중(會中)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70년(고종 7) 윤10월 20일, 도남서원 회중에서 옥산서원으로 보낸 것으로 그 내용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우산서원을 복원해달라는 상소를 올리기 위한 회합을 다음해 1월 21일에 개최하게 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이 통문에 따르면 우산서원은 우복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835년 상주(尙州) 도남서원(道南書院)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통문은 우산의 수계소에서 도남서원에 제향된 우복 정경세를 독향하는 사우를 세워서 오는 10월 22일에 봉안례를 거행하니 참석해 주길 청하는 내용이다. 본문의 내용을 보면 우복은 일찍이 우산에서 강론하였는데, 우복의 문집 가운데 강론을 했던 우산의 경치를 소재로 한...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무술년 도남서원 원말(道南書院 院末) 조목영(趙木榮) 단자(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1849년 도남서원(道南書院) 도회소(道會所)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통문은 1849년 윤4월 12일 도남서원 도회소에서 『한강선생속집』을 새로 간행하면서 제기된 시비를 가리기 위해 도회를 개최한다고 옥산서원에 통고하는 내용의 것이다. 이 통문은 이른바 영남의 삼대 시비 중의 하나인 한려시비와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이 통문에서 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주제어사전(3)
-
도남서원 / 道南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던 서원. 1606년(선조 39)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몽주(鄭夢周)·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1616년(광해군 8) 노수신(盧守愼)·유성룡(柳成
-
조석철 / 趙錫喆 [종교·철학/유학]
다. 매월 도남서원과 속수서원에서 사서를 강의하였다. 문집으로《정와문집》 8권 4책이 있다.
-
모암집 / 慕庵集 [종교·철학/유학]
도남서원과 관련된 1편의 통문과 3편의 장계를 비롯하여 2편의 송이 전하고 있고, 이어서 14편의 제문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