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5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45)
사전(1,388)
- 도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에 실시된 모임의 방명록 또는 유생(儒生)의 출석부. [내용] 시도(時到) 또는 시도기(時到記)라고도 한다. 모임의 방명록으로서의 도기는 치서(齒序 : 나이의 차례)를 정하는 자료로도 쓰이기 때문에, 모임에 도착한 날짜는 물론,
- 도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형이상의 본체인 이(理)와 형이하의 형상인 기(氣)를 아울러 이르는 말.정의형이상의 본체인 이(理)와 형이하의 형상인 기(氣)를 아울러 이르는 말.[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dogi | MR표기to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島居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0_D_0044 島居 인간 기타 百濟 北史 D_02_03_07 대동운부군옥 2권 3장 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3장 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도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출석부. 성균관 유생들의 출석 상황을 조사할 목적으로 식당을 출입할 때 사용됨. 到記 初七日設行 居首李元用父鎬肅之次金裕行父元性 直赴殿試, 신좌모(申佐模), 43-188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도기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도기라 하는데, 도기의 일정 점수에 도달한 자만을 과거, 즉 관시(館試)에 응시하게 했으므로 도기과라 하였다. 이는 성균관과 사학의 유생으로서 거관(居館)하지 않는 자가 많아 학교가 피폐해지고 문풍(文風)이 떨어지므로 이를 장려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점수는...이칭별칭반제(半製)|관시(館試)
고서·고문서(3,861)
- 도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사는 곳과 성명을 쓴 도기이다. 幼學 金東協‧宋柱憲‧李恭老‧金修玉 居西原 등 여러명의 명단과 거주지가 기록되어 있다. 무었을 위한 도기 인지는 알 수 없다.분야문학 | 유형문헌
- 기 노래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542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기 노래 〈#235〉 잇두∧ 단우 절라감수 단우 등처리∧ 기와산이∧ 무릅 밋헤 가라관 〈d〉1930.08.30.〈/d〉구분창가
- 盜覬僧妻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50 欽欽新書 卷一 ITKC_MP_0597A_1350_040_0430 盜覬僧妻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欽欽新書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黃圖紀略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十五○別集 潘南朴趾源美齋著 熱河日記 黃圖紀略 黃圖紀略 皇城九門 皇城周四十里, 若棋局然. 九門, 正南曰正陽, 東南曰崇文, 西南曰宣武, 正東曰朝陽, 東北曰東直, 正西曰阜成, 西北曰西直, 北西曰德勝, 北東曰安定 安定 : 저본에는 ‘定安...대표표제어黃圖紀略 | 목차熱河日記
- 시도기(時到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시도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구술자료(12)
- 도기형과 회룡고조 명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금동마을 왕비 이야기를 끝내고 조사자가 방으로 다시 들어가자고 하니, 제보자가 앞에 막혀있는 산을 보면서 이야기를 시작하였다.조사일시2010. 1. 18(월) | 조사장소나주시 반남면 대영리 구영마을 산 8번지 나종삼 씨 댁 | 제보자나종삼
- 경기도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도기리 민요의 음악조사자료이다. 2) 음질 상 경기도 논매는소리 방아타령 단허리 긴방아타령 아이랑 상사소리 집터다지는소리 지정닫이 경제시조 민요 1978-04-10 경기도 안성군 안성읍 도기리 25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서상덕
- 경상남도 밀양시_1. 상사 소리 2. 칭칭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강일석, 도기문 신유철(1918년생.남.토민), 강일석(1929년 무안면 덕암리 출생. 남. 일본에서 소학교 2학년부터 중학교까지 마침. 해방이후 무안리 입촌), 도기문(밀양군 청도면 두곡리 출생.남.1955년경에 무안리 이주) 이소라 이소라 1. 상사 류녹음지역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 녹음날짜1985.8.30 | 가창방식1,2. 멕받형(선후창)
- 최병찬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I-062A.mp3 I-062B.mp3 mp3 이보형 최병찬 1931-11-13 남자 경기도 안성시 도기동 35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병찬
- 이춘수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사건을 지켜봄 13. 친구의 권유로 입대함, 군대에서 농구부로 활동함 14. 제대 후 밀수업을 하다가 졸업 후에는 국가기관에서 일함 15. 면도기 사업 중 사기를 당함, 경제지『한국상공일보』수습기자 취직함 17. 기자활동 중 김우중과 인연을 맺어 캐나다로 이주‧정착함구술자이춘수 | 직업전 토론토이북오도민연합회장 | 지역평양
기초학문(54)
- 孔聖學(공성학)의 『湯島紀行(탕도기행)』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70480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15 孔聖學(공성학)의 『湯島紀行(탕도기행)』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영조대 到記儒生殿講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현순, 게재일 : 201353679 박현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영조대 到記儒生殿講에 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3
- 易傳의 道器結合的 聖人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병석, 게재일 : 200737005 정병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07 易傳의 道器結合的 聖人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사회갈등 보도기사의 비판적 읽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내원35052 강내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론학회 사회갈등 보도기사의 비판적 읽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삼국시대 鉛釉陶器의 특징과 연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민, 게재일 : 201759909 이종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호서사학회 2017 삼국시대 鉛釉陶器의 특징과 연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1,191)
- 設局賭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셔셔문외등디 엇던 셔양사에집에셔 수삭젼부터 잡기판을셜고 부랑류 오십명식 일회집야 무이쟝시갓고 그즁에 일본인일명이 돈긔쳔원을갓다노코 젼답가옥간물권을 젼집는데 변리는 일량의 오푼변식밧아 져간에 탕가산가 다수다는말이 낭되 경무쳥의셔는 아지못는...게재일1907년 2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水道技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부에셔 통감부로 죠회기를 본부슈도국을 방금실시바 슈도공에 기를 텰목판텰로 고빙야 시무케기로 작뎡 엿시니 원에계 훈칙야 곳시무케라엿다데 월급은 신화이원이오가비삼십오원이라더라게재일1906년 7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天道紀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명일은 곳 텬도교시죠 최룡담션이 경신년월초오일에 쳐음으로 하날 도밧든 긔념일이라 젼국 텬도교원들이 경셩에 회동야긔념경하기위야근일상경쟈 만타더라게재일1906년 4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鉄道技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삼품 소경씨가 텰도원 기를 피임엿더라게재일1902년 4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梶原陶器韓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즌고셔 져동넘어오난 아랫모통이 큰긔젼은 미원상졈인데 각죵긔도 만커니와다른긔젼보다 우념가로 발난고로 사마다그리로 복쥬다더라게재일1906년 8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90)
- 15세기 중반 도기소(陶器所)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도자기소 통계도 단계구분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도기소 수/내추럴브레이크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984_15세기_중반_도기소지도유형통계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도기[陶器]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692_16세기_초반_도기[陶器] 경제_747_16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도기(陶器)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O/X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경제_1065_17세기_중반_도기(陶器) 경제_1065_17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오지그릇[陶器]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750_18세기_중반_오지그릇[陶器] 경제_1750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오독도기[茹]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570_약재_15세기_중반_오독도기[茹] 경제_62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649)
- 장도기;張度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74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1면 장도기;張度璣 제7회 1940년 3월 1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도기풍;島崎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2065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84면 - 도기풍;島崎豊 소화19년2월23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도기찬;都基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5141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89면 1. 제12. 졸업생;35) 상과 제3회 졸업생 (1925년 3월 23일) 27인 도기찬;都基燦 원산부 上洞 197;...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도기찬;都基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6974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90면 2. 제8. 졸업자;35) 상과 27인 (1925년 3월 23일) 도기찬;都基燦 (원적)함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도기;全燾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4605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39면 11. 제11회 졸업생(50음순) 1935년 3월 3일 전도기;全燾基 제11회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
분단이후 통일담론의 역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연철 | 인제대학교 | 2024 | 국내 | 경남
-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신동원 | 전북대학교 | 2016 | 국내 | 전북
-
브렉시트 이후 영국 한국학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교육∙연구 선도 기관으로의 역할 강화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임소진 |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 2020 | 국외 | 해외
-
한국 및 동구권: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발전
한국학 전략연구소 육성사업 | Miriam Lowensteinova | Charles University | 2024 | 국외 | 해외
-
혁신적인 교육, 연구, 독일 지역내 협력을 통한 한국학의 역량강화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Yonson Ahn | Johann Wolfgang Goethe University | 2021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72)
-
도기 / 到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에 실시된 모임의 방명록 또는 유생의 출석부. 모임의 방명록으로서의 도기는 치서(: 나이의 차례)를 정하는 자료로도 쓰이기 때문에, 모임에 도착한 날짜는 물론, 본인의 성명·관향·자·호·생년 등을 적는다.
-
도기과 / 到記科 [정치·법제/법제·행정]
성균관 유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식년문과 초시에 해당하는 과거. 성균관 유생들 중 도기의 일정 점수에 도달한 자만을 선별하여 과거에 응시하게 했으므로 도기과라 하였다. 시험방법은 초시에서 삼경 가운데 하나를 스스로 택하고, 사서 가운데 둘을 추첨으로 택해 강경한 뒤,
-
도기서원 / 道基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안성시 안성읍 도기리에 있었던 서원. 1663년(현종 4)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장생(金長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9년 ‘道基(도기)’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1712년(숙종 38) 복액(復額)되었다. 선
-
송도기이 / 松都記異 [문학/한문학]
·전승개(田承漑)·임제(林悌) 등의 송도 출신 인사들에 관한 설화를 수록하였다. 그리고 송악 신사(神祀)에 관한 이야기, 노국공주릉이 도굴 당한 이야기, 화장사(花藏寺) 뒤의 바위 구멍에 살던 뱀의 이야기를 싣고 있다. 『송도기이』의 부록에는 고려의 우왕과 창왕 정위왕
-
청도기 / 淸道旗 [정치·법제]
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으로 사용된 깃발. 황후 의장 중 청도기는 청색 바탕에 홍색의 화염각을 달았다. 홍주칠을 한 대나무 자루에 납염한 정철로 창모양의 머리 장식을 만들어 달고, 그 아래에 상모를 늘어뜨린다. 길이는 1장 2자 5치이다. 1897년 명성황후 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