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교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
사전(36)
- 도교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공작(工作)을 맡아보던 관청. [내용] 문종 때 직제상으로 확립되어 영(令) 2인, 승(丞) 4인, 이속으로 감작(監作) 4인, 서령사(書令史) 4인, 기관(記官)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에 의하여 잡작국(...
- 천도교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록한 다음, 손병희가 설법한 주요 내용들을 천도태원설(天道太元說), 대종정의설(大宗正義說), 무체법설(無體法說), 성령출세설(性靈出世說)로 나누어 해설하였다. 그러나, 손병희에 대한 전기적 기록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아마도 박인호가 천도교서를 짓고 등사...
- 도교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궁중에서 쓰는 도구의 제작과 조각을 맡아보던 관아정의궁중에서 쓰는 도구의 제작과 조각을 맡아보던 관아 | 문광부표기Dogyoseo | MR표기Togyo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잡작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건축에 관한 모든 공역(工役)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내용] 도교서(都校署)의 후신이다. 고려의 관제정비기인 문종 때 세워진 도교서에는 목업(木業)ㆍ석업(石業)ㆍ조각장(彫刻匠)ㆍ석장(石匠)ㆍ장복장(粧覆匠)ㆍ이장(...
- 감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서리직. [내용] 입사직(入仕職)에 해당되었으며, 공작(工作) 관계의 일을 담당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장작감(將作監)에 6인, 도교서(都校署)에 4인, 액정국(掖庭局)에 1인을 두었다. 『...
고서·고문서(6)
- ○저동(苧洞)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인성(朴仁誠)에게 《참동계(參同契)》 참동계(參同契)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의 약칭이다. 後漢의 魏伯陽이 저술한 도교서적으로 煉丹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박병수, 「周易參同契의 성립과 그 성격」, 정신개벽논집 15, 1996, 175-185쪽)...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後漢의 魏伯陽이 저술한 도교서적으로 周易의 형식을 빌어 서술했다. 2책을 빌려주고, 이야기하다가 갔다. ○가리현(加利縣)의 이극무(李克茂) 씨가 소고기를 보냈다. ○야장(冶匠) 권손(權孫)이 작은 거자(鋸子)와 자귀[錯耳], 한자(閑子) 등의 물품을 갖다 주었다. 술...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父喪中母服說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年而嫁, 亦未爲晩也.” 此已經朱子勘破, 不容更有議論. 其他援據 據: 《星湖全集》에는 ‘證’으로 되어 있다. , 亦不過註疏文字, 徒覺絮繁, 未見有的實可據. 經文只言“父卒, 則爲母”, 其一“則”字, 亦非斷案. 以事理言之, 孝子雖不忍死親, 旣殯於西階, 葬而受葛, 期而練衰...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아침저녁으로 곡을 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老書) 두 권을 보내고 백(白)《참동계(參同契)》 참동계(參同契)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의 약칭이다. 後漢의 魏伯陽이 저술한 도교서적으로 煉丹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박병수, 「周易參同契의 성립과 그 성격」, 정신개벽논집 15, 1996, 17...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여자경개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하해갓튼 가장마음 남의이목 부그러라아무말도 안이하니 참은줄얼 엇지아러 칠거지악 모르고서 투기한긋 고이하다일허이첩 하는법은 사서인도 그릇크던하물며 대장부야 부귀공명 하올적에쌍교되에 도교서〃 광채도 찰난하다 칠〃하는 행자치마 한모간수 못하면서일장가난 층양업다 가장말 엿보...가사유형교훈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신문·잡지(14)
- 천도교회월보_1922_14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 천도교서를 외우면서 김병준 2 경전에 나타난 단편적 교리 이돈화 12 천도교와 조선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2
- 천도교회월보_1923_15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혁명사 (속) 연사 20 천도교서 일부를 보고 김덕제 23 참된 사랑은 조정호 26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3
- 천도교회월보_1920_12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소설 가을 장재문 91 원금성교구실기 최병원 97 천도교서 번역 원암 9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0
- 천도교회월보_1921_12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약사 18 천도교서 20 인내천 종지와 조선인과의 3대 기연(奇緣) 김홍식 23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1
- 천도교회월보_1921_12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6 물질생활과 정신생활 임창호 33 천도교의 잠세력(潛勢力)과 현세력 38 천도교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1
주제어사전(15)
-
도교서 / 都校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공작을 맡아보던 관청. 문종 때 직제상으로 확립되어 영 2인, 승 4인, 이속으로 감작 4인, 서령사 4인, 기관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에 의하여 잡작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 다시 복구되었다. 이 때 관원들의
-
잡작국 / 雜作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건축에 관한 모든 공역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도교서(都校署)의 후신이다. 문종 때 세워진 도교서에는 목업·석업·조각장·석장·장복장·이장 등의 전문기술인이 소속되어 있어 이미 목종 때 설치된 장작감(將作監)과 함께 당시 토목공사를 주관하였다
-
목수 / 木手 [사회/사회구조]
나무로 물건을 만드는 기술자. 나무를 마름질해서 집을 짓는 대목(大木)과 가구나 문짝 따위를 짜는 소목(小木)의 총칭이다. ≪고려사≫ 식화지(食貨志) 봉록조(俸祿條)에 이들을 소목장(小木匠)과 목업으로 구분한 것이 그것으로서, 이들은 중상서(中尙署)와 도교서(都校署)
-
미장이 / [사회/사회구조]
업종과 96명의 상층 수공업자 가운데 미장이는 도교서(都校署)에 1명이 딸려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들어와 이들의 숫자는 많이 늘어서 1460년에 제정된 체아직(遞兒職) 규정에는 선공감(繕工監)에 소속된 미장이가 30명으로 되어 있다. 그 뒤 15∼16세기에
-
내수도문 / 內修道文 [교육/교육]
1899년 동학의 제2대 교주 최시형이 여성교인의 생활규범을 기도문 형식으로 작성한 천도교서. 기도문. 최시형은 오랜 잠행생활을 통하여 당시 대부분의 여성에게 과해졌던 차별대우에 대하여 느낀 바 있어, 여성의 자각과 인간회복을 이루고자 하는 일상적인 실천사항을 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