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9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790)
사전(1,876)
- 영보도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도교의례. [내용] 『영보경(靈寶經)』의 독송을 주로하는 의식으로 1265년(원종 6) 정월에 행해진 것이 가장 오랜 기록이다. 1110년(예종 5) 송나라에서 2명의 도사가 오고 복원궁(福源宮)이 건립됨에...이칭별칭영보초(靈寶醮)
- 대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삼국사기(三國史記)』 『해동이적(海東異蹟)』 『청학집(靑鶴集)』 『한국도교사(韓國道敎史)』
- 백승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에 따라 이름을 바꾸기도 하였다.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高麗)의 도교사상(道敎思想)」(차주환, 『한국의 도교사상』, 동화...
- 백우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 연산군 때의 도류(道流). [내용] 본명은 이혜손(李惠孫), 자는 유후(裕後). 경주 보리진(菩提津)에 거주하였다. 종일 말이 없고 우둔해 보였으나 사물과 의리에 밝아 앞일과 지난일을 모두 알며 통견원문(通見遠聞)...이칭별칭 유후(裕後)|이혜손(李惠孫)
- 은원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술사(術士). [내용] 호는 무등산처사(無等山處士). 원중(元中)이라고도 한다. 청평거사 이자현(李資玄)과는 두터운 교우관계를 지니고 산천승지(山川勝地)를 탐방하여 도풍(道風)을 즐겼으며, 가야산에 은거하던 이중...이칭별칭 무등산처사(無等山處士), 원중(元中)
단행본(4)
- 근대전환기 도교•불교의 인식과 반응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 - | 조선대학교]저자 : 김형석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01220이 책은도교철학과 불교철학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도교의 경우, 근대전환기 한국 도교 전통의 맥락을 계승하면서 수련도교의 큰 축을 이루고 있는 전병훈의 정신철학통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 도교전통을 통해 동·서문명의 만남, 전통과 근대의 만남을 기획했...
- 한국신종교사전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 원광대학교]저자 : 한국신종교사전편찬위원회 ... | 출판사 : 도서출판 한맘 | 출판일 : 20180625근대에 발생한 한국 신종교들은 근대 대중·민중의 삶을 읽어낼 수 있고, 현대 신종교들은 또 다른 종교문화의 삶을 읽어낼 수 있는 재료가 되기에 중요하다. 근현대 한국 종교문화의 흐름은 먼저 유·불·도 삼교를 주축으로 하는 전통 종교문화의 근현대적인 변모를 담고 있다. ...
- 외국인을 위한 한국의 역사와 문화 [중앙아시아 지역 한국학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기초 교재 개발 사업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저자 : 이선이(경희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 박성준(경희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연구원)... | 출판사 : 한국문화사 | 출판일 : 2011.08.20분야교육 | 유형단행본(10)도교사상과 한국문화 (11)기독교사상과 한국문화 (12)민간신앙과 한국문화 Ⅲ.한국의 세계문화유산 (13)한국의 세계유산 (14)한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 외국인을 위한 한국의 역사와 문화 [중앙아시아 지역 한국학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기초 교재 개발 사업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저자 : 이선이(경희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 백태현(비쉬켁인문대학교 한국학과 교수), 박성준(... | 출판사 : AЛbCaЛam | 출판일 : 2011.08.11분야교육 | 유형단행본(10)도교사상과 한국문화 (11)기독교사상과 한국문화 (12)민간신앙과 한국문화 Ⅲ.한국의 세계문화유산 (13)한국의 세계유산 (14)한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논문(2)
- 도교와 생명 - 도교의 생명사상 [한국선도, 중국도교의 차이점 연구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저자 : 임태현 | 게재정보 : 도교문화연구유형논문
- 고구려의 도교와 『노자도덕경』 수용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저자 : 박승범 | 게재정보 : 선사와고대
고서·고문서(1,730)
- 도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도교 전 남자 요녕성(辽宁省) 청원현(清原县) 북삼가향(北三家鄕) 3 2 도교, 목사, 년세, 97세좌우, 생존, 할머님...대표표제어도교 | 성씨전
- 유도교본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유도교본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림구현(林口县) 왕림공사장흥대대 위생가 5 2 유도교본, 송부, 11월, 20일,대표표제어유도교본 | 성씨김
- 유도교본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유도교본 원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오상현 오상조사중사 2 2 유도교본, 사의, 옥체건강대표표제어유도교본 | 성씨원
- 유도교본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유도교본 장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화남현 류모하공사 신화대대 2 2 유도교본, 권투교본, 보내여주셨으면, 은혜, 잊지않겠...대표표제어유도교본 | 성씨장
- 유도교본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유도교본 김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용정현(龙井县) 삼합진 청수촌 삼대 3 2 유도교본, 택권...대표표제어유도교본 | 성씨김
구술자료(22)
- 도교 교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2-01-28 | 조사장소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 제보자양남학
- 삼산면에서 가장 먼저 세운 초도교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성리에 세워진 황남춘 공적비에 관한 이야기에 이어서, 의성리 출신 이남술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이야기를 진행하였다. 역시 조사자의 개입 없이 제보자 스스로 이야기를 이어나갔다.조사일시2010. 8. 21(토) | 조사장소여수시 삼산면 초도리 의성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이만조
- 우귀사신과 장례문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제사 문화〉를 듣고 조사자가 저승사자에 관한 질문을 하였다. 제보자가 이에 대해 답하였다. 홍콩에는 저승사자뿐만 아니라 우귀사신이라고 해서 소의 머리를 한 귀신과 사람 얼굴에 뱀의 몸을 한 귀신이 함께 다닌다고 한다. 또 홍콩에서는 도교식의 저승을 믿는데 지옥은 18국가홍콩 | 제보자채가오 [홍콩, 여, 1993년생, 유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충남 농악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테이프 겉면에 \'동학가사 2000.5.4 천도교\'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 내용은 충남 농요에 관한 것이다. 3) 음질 상 농악 내포농악 용덕기놀이 농악 2000-05-04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손용달
- 이기활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계 2. 지주로서의 토지개혁 경험과 동네의 상황 3. 일본 소학교의 교육 4. 청우당, 민주당, 노동당의 3당 구도하의 천도교 경험 5. 노동당의 우세와 선거의 모습 6. 해방과 일본인, 소련군에 대한 기억, 38선 이남과의 교류와 북한의 상황 7. 월남한 지주들의구술자이기활 | 직업재부5도연합회 회장 | 지역평안도
기초학문(170)
- 도교의 생명윤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태용, 게재일 : 200824219 김태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도교문화학회 2008 도교의 생명윤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도교 음부경의 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백희, 게재일 : 200741044 김백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도교 음부경의 사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7
- 백제문화의 도교적 요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영심, 게재일 : 201153678 김영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대사학회 2011 백제문화의 도교적 요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도가‧도교와 생명윤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재봉, 게재일 : 200535542 이재봉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철학회 2005 도가‧도교와 생명윤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도교의 페미니즘적 성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채우, 게재일 : 200432512 임채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도교문화학회 2004 도교의 페미니즘적 성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940)
- 間島交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리공 아부(阿部)씨 쳥국나동 (那桐)상셔 야 간도문뎨에 관반의견을 뎨츌엿 나동은 쳥국졍부 의견을 고집야 등부령 (齊縢中佐)의 무단히 들어감은 심히 온당치못고 명의 일본군가 쥬둔은 린국의 교의 유지기위야 니 퇴라나 일본공...게재일1907년 9월 20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內度交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부에셔 향일에 십삼도각군에 훈령기 현금디방셰수입죠로 각공 수리케터이니 상샤보고라지라 그후로부터 십삼도각군애셔 쥬뎍표와 수리비쳥구셔가 부와 탁지부에 츅일답지으로 부에셔 탁지부에야 그위졀을믈은즉 회답기 각군공즁 가이 폐지치못와 불가불 신셜...게재일1907년 4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法度交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부에셔 셰무상에 야 범포관리를 구라독랍케 경우에 각도 판소로 죠회터인 탁지대신이 셰무상으로만 지휘일이면 각관찰의게 훈령을발되 법상으로 평등죠회를터인 평한 량판소에 판금의게 지라도 죠회를규뎡이라 탁지대신과 법부대신간에 교셥...게재일1906년 7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林學生徒招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상공부에셔 농림학교 림학속셩과 학원 이십인을 션 본원이십오일로 그원입학의 쳥원셔를 슈봉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天道敎俱樂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진회에 참여 텬도교인 륙십여인이 텬도관규측에 위얏다야 즁앙춍부에셔 츌교지라 그츌교당 리용구씨등이 로이 교우동지구락부를 조직고 교즁임원을 조직엿 교장은리용구씨오 교주 렴창슌 박형 도집은 김관호 김지련 집강은 졍경슈 김현 대졍은 최영구 리용한게재일1906년 10월 9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426)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 도교 한국 도교 이강의는 2-3주차의 강의를 통해 중국 내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한 여러 도교 종파들에 대한 이해를 거쳐 4주차에서 중국의 노자와 장자를 중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 도교 한국 도교 이강의는 2-3주차의 강의를 통해 중국 내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한 여러 도교 종파들에 대한 이해를 거쳐 4주차에서 중국의 노자와 장자를 중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 도교 한국 도교 이강의는 2-3주차의 강의를 통해 중국 내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한 여러 도교 종파들에 대한 이해를 거쳐 4주차에서 중국의 노자와 장자를 중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 도교 한국 도교 이강의는 2-3주차의 강의를 통해 중국 내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한 여러 도교 종파들에 대한 이해를 거쳐 4주차에서 중국의 노자와 장자를 중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 도교 한국 도교 이강의는 2-3주차의 강의를 통해 중국 내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한 여러 도교 종파들에 대한 이해를 거쳐 4주차에서 중국의 노자와 장자를 중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연구결과보고서(1)
- 한국선도, 중국도교의 차이점 연구 결과보고서 [한국선도, 중국도교의 차이점 연구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21,619)
- 한도교;韓道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1407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2면 ㅁ1. 회원록;ㅁ5) 2학년 을조 한도교;韓道敎 경성부 연지동 1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도교우;都敎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624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35면 도교우;都敎愚 함남 홍원군 洪原面 南塘里 23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수도교육 소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수도교육 소식 수도교육 소식 首都敎育 消息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수도교육
- 수도교육 소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수도교육 소식 수도교육 소식 首都敎育 消息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수도교육
- 수도교육 소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수도교육 소식 수도교육 소식 首都敎育 消息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수도교육
연구과제(12)
-
한국선도, 중국도교의 차이점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정경희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2007 | 국내 | 충남
-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 -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철승 | 조선대학교 | 2015 | 국내 | 광주
-
한국 고전학 인적 네트워크 구축과 중국 내 한국학 창신(創新) ―한국학 분야의 연구 · 교육 · 사회소통 융합형 핵심 인재 육성과 확산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CAIMEIHUA | 湖南師範大學 (Hunan Normal University) | 2024 | 국외 | 해외
-
중국 화중지역 한국학 핵심기지 구축 사업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지수용 | 華中師範大學 (Central China Normal University) | 2016 | 국외 | 해외
-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위한 교육연구 체계 구축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HUONG | VNU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 | 2019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65)
-
도교 / 道敎 [종교·철학/도교]
신선사상을 기반으로 자연 발생하여, 거기에 노장사상·유교·불교 그리고 통속적인 여러 신앙 요소들을 받아 들여 형성된 종교. 도교가 종교의 형태로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 莊子≫·≪열자 列子≫ 등에 드러나 있는 도가사상은 존재하고 있었다. 동서고
-
도교서 / 都校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공작을 맡아보던 관청. 문종 때 직제상으로 확립되어 영 2인, 승 4인, 이속으로 감작 4인, 서령사 4인, 기관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에 의하여 잡작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 다시 복구되었다. 이 때 관원들의
-
선도교 / 仙道敎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단 중의 하나. 증산교에서는 일반적으로 강일순의 부인이었던 고부인과 관련된 종단을 선도교라고 부른다. 증산교 최초의 교단이다. 고부인의 선도교는 태을교라고도 한다. 이후 같은 이름의 교단이 생겨 고부인의 태을교를 '원태을교'라고도 한다. 1914년 전라북도 정읍
-
성도교 / 性道敎 [종교·철학]
동학계열의 신종교. 1923년 이민제가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서 창립하였다. 이민제는 시천교에서 활동하다가 1923년 4월에 득도하여 <삼역대경>을 저술하고 성도교를 창립하였다. 일제하에서 성도교는 사교로 지목, 이민제는 9개월간 옥살이를 했다. 이후 성도교를 제세
-
완도교 / 莞島橋 [지리/인문지리]
이로써 완도는 섬에서 육지로 완전히 탈바꿈하게 되었다. 제2의 완도교가 1985년 12월에 완공됨으로써 도로교통량의 문제는 완전히 해소되었다. 그러나 길이가 138m에 불과한 남창교는 교량의 양쪽 끝이 방조제의 형태로 되어 있어, 조류의 원활한 소통을 막아 인근 개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