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덧띠토기” 에 대한 검색결과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통 10∼20㎝이고, 바탕흙은 점토에 가는 모래를 약간 섞고 있으며, 손으로 빚어 아래로부터 위까지 제작한 뒤 아가리에 덧띠를 덧붙이고 있다. 의 두툼한 아가리는 초기에는 단면이 원형으로 나타나나 점차 타원형인 것도 보이며, 후기에는 아가리가 밖으로 꺾어...
    이칭별칭점토대토기|돌대문토기
  • 춘천칠전동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춘천시 칠전동 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粘土帶土器) 유적. [개설] 1994년에 한림대학교 박물관이 지표조사를 실시해 유적의 존재와 성격을 확인하였고, 다시 1995년에 택...
  • 구리교문동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물들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토기는 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와 [粘土帶土器]의 조각들이며, 석기는 대체로 타제석기 및 마제석기의 미완성품이 많다. 석기의 종류는 타제와 마제의 도끼ㆍ대팻날ㆍ가락바퀴[紡錘車]ㆍ주형(舟形)의 반달칼, 돌살촉ㆍ숫돌...
  • 보령교성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바닥의 중앙에 만들어진 다른 지역의 청동기시대 집터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각 집터 사이에는 벽이 이루어져 있으나 제2‧3‧4‧5호 집터는 샛벽이 없이 그대로 이어져 있었다. 출토토기로는 [粘土帶土器]‧목긴검은간토기[黑陶長頸壺]‧바리형토기[鉢...
  • 서울월곡동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 와부면 월곡리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 현재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월곡동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 일대는 주택지역으로 변하여 유적의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다. 수습된 유물로는 민무늬토기바닥편, 굽다리접시형[高杯型] 민무늬토기편, [粘土帶土器]편...

주제어사전(6)

  •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아가리 바깥부분에 단면이 원형 내지 타원형 또는 삼각형의 덧띠를 말아 붙여서 아가리를 두껍게 만든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 아가리에 단면이 원형·타원형·삼각형인 덧띠를 말아 붙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토기의 표면은 적갈색·흑갈색·갈색 등을 나타내고 있으며, 점토대의

  • 구리교문동유적 / 九里橋門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적. 1932년과 1934년 2차에 걸쳐 일본인 요코야마(橫山將三郎)가 교문리일대에서 민무늬토기조각과 석기를 채집하였는데, 이들 유물들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토기는 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와 [粘土帶土

  • 대전괴정동유적 / 大田槐亭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전광역시 서구 괴정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돌널무덤. 유물 중 청동기로는 한국식동검[細形銅劍]·거울[多鈕鏡]·동탁(銅鐸)·방패형동기(防牌形銅器)·원개형동기(圓蓋形銅器)·검파형동기(劍把形銅器)가 있다. 토기로는 아가리[口緣部]가 밖으로 둥글게 말린 이른바 [粘土

  • 보령교성리유적 / 保寧校成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U자, 단면 L자 모양의 특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출토토기로는 [粘土帶土器]·목긴검은간토기[黑陶長頸壺]·바리형토기[鉢形土器]·붉은간토기[紅陶]·조합식잡이토기[組合式把手付土器] 등이 있다.

  • 공주장원리유적 / 公州長院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 유형에 해당된다. 저장구덩이는 평면 원형이며, 주거지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 내부에서 〔粘土帶土器〕단계의 토기류가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