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덧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4)
사전(197)
- 덧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널을 넣기 위해 따로 짜맞춘 매장시설. [개설]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 것을 말하며, 곽(槨)과 같은 의미의 용어이다. 매장시설은 시체를 직접 넣는 널〔棺〕, 이를 안치할 수 있는 보호시설로서의 덧널, 곽의 외부시설로서의 묘실(墓室)...이칭별칭곽(槨)
- 덧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널을 넣기 위해 따로 짜맞춘 매장시설.정의널을 넣기 위해 따로 짜맞춘 매장시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eonneol | MR표기tŏnn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덧널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나무널〔木棺〕을 넣기 위해 무덤 중심부에 따로 짜 맞춘 덧널〔木槨〕을 갖춘 무덤. [개설] 나무널과 덧널 사이에는 여유가 있는 형태이며, 한자로 표기할 때는 목곽묘(木槨墓)라고 한다. 지상에 설치한 것도 있으나 묘광 안에 설치한 것이 주...이칭별칭목곽묘|목곽봉토분|목곽분|나무곽 무덤
- 돌덧널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무널〔木棺〕을 불편 없이 쉽게 넣을 수 있을 정도의 공간 및 규모를 지니고 그 안에 피장자의 착장품 외의 부장유물을 갖추고 있으면 돌덧널무덤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대규모인 것도 구덩식〔竪穴式〕이면 모두 덧널로 보는 학자들이 있다. 그 반면에 구덩식과 굴...이칭별칭석곽묘
- 외덧널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봉분 안에 피장자가 안치된 덧널이 하나만 설치된 고분. [내용] 단곽분(單槨墳)이라고도 한다. 고신라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과 가야지역의 구덩이식돌덧널무덤〔竪穴式石槨墳〕 등 매장 주체부가 구덩이식덧널로 되어 있는 삼국시대 고분의 한이칭별칭단곽분(單槨墳)
고서·고문서(4)
- 영양 화천동 폐사지 비편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형태와 판독되는 문자들을 통해 禪師塔碑로 추정하고 있다. 국립경주박물관, 2002, 『문자로 본 신라』, p.255국립경주박물관, 1993, 『경주 동방동 기와 가마터: 부록 1. 영일 대각리 돌덧널무덤 부록 2. 영양 화천동 폐사지』 國立慶州博物館, 2002, 『文字...연대. | 서체해서 | 소재지국립경주박물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순금제 대금구 수하풍금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중 1매. 금관총은 1921년 9월 경주시 노서리 현지점에서 가옥공사 중 우연히 발견된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이다. 사적 제39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금관총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된 이유는 신라유물의 대명사처럼 인식되어 있는 화려한 금관 일습이 한국에서...자료명순금제 대금구 수하풍금구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순금제 대금구 수하풍금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중 1매. 금관총은 1921년 9월 경주시 노서리 현지점에서 가옥공사 중 우연히 발견된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이다. 사적 제39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금관총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된 이유는 신라유물의 대명사처럼 인식되어 있는 화려한 금관 일습이 한국에서...자료명순금제 대금구 수하풍금구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순금제 대금구 수하풍금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중 1매. 금관총은 1921년 9월 경주시 노서리 현지점에서 가옥공사 중 우연히 발견된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이다. 사적 제39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금관총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된 이유는 신라유물의 대명사처럼 인식되어 있는 화려한 금관 일습이 한국에서...자료명순금제 대금구 수하풍금구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멀티미디어(3)
- _#2 유구 [사진45]신대동 2지점 1호 돌덧널무덤(①전경) 2013-09-18_0.5745966_[사진45]신대동 2지점 1호 돌덧널무덤(①전경).jpg b7-0064_#3 유구 [사진46]신대동 2지점 2호 돌덧널무덤(①조사전,②조사중)제목경부고속철도 대전북연결선 구간 대전 신대동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청주 가경3지구유적 h2-0186_#1 유구 [사진 8]유적 동쪽부분 유구 드러난 모습 h2-0186_1_2015-05-21_8402_[사진 8]유적 동쪽부분 유구 드러난 모습.JPG h2-0186_#2 유구 [사진 43]1호 돌덧널제목청주 가경3지구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단양 현곡리 고려고분군 -중앙고속도로 건설구간(영주-제천간)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구 원색사진 3. 고려시대 23호 돌덧널무덤과 일괄 유물 2015-02-05_0.6435205_원색사진 3. 고려시대 23호 돌덧널무덤과 일괄 유물.jpg n1-0033_#3 유구 지도 9. 조사지역 및 주변유적 분포도 2015-02-05_0.제목단양 현곡리 고려고분군 -중앙고속도로 건설구간(영주-제천간)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0)
- 단양 현곡리 고려고분군 -중앙고속도로 건설구간(영주-제천간)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적 배경 / Ⅲ.조사내용 1.고려시대 1)돌덧널무덤[석곽묘(石槨墓)] (1)1호 돌덧널무덤 (2)2호 돌덧널무덤 (3)3호 돌덧널무덤 (4)4호 돌덧널무덤 (5)5호 돌덧널무덤 (6)6호 돌덧널무덤 (7)7호 돌덧널무덤 (8)8호 돌덧널무덤 (9)9호 돌덧널무덤 (10...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서울시립대학교박물관/한국도로공사 | 발굴지역충청북도
- 청주 가경3지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시대 유구와 유물 1)집터 2)불땐자리 3)움 4)도랑 2.삼국시대 유구와 유물 1)1호 도랑 3.고려시대 유구와 유물 1)1호 돌덧널무덤 2)2호 돌덧널무덤 4.조선시대 무덤 5.수습유물 / Ⅳ.조사결과 종합 고려시대 유구로는 돌덧널무덤 2기가 발견되었다. 유적...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대전 노은동 유적 -대전 월드컵경기장 건립지역-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굴조사 Ⅰ.A-1지구 1.구석기시대 2.청동기시대 1)집자리 2)움무덤 3)움구덩 3.삼국시대 1)숯가마터 4.고려시대 이후 1)집자리 2)움무덤 3)돌덧널무덤 4)독무덤 5)움구덩 5.그밖의 유구 1)불땐자리 2)주검구덩 6.지표채집 유물 Ⅱ.A-2지구 1.구석기시대...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한남대학교중앙박물관/대전광역시종합건설본부 | 발굴지역대전광역시
- 하남 광암동 유적 –덕풍~감북간 도로확‧포장공사 4차구간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유적현황과 조사방법 2.백제 돌방무덤 1)1호 돌방무덤 2)2호 돌방무덤 3.신라 돌덧널무덤 1)1호 돌덧널무덤 2)2호 돌덧널무덤 3)3호 돌덧널무덤 4)4호 돌덧널무덤 5)5호 돌덧널무덤 6)6호 돌덧널무덤 7)7호 돌덧널무덤 8)8호 돌덧널무덤 9)9호 돌덧널무...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세종대학교 박물관/하남시 | 발굴지역경기도
- 경부고속철도 대전북연결선 구간 대전 신대동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집자리 (8) 8호 집자리 (9) 9호 집자리 2) 무덤 (1) 1호 돌덧널무덤 (2) 2호 돌덧널무덤 (3) 1호 움무덤 (4) 2호 움무덤 (5) 3・4호 움무덤 3) 기타 (1) 1호 움구덩 (2) 2호 움구덩 (3) 지표수습유물 2. 신대동 3지점 1) 움무덤...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한남대학교중앙박물관/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 발굴지역대전광역시
주제어사전(24)
-
덧널 / [역사/선사시대사]
널을 넣기 위해 따로 짜맞춘 매장시설.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 것을 말하며, 곽(槨)과 같은 의미의 용어이다. 매장시설은 시체를 직접 넣는 널〔棺〕, 이를 안치할 수 있는 보호시설로서의 덧널, 곽의 외부시설로서의 묘실(墓室)이 있다. 널과 덧널은 쉽게 구분된다.
-
돌덧널무덤 / [역사/선사시대사]
있을 정도의 공간 및 규모를 지니고 그 안에 피장자의 착장품 외의 부장유물을 갖추고 있으면 돌덧널무덤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대규모인 것도 구덩식〔竪穴式〕이면 모두 덧널로 보는 학자들이 있다. 그 반면에 구덩식과 굴식의 구분은 통로나 입구 여부에 따른 개념으로,
-
벽돌무덤 / A Tombs with bricks [역사/선사시대사]
벽돌〔塼〕을 이용하여 일정한 양식으로 축조한 무덤. 한반도에서 황해도와 평안남도를 중심으로 벽돌무덤이 확인된다. 이는 낙랑군의 강역이 이 지역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고고자료로 활용되었으나 반론도 있다. 낙랑에서 벽돌무덤은 먼저 유행하던 동혈합장(同穴合葬) 덧널무덤을 대
-
경주봉길리유적 / 慶州奉吉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住居址]와 신라시대의 고분군이 혼재하는 복합유적. 청동기시대 집터 20동과 도랑[溝] 2기가 조사되었다. 아울러 신라시대 덧널무덤[木槨墓] 29기, 돌덧널무덤[石槨墓] 148기, 돌덧널독[石槨甕棺] 1기, 독[甕棺
-
평양낙랑리팔십오호분 / 平壤樂浪里85號墳 [역사/선사시대사]
북한 평양특별시 낙랑구역 토성동에 있는 낙랑(樂浪)시기의 덧널무덤[木槨墳]. 대동강 남안의 낙랑구역 토성동 일대에는 낙랑군의 치소터[治址]로 추정되는 토성(土城)과 관련된 2,000여 기 이상의 덧널무덤과 벽돌무덤[塼築墳]등이 밀집 분포하고 있다. 낙랑리 제85호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