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덕흥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4)
- 덕흥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 고려 건국 초 덕흥창이 설치되고 나서 그 이웃 강변에 경원창(慶原倉)이 세워짐으로써 이 두 곳에서 세곡을 수납하였으나, 조선 초기 세조 때 현재의 충주시 가금면 가흥리 강변에 보다 큰 규모의 가흥창(可興倉)이 설치됨에 따라 이에 합병되었다. 원래...
- 강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海倉), 하천 연변에 설치된 것을 강창이라 하였다. 강창의 설치는 고려시대 한강 연변에 설치된 충주의 덕흥창(德興倉), 원주의 흥원창(興原倉)에서 비롯되었다. 이들 강창에서는 남한강 유역 일대의 세곡을 수납, 운송하고 있었다. 강창의 기능은 조선시대에 조운제(漕運制)...
- 평저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창(漕倉)을 두어 세곡을 경창(京倉)으로 조운하였는데, 충주의 덕흥창과 원주의 흥원창은 내륙의 조창이므로 강선으로 조운을 하였다. 그런데 정종 때에 12조창의 조선(漕船)의 수를 정하였는데, 하양‧영풍‧안흥‧진성‧해릉‧부용‧장흥‧해룡‧통양‧석두 등 바다를 통하...
- 초마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광의 부용창(芙蓉倉), 영암의 장흥창(長興倉), 순천의 해룡창(海龍倉), 사천의 통양창(通陽倉), 창원의 석두창(石頭倉) 등 10개 조창(漕倉)과 내륙에 충주의 덕흥창(德興倉), 원주의 흥원창(興元倉) 등 2개 조창과 황해도 장연현에 안란창(安瀾倉)을 두어 수로를 이용...
- 가흥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까지 존속하였다. 이곳에 수납된 세곡은 남한강 수로를 통해 서울의 용산창까지 운송되었는데, 두 창의 거리는 260리였다. 현재 충청북도 충주시 금천면의 금천강(金遷江) 서안에 있었던 고려시대 덕흥창(德興倉)의 후신으로, 조선 초기에는 경원창(慶原倉)이라 불렀다....
고서·고문서(6)
- 덕흥창(德興倉)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733 B050733 덕흥창 德興倉 정치행정 世宗實錄 地理志 世宗 149 地理志 / 충청도(忠淸道) 세종실록_40005001 石、牧丹皮、人蔘。 土産, 木瓜、辛甘草、松茸。 鐵場一在州南末訖金, 【中品】 磁器所一在州西寶蓮洞, 陶器所一在州北月乎峴。 【皆下品。】 邑石城、【...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흥창(德興倉)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734 B050734 덕흥창 德興倉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3 충청도 忠州 倉庫 邑倉 楊津倉肅宗十二年建于楊津之東十六年移建于邑內以儲軍餉可興倉在西北三十里江邊本高麗德興倉又稱慶源倉高麗時漕倉也鄭文忠夢周建設水站 本朝 (漕舡十四艘一舡載二百尺)世祖朝自金遷移建于可興驛東稱左水站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흥창(德興倉)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735 B050735 덕흥창 德興倉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15 方輿總志 高麗 _ ... 年築長城於西北路松嶺迤東以抱邊寇之衝按今大小城嶺棘城塞垣之地按自寧遠樂林山南來爲上劍山東南來爲天宜山嶺城巨里朱伊古城至于道連浦置三關門 樂林山西去爲甲峴道陽嶺狄踰嶺白山至于牛峴車嶺九階嶺止于於汀灘自...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흥창(德興倉)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736 B050736 덕흥창 德興倉 정치행정 忠淸道邑誌 天安郡誌 天安郡 倉庫 ○司倉 在衙東坐起廳六間庫舍二十三間大門一間○今坐起廳六間前玄黃宇三字庫十六間右宙洪荒三字庫十六間廢不用內十一面民人處分糶外四面則程道稍遠且有越浦之險各置外倉 外倉毛山倉 在毛山面蛤田里坐起廳二間庫舍八間自邑...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경양포(慶陽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877 B020877 경양포 慶陽浦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5 方輿總志 高麗 _ ... 道連浦狄踰嶺以北爲女眞諸部恭愍王時拓地東北則至于鏡城西北則至于江界○漕倉國初置十二漕倉於南道水郡成宗十二年置常平倉于兩京十二牧德興倉在忠州今可興倉平底船二十艘一艘載二百石興原倉在原州平底船二十一艘...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