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댐” 에 대한 검색결과 1,2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25)

사전(57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계곡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저수‧취수‧토사저지 등의 목적으로 축조하는 공작물의 총칭. [내용] 제언(堤堰)‧언제(堰堤) 등으로 쓴다. 목적에 따라 저수‧취수 및 사방 등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이라 하면 저수을 지칭하는 경우가...
  • 영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노항리와 삼매리에 있는 낙동강 지류인 금호강의 다목적. [내용] 높이 42m, 제방 길이 300m이며, 총저수용량은 9640만t이다. 1974년 10월에 착공하여 1980년 12월에 준공되었으며, 해...
  • 연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덕치리에 있는 . [내용] 이 은 1977년부터 1979년 사이에 연초천 수계의 물을 얻기 위해 건설된 석괴(石塊) (rock fill dam)으로, 높이 25m, 길이 120m이다. 유역 면적
  • 안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유금리에 있는 . [내용] 이 은 1968년부터 1971년 사이에 형산강의 지류인 기계천 수계의 물을 얻기 위해 건설된 어스 필 (earth fill dam)으로, 높이 32.5m, 길이 233....
  • 안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다목적. [내용] 낙동강 하구로부터 340㎞ 상류지점에 위치하며 1971년에 착공하여 1977년에 준공한 우리 나라 최초의 양수(揚水) 겸용 발전소이다. 의 높이는 83m, 제방길이는...

고서·고문서(350)

  • 둘미정 금광의 과 양수장을 촬영한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
    R5-B5-F3-011 둘미정 금광의 과 양수장을 촬영한 건 사진 도면 1918년 미상 미상 수안광산, 둘미정 금광(Tul Mi Chung Mine) Pumping Plant  amp; Reservoir, Tul Mi Chung M...
    문서종류사진 도면 | 생산일자1918년 | 수신자미상
  • DMZ 어제와 오늘 <11> 남북한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DMZ 어제와 오늘 <11> 남북한의 대한민국(남한) 국방홍보원 기타(신문) 국방부 산하 국방홍보원에서 발행하는 『국방일보』: 1964년 11월 168...
    대표표제어DMZ 어제와 오늘 <11> 남북한의 댐 | 저작권자국방홍보원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DMZ,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
  • 귀순 유천수下士(하사) 기자회견 "금강산은 對南水攻(대남수공)작전용"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귀순 유천수下士(하사) 기자회견 "금강산은 對南水攻(대남수공)작전용"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대표표제어귀순 유천수下士(하사) 기자회견 "금강산댐은 對南水攻(대남수공)작전용"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유천수, 귀순, 탈북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입체재단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2 1 입체재단, 책, 회신, 당원, 차간주임, 용기, 금강산, 자료,
    대표표제어입체재단 | 성씨
  • 1901년 안홍범(安洪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01년(광무5)9월에 전주 유학 안규백이 전라도 보성군 문덕면 수월촌(오늘날 전남 보성군 문덕면 주암 수몰지역)에 있는 밭을 안홍범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문서이다. 밭은 3마지기의 면적이며, 거래가격은 45냥이다. 이 자료는 조선조 후기 향촌사회의 토지경제사...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보성 복내 죽산안씨 죽곡정사

구술자료(31)

  • 담양의 도깨비다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사람 따라 온 호랑이 이야기가 끝나자 바로 이어서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 제보자는 조사가 처음 시작되었을 때는 이야기를 하지 않으려 했으나 막상 이야기를 시작하니 예상외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이야기 마지막 부분은 앞서 선보러 갔다 오던 길에 호...
    조사일시2011.02.19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하성마을 | 제보자신길자
  • 금대들보와 담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연이어 전우치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갔다. 제보자가 이야기하는 동안 청중들은 조용히 경청하고 있었다.
    조사일시2011.02.19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하성마을 | 제보자신영길
  • 용이라는 지명 때문에 이 생기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용면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고 자리를 뜨려고 준비하던 최광원 제보자가 댐에 관한 이야기를 하자 제보자가 다음의 이야기를 구 연했다.
    조사일시2011.01.21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계리 마을회관 | 제보자심봉구
  • = 150 이소라,『순창의 민요』금과들소리 보존회, 2005. 66~83쪽. 이소라,「주암 유역의 민요」『文化財』제21호, 문화재관리국, 1988. 142쪽 이하. [ 58②] (순창 77) 사하 뒤혀 뒤혀.jpg ‘순창 CD *사아 어뒤허
    녹음지역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청룡리 | 녹음날짜1989.5.2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으 [은] , 느흐저허, 가네 - (받): M1. (메): S4줏대 t1. v1,4. 비고정장단곡 ♪ = 150 이소라,『순창의 민요』금과들소리 보존회, 2005. 66~83쪽. 이소라,「주암 유역의 민요」『文化財』제21호, 문화재관리국, 1988. 142
    녹음지역전라북도 순창군 구림면 화암리 | 녹음날짜1989.5.30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15)

  • 건설에 대한 국민들의 의사결정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47899 한국연구재단 국토연구학회 2003 건설에 대한 국민들의 의사결정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한국 수자원 정책의 합리성 :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미홍, 게재일 : 2005
    37277 이미홍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행정학회 2005 한국 수자원 정책의 합리성 : 정책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상수원지(달방)에서 수중폭기에 따른 수질변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허우명, 게재일 : 1999
    09160 허우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물환경학회 1999 상수원지(달방)에서 수중폭기에 따른 수질변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
    유형논문 | 게재일1999
  • 개발주의와 국립 영상의 궤적 — 건설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은혜, 게재일 : 2016
    55688 김은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시사학회 2016 개발주의와 국립 영상의 궤적 — 건설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대규모 건설에 따른 사회적 영향과 주민의 삶의 질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형식, 게재일 : 2013
    44306 정형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기개발연구원 2013 대규모 건설에 따른 사회적 영향과 주민의 삶의 질 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37)

  • 29. 과 전력 통제에 대해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29. 과 전력 통제에 대해 국제 문헌 현대 한국, 미국, 압록강, 중국 기타자료 한국전쟁 관련 미국의 동향 보고 마오쩌둥, 한국, 미국, 압록강,
    대표표제어29. 댐과 전력 통제에 대해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문) | 작성연월1950년 11월 | 작성일18일
  • 7. 압록강 에 관한 발표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7. 압록강 에 관한 발표 국제 문헌 현대 워싱턴, 북한, 소련 기타자료 한국전쟁 관련 유엔의 동향 보고 그로스, 앙리 보네, 파로디, 애치슨, 워싱...
    대표표제어7. 압록강 댐에 관한 발표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문) | 작성연월1950년 11월 | 작성일6일
  • 13. 전기를 공급해주는 북한의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13. 전기를 공급해주는 북한의 국제 문헌 현대 한국, 미국, 만주, 베이징 기타자료 한국전쟁 관련 미국의 동향 보고 마셜, 러스크, 쇼벨, 한국,...
    대표표제어13. 전기를 공급해주는 북한의 댐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문) | 작성연월1950년 11월 | 작성일7일
  • 木都의 生命을 左右할 流筏問題를 再檢討 新義州서 主要官民이 懇談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는 11일 주요관계자가 집합하여 건설 후 유벌(流筏) 문제에 대해 간담회를 개최한 결과 부민을 대표하는 위원을 선출하여 적극적 운동을 개시하기로 결의 http://gonews.kinds.or.kr/OLD_NEWS_IMG3/MIN/MIN19391113y00_04....
    대표표제어木都의 生命을 左右할 流筏問題를 再檢討 新義州서 主要官民이 懇談 | 연월일1939년 11월13일 | 지역신의주
  • 流筏對策委員- 西本知事 訪問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유벌대책위원들과 함께 도청의 서본(西本) 지사를 방문하여 수풍 완성 후 유벌대책에 관해 양해와 지원을 구함 http://gonews.kinds.or.kr/OLD_NEWS_IMG3/MIN/MIN19391205y00_04.pdf
    대표표제어流筏對策委員- 西本知事 訪問 | 연월일1939년 12월5일 | 지역신의주

멀티미디어(39)

  • 팔당 준공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74년 5월 24일 열린 팔당수력발전소 준공식 소식을 전하는 뉴스이다. 팔당의 전경과 함께 준공식에서 치사를 하고 팔당을 둘러보는 박정희 대통령의 모습이 포함되어 있다. 이 은 장차 중화학공업시대에 대비해서 에너지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한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4년 6월 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무주 적상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무주 적상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 cc2-0126_#1 유구 도판 5. 사고지 2015-01-05_4.838198E-02_도판 5. 사고지.jpg cc2-0126_#2 유구 도판 44. 안국사 청하루지 2015-01-05_0.5
    제목무주 적상댐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대곡 수몰지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대곡 수몰지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 ss1-0111_#1 유구 지도 1. 유적위치도 2014-11-10_0.3464014_지도 1. 유적위치도.jpg ss1-0111_#2 유구 지도 7. 유적위치 2014-11-10_0.342
    제목대곡댐 수몰지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탐진 다목적 수몰지역 문화유적Ⅹ-장흥 신월리 건물지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탐진 다목적 수몰지역 문화유적Ⅹ-장흥 신월리 건물지 yy3-0227_#1 유구 yy3-0227 장흥 신월리 건물지_유구1_그림3 신월리유적 석렬배치 2014-10-18_0.5559656_yy3-0227 장흥 신월리 건물지_유구1_그림3 신월리유적
    제목탐진 다목적댐 수몰지역 문화유적Ⅹ-장흥 신월리 건물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탐진 다목적 수몰지역 문화유적Ⅶ-장흥 신월리유적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탐진 다목적 수몰지역 문화유적Ⅶ-장흥 신월리유적 yy3-0229_#1 유구 원색사진8 4호 토광묘 및 출토유물 2014-12-12_0.0244562_원색사진8 4호 토광묘 및 출토유물.JPG yy3-0229_#2 유구 원색사진9 5
    제목탐진 다목적댐 수몰지역 문화유적Ⅶ-장흥 신월리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78)

  • cc2-0126 유구 2014-01-20_0.2559931_무주 적상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 표지.jpg 무주 적상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 茂朱 赤裳 水沒地區 發掘調査報告書 1989/08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한국전력공사 257 ...
    발행연도1989/08 | 발굴기관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한국전력공사 | 발굴지역전라북도
  • (교단문원) 개발…(대청)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단문원) 개발…(대청) (교단문원) 개발…(대청)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동오 | 사료철명서울교육
  • 대곡 수몰지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ss1-0111 유구 대곡 수몰지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 大谷 水沒地區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 1998 창원대학교박물관/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대곡 지원사업소 85 최헌섭,김시환,김현희,고은영,양화영 김형곤,김시환 창원대학교박...
    발행연도1998 | 발굴기관창원대학교박물관/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대곡댐 지원사업소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장수 양악.오동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cc2-0252 유구 2014-02-01_0.1266748_장수 양악‧오동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 표지.jpg 장수 양악.오동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 長水 陽岳.梧桐 水沒地區 發掘調査報告書 1991 장수군‧남원농지개량조합/전북대학교박물관 ...
    발행연도1991 | 발굴기관장수군‧남원농지개량조합/전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전라북도
  • 풍요의 문 안동 이 열렸다-영남 젖줄의 새 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풍요의 문 안동 이 열렸다-영남 젖줄의 새 시원 풍요의 문 안동 이 열렸다-영남 젖줄의 새 시원 豊饒의 門 安東 이 열렸다-嶺南 젖줄의 새 始原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실 | 사료철명문교경북

연구과제(1)

  • 한국현대시와 비교문학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한성 | 숙명여자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02)

  • / dam [경제·산업/산업]

    계곡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저수·취수·토사저지 등의 목적으로 축조하는 공작물의 총칭. 목적에 따라 저수·취수 및 사방 등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이라 하면 저수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의 특수한 형태로서 토사유출을 저지하는 사방 외 광산에서 광물을 제

  • 담양 / 潭陽─ [경제·산업/산업]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대성리에 있는 . 영산강유역농업종합개발 1단계사업의 일환으로 1973년 8월부터 1976년 9월 사이 농업진흥공사가 건설하였다. 영산강 1단계의 4개 가운데 가장 높은 으로 높이 46m, 길이 306m, 부피 168만㎥의 경사 코어형 필

  • 사연 / 泗淵─ [경제·산업/산업]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 사연리에 있는 . 이 은 1962년부터 1965년 사이에 태화강의 지류인 대곡천 수계의 물을 얻기 위해 건설된 어스 필 (earth fill dam)으로, 높이 46m, 길이 300m이다. 유역 면적 124.5㎢, 홍수위 63.2m, 만

  • 섬진강 / 蟾津江─ [경제·산업/산업]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와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의 섬진강 상류에 위치한 콘크리트 중력식 . 1961년 8월에 착공하여 1965년 12월에 준공한 우리나라 최초의 다목적 이다. 의 높이 64m, 제방의 길이 344.2m, 총저수용량은 4억6600만톤이며 만수

  • 소양강 / 昭陽江─ [경제·산업/산업]

    강원도 춘천시 동면 월곡리와 신북읍 천전리 사이의 북한강 지류인 소양강의 . 의 높이는 123m, 제방 길이는 530m, 총저수량은 29억 톤으로 진흙과 돌로써 만들어진 사력 다목적 이다. 유역면적은 2,703㎢이며 만수위 때의 수면면적은 64.3㎢이다.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