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호군” 에 대한 검색결과 4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7)

사전(3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종3품 관직. [내용] 관계상으로는 건공(建功)‧보공장군(保功將軍) 등으로 별칭되었다. 고려 때의 대장군이 조선 초기 도위첨사(都尉僉事)로 개칭되었다가 태종초 으로 변개되었다. 1466년(세조 12) 종3품관...
    이칭별칭건공(建功)|보공장군(保功將軍)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의 5위(5衛)에 속하는 종3품의 무관직(武官職).
    정의조선시대의 5위(5衛)에 속하는 종3품의 무관직(武官職).[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daehogun | MR표기taeho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장군(大將軍) 오위(五衛)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시대 조선 시대 윤훈표 5위(五衛) 종삼품 [정의] 조선시대 중앙의 오위(五衛)에
    동의어대장군(大將軍) | 관련어오위(五衛)
  • 호군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상호군(上護軍)‧()‧호군(護軍) 등이 모여 군사(軍事)를 의논하던 기관. [내용] 고려 중방(重房)의 후신으로 1406년(태종 6) 장군방(將軍房)을 개칭한 이름이다. 호군청(護軍廳)이라고도 한다.
  • TD_L14_D_3791 夜先朝 인물 夜姓, 忠烈王 D_16_06_28 대동운부군옥 16권 6장 2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6장 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42)

  • 무오년 () 조(趙) 상소(上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1633년 정온(鄭蘊)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3(인조 11)년 5월 4일에 인조가 정온을 가선대부 용양위 에 임명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33년 정온(鄭蘊) 고신(告身)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3(인조 11)년 5월 4일에 인조가 정온을 가선대부 용양위 에 임명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88년 김방보(金邦寶)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88년(고종25) 11월 12일에 고종이 고 통정대부오위장김방보에게 자헌대부용양위으로 추증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 광산김씨 모충사
  • 1866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66년(고종 3) 12월, 국왕이 이원조를 자헌대부 행 용양위 에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이다. 이원조는 1809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 생활을 시작한 이후 1841년 제주목사에 임명되면서부터 당상관의 반열에 들어섰다. 1866년 12월에 공조판서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신문·잡지(1)

  • 한셩판윤 엄쥰원의 부친 고 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판윤 엄쥰원의 부친 고 嚴鎭三 증 졍이품 헌대부 의졍부 찬졍고 조부 증 호조참판 嚴載祐 증 죵이품 가션대부 의졍부 참찬다[以上六月二日[
    게재일1901년 6월 5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1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3품 관직. 고려 때의 대장군이 조선 초기 도위첨사(都尉僉事)로 개칭되었다가 태종초 으로 변개되었다. 1466년(세조 12) 종3품관으로 확정되어 오위의 고급지휘관으로 법제화하였다.

  • 이근우 / 李根友 [종교·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1∼?). 1821년(순조 21) 경과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의정부우참찬·사헌부대사헌·형조판서·형조판서·의정부우참찬 등을 지냈다. 1871년 에 있으면서 추상존호도감에서 근무하였고, 이후 판의금부사·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안눌 / 李安訥 [종교·철학/유학]

    1571(선조 4)∼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좌의정 행 증손. 할아버지는 원정, 아버지는 진사 형, 어머니는 경주 이씨로 양의 딸이다. 재종숙부인 사헌부감찰 필에게 입양됐다. 이식의 종숙이다. 예조정랑, 이조정랑, 홍주목사, 동래부사, 동부승

  • 중직대부 / 中直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교·상례·편수관··부사·병마첨절제사·수군첨절제사·병마우후 등이 있다.

  • 중훈대부 / 中訓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종3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종3품 상계는 중직대부, 하계는 중훈대부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3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부정·집의·사간·전한·사성·참교·상례·편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