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기독교
- 고신대학교
연구성과물(5)
사전(5)
- 대한예수교장로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해진 총회기구 개혁문제, 이단정죄문제도 함께 거론되고 있다. 대체로, 칼뱅주의에 입각한 장로교교리를 고수하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의한 장로교헌법과 12개 신조 및 요리문답(要理問答), 1986년에 제정된 대한예수교장로회 신앙고백서 등을 교리로 삼고 있어 다른 장...
- 고신대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사립종합대학교. [연원 및 변천]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총회가 운영하는 대학으로서, 1946년 9월 목사 주남선(朱南善)‧한상동(韓相東)이 고려신학교(高麗神學校)로 설립하였다. 민족항...
- 대한성서공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한성공회‧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합동, 고신, 개혁, 대신)‧한국기독교장로회‧한국루터교 등 12개 교단에서 파송한 재단이사회가 운영을 책임지고 있다. 교단 연합운동의 대표적인 기관이다. 『한국개신교사』(백낙준, 연세대학교출판부,...
- 한상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목사가 노회장으로 당선되면서 노회는 고려신학교 학생 추천을 취소하기로 가결하였다. 이에 그를 비롯한 고려신학교 측 목회자들은 경남노회를 탈퇴하여 1951년 경남 법통노회를 조직하였고 1952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노회를 결성함으로써 세칭 고려파 예장총회가 조직...
- 장로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창립 당시의 교세는 선교사 32명, 한국인 목사 7명, 세례교인 1만 7890명이었고, 교회수는 1,022개 소, 각급학교 402개 소에 달하였다. 그 뒤 각 도내에 노회가 계속 조직되어 1912년 9월 1일에는 평양 여자성경학교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가 소집되어 처...
주제어사전(3)
-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 大韓예수敎長老會(高紳) [종교·철학/개신교]
년 9월에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총노회를 조직하였다. 1959년에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측과의 합동문제가 구체화되었지만, 1963년에는 다시 고신측 환원이 진행되었다.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大韓예수敎長老會(統合) [종교·철학/개신교]
한국에서 가장 큰 장로교 교단의 하나. 1960년 2월 17일 서울 새문안교회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총회를 구성했다. 이 교단은 같은 장로교 내에서 진보적 노선을 취한 기독교장로회와 보수적, 근본주의적 노선을 취한 예장 합동측 및 고신측 사이에서 중도적인 노선을
-
고신대학교 / 高神大學校 [교육/교육]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사립종합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총회가 운영하는 대학으로서, 1946년 9월 목사 주남선(朱南善)·한상동(韓相東)이 고려신학교(高麗神學校)로 설립하였다. 1945년부터는 2년제 예과를 4년제로 연장, 교육하다가 1971년 고려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