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한불교조계종” 에 대한 검색결과 8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89)

사전(69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승과 대처승의 분규가 시작되어 큰 혼란을 빚었으나 교계의 고승들과 정부의 노력으로 1962년 3월 조계종 재건 비상종회를 열어서 종헌을 제정, 공포하여 통합종단을 출범시켰다. 1962년 12월 <불교재산관리법>에 의하여 으로 단체등록을 하였다. 그러...
    이칭별칭조계종
  • 쌍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안산시 대부북동 대금산(大金山)에 있는 절. [내용]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1689년(숙종 15) 창건하였으며 원래는 수정암(水井庵)이라 하였다. 15...
    이칭별칭수정암(水井庵)|쌍계사(雙鷄寺)
  • 수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군포시 속달동 수리산(修理山)에 있는 절. [내용]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창건자는 미상이나 신라 진흥왕 때 창건하였으며, 그 뒤 여러 차례의 중건‧중수를...
  • 은을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 척과리 국수봉(菊秀峰)에 있는 절. [내용]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신라시대의 고찰로서 창건설화가 전한다.
  • 장경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남한산성(南漢山城) 안에 있는 절. [내용]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남한산성 축성 때 팔도의 역승(役僧)들의 숙식을 위하여 창건한

고서·고문서(4)

  • 매. 사제엽서 문화생활 사찰 근대 한국 사진그림엽서 棧橋食堂 미상 미상 부산에 있는 잔교식당에서 범어사의 풍경을 촬영하여 발행한 엽서이다. 사진은 부산 금정산 동래 범어사의 입구 모습이다. 범어사는 제14교구 본사로 6...
    자료명범어사 | 발행처棧橋食堂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속 건물들이 있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1951년에 건물이 모두 불에 타 사라지고 삼층석탑만 남게 되었는데, 2004년 11월 과 현대아산(주), 북한 측 조선불교도연맹이 공동으로 대웅전을 복원함과 동시에 명부전을 비롯한 나머지 11개 전각도 2...
    자료명신계사에서 관음봉을 조망 | 발행처朝鮮總督府 鐵道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한국불교대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언卷頭言」, 총무원장總務院長 황진경黃軫經의 「추천사推薦辭」, 감수자 조명기의 「서언序言」, 편찬위원장 오고산의 「간행사刊行辭」, 이봉수의 「자서自序」가 순서대로 붙어 있다. 이어서 감수자에서 교정자에 이르기까지 명단이 열거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대표표제어〈한국불교대사전〉 해제 | 편저자 한국불교대사전편찬위원회 | 권수 7권
  • 〈佛敎大辭典〉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할 수 있는 의식집인 〈불자지송〉인데 佛敎書籍출판사 이름으로 1967년에 나왔다. 그 후 1968년에 지금의 홍법원을 설립하여 사전을 비롯한 다양한 불교입문서를 발간하였다. '홍법원이란 이름으로 처음 만든 책은 〈고승법어집〉으로서 경허, 용성, 만공, 만암...
    대표표제어〈佛敎大辭典〉 해제 | 편저자 吉祥 (김길상) | 권수 1권

기초학문(1)

  • 불교종단조직의 인사관리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의 종무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기룡, 게재일 : 2015
    61158 조기룡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불교종단조직의 인사관리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의 종무기관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

멀티미디어(182)

  • 불교승 단합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불교 분규 수습에 노력해온 불교재건위원회에서는 새로운 종단인 을 조직하고 1962년 4월 11일 종종 추대와 총무원장을 비롯한 간부 취임식을 거행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2년 4월 2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나라 안전을 위한 호국승군단 조직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스님과 신도 약 5,000명이 서울 조계사에 모여 호국승군단 발단식을 갖고 불법을 통한 호국안보에 이바지할 것을 다짐했다. 부산시내에 있는 불교조계종 대각사에서는 고려불상에 금옷을 입히는 해금불사 의식을 갖고 나라의 평화와 총력안보, 국립인복을 위한 호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5년 12월 24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박사(불교민속 전공) - 불교민속연구소 소장 - 총무원 성보보존위원 - 한국불교민속학회 연구이사 양영진 - 한양대학교 음악학 박사 - 국립민속국악원 학예연구소 - 한양대학교 겸임교원 -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위원 ACKR-04강좌
    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 II | 강의자배금란 교수, 구미래 교수, 양영진 교수
  • 박사(불교민속 전공) - 불교민속연구소 소장 - 총무원 성보보존위원 - 한국불교민속학회 연구이사 양영진 - 한양대학교 음악학 박사 - 국립민속국악원 학예연구소 - 한양대학교 겸임교원 -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위원 ACKR-04강좌
    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 II | 강의자배금란 교수, 구미래 교수, 양영진 교수
  • 박사(불교민속 전공) - 불교민속연구소 소장 - 총무원 성보보존위원 - 한국불교민속학회 연구이사 양영진 - 한양대학교 음악학 박사 - 국립민속국악원 학예연구소 - 한양대학교 겸임교원 -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위원 ACKR-04강좌
    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 II | 강의자배금란 교수, 구미래 교수, 양영진 교수

기타자료(10)

  • 울산 동축사 탑지 문화재 시굴조사 약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울산광역시동구청 57 임석규,노윤상,김강옥 임석규,노윤상,김강옥 문화유산발굴조사단 울산광역시 동구 동부동 565번지 울산광역시 동구 450㎡(약 136평) 울산광역시 동구청에서는 동축사의 옛 모습...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재)대한불교조계종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울산광역시동구청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오대산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s1-0105 유구 2013-12-08_0.9709131_문화유산발굴조사단_오대산월정사-석조보살좌상주변지역문화유적시발굴조사보고서-_2004_고려,조선_표지.jpg 오대산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보고서 五臺山 月...
    발행연도2004/07/27 | 발굴기관(재)대한불교조계종 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 | 발굴지역강원도
  • 오대산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II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s1-0106 유구 2013-12-18_0.6629602_문화유산발굴조사단_오대산월정사-석조보살좌상주변지역발굴조사보고서Ⅱ-_2005_고려,조선,근현대_표지.jpg 오대산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II 五臺山 月精寺 石造...
    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재)대한불교조계종 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 | 발굴지역강원도
  • 신축대웅전 부지 내 발굴조사보고서 화순 개천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호남문화재연구원/대천사 211/1~159 윤덕향,김건수,박수현 김건수,박수현,김미연 호남문화재연구원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석정리 전라남도 화순군 대웅전 신축으로 인한 부지내 문화재 조사이다. 현재 개천사가 자리잡고있으...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호남문화재연구원/대한불교조계종대천사 | 발굴지역전라남도
  • 제천 덕주사 극락전지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있어 덕주사의 변천과 기와의 편년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자기류가 특히 적게 출토되었다. 유물의 시대적 범위는 고려 중기부터 조선시대,일제강점기까지 이르고 있다. 덕주사는 제 5교구의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이다. 덕주사마애불이 있고 고려시대...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충청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불교]

    한국불교를 계승하는 뜻으로 조계종을 정식 명칭으로 삼았다. 1941년 조선불교조계종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1962년 12월에 으로 등록하였다.

  • 금수암 / 金水庵 [종교·철학/불교]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구계산에 있으며 1910년 동호가 창건한 절.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의 말사이다. 1923년 석봉이 중건하였으며, 1953년 법홍이 심우당을, 1963년 대광명전을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당우로는 대광명전과 대웅전, 심우

  • 도피안사 / 到彼岸寺 [종교·철학/불교]

    불교 사찰의 하나. 제3교구의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이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관우리 화개산에 있다. 865년 도선이 창건하였다. 국가의 비보사찰 가운데 하나였다. 1898년 화재로 소실된 후 주지 월운이 중수하였다. 문화재로는 국보 제63호인 도피안사

  • 견성암 / 見性庵 [종교·철학/불교]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에 있는 암자.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부속암자이다. 1908년에 만공이 창건하고 1930년 도흡이 중건한 이래 여러 차례 중수를 거듭, 비구니들의 수련도량으로 사용되었다. 비구니 참선도량으로 가장 대표적인 수도처이

  • 보덕사 / 報德寺 [종교·철학/불교]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서원산에 있는 절.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이다. 본래 옥양봉 남쪽 기슭에 있던 가야사를 승계하여 1871년에 창건하였다. 1951년 2월에는 비구니 수옥이 중창하였고, 1962년에는 비구니 종현이 증축하였다. 현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