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한불교법화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대한불교미륵종
- 대한불교법상종
- 대한불교보문종
- 대한불교불입종
- 대한불교용화종
- 대한불교원효종
- 대한불교일승종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불교진각종
- 대한불교진언종
- 대한불교천태종
- 대한불교총화종
- 대한불교화엄종
- 불교
연구성과물(16)
사전(16)
- 대한불교법화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재단법인 대한불교법화종 유지재단을 설립하여 허가를 얻었으며, 1969년 4월 8일 「불교재산관리법」에 의하여 대한불교법화종으로 불교단체등록을 하였다. 현재의 종정(宗正)은 금파 해수(錦波 海水)이다. 『법화경』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을 본체로 하여 일심삼관(...이칭별칭법화종
- 신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단석산(斷石山)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법화종(大韓佛敎法華宗)에 속한다. 창건연대 및 역사 등은 미상이다. 그러나 1969년 한국일보사가 주관한 신라오악...이칭별칭상인암(上人巖)
- 보안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면 효근리 효재마을 칠보산(七寶山)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법화종(大韓佛敎法華宗)에 속한다. 창건 및 역사에 대해서는 거의 전하는 바가 없으나 현재의 이 절은 『동국여지승...
- 무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한불교법화종(大韓佛敎法華宗)의 총본산으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절. [내용] 1946년 5월 혜일정각(慧日正覺)이 대각국사(大覺國師)를 종조(宗祖)로 삼고 『법화경(法華經)』을 근본경전으로 하는 불교의 일파를 창...
- 채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초량리 환희산(歡喜山)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법화종(大韓佛敎法華宗)에 속한다. 송시열(宋時烈)이 효종의 북벌계획에 호응하여 700명의 무사들을 양성하던 곳에 1655...이칭별칭환장사(煥章寺)|채운암(綵雲庵)
주제어사전(1)
-
대한불교법화종 / 大韓佛敎法華宗 [종교·철학/불교]
의천을 종조로 삼는 불교 종단의 일종. 1946년 정각(正刻)이 서울 성북동에 무량사(無量寺)를 세우고 창립. 대각국사 의천을 종조로 삼는다. 1969년 4월 8일 대한불교법화종으로 불교단체등록을 하였다. 근본경전은 <법화경>이다. <법화경>을 중심으로 일요일에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