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한불교법상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대한불교미륵종
- 대한불교법화종
- 대한불교보문종
- 대한불교불입종
- 대한불교용화종
- 대한불교원효종
- 대한불교일승종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불교진각종
- 대한불교진언종
- 대한불교천태종
- 대한불교총화종
- 대한불교화엄종
- 불교
연구성과물(6)
사전(6)
- 대한불교법상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불교의 한 종단. [내용] 우리나라 불교 18개 종단의 하나이다. 신라시대의 진표(眞表)를 종조(宗祖)로 하여 전영동(全英東)이 1969년 3월 15일전라북도 금산사(金山寺)에서 창종하고 대한불교법상종포교원이라 하였다. 1970년 2월이칭별칭대한불교법상종포교원|법상종
- 구복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삼각산에 있으며 1960년 주지 남궁이 창건한 절. [내용] 대한불교법상종의 서울 본사이다. 경내에는 거북모양의 바위가 있어 구복암이라 명명하였다. 예로부터 이 바...
- 미륵불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거의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그 뒤 미륵불교는 유제봉(柳濟奉)의 용화계(龍華契)와 증산교의 김자현파(金自賢派) 등 여러 파로 분열되었는데, 용화계는 최선애(崔善愛)의 미륵계(彌勒契)로 이어져, 1970년 대한불교법상종(大韓佛敎法相宗)으로 문화공보부에 등록되었다. ...
- 개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천호산(天護山)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법상종에 속한다. 936년(태조 19)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한 기념으로 창건하였다. 태조는 후백제의 신검(神劍)을 쫓아 황산(黃山) 숫고개를 넘어가서...
- 증산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다. 이들 가운데에는 대한불교미륵종(大韓佛敎彌勒宗)‧대한불교법상종(大韓佛敎法相宗)‧증산미륵도(甑山彌勒道)‧용화교(龍華敎) 등 불교적 색채를 띤 교파와, 단군성주교(檀君聖主敎)‧홍익교(弘益敎) 등 단군계통과 같은 인상을 주는 교파, 그리고 선도교와 같이 선도의...이칭별칭훔치교
주제어사전(1)
-
대한불교법상종 / 大韓佛敎法相宗 [종교·철학/불교]
진표(眞表)를 종조로 삼는 불교 종단의 일종. 1963년 김영동(金英東)이 전북 금산사(金山寺)에서 창립하였다. 진표(眞表)를 종조로 삼는다. 1977년 3월 8일 대한불교법상종포교원에서 대한불교법상종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본사는 서울 종로구 평창동 구복암(龜福庵)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