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한불교미륵종”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추대되어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하다가 1964년 10월 「불교재산관리법」에 의하여 중앙포교원으로 불교단체등록을 하였으며, 1977년 12월 ‘’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본사는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하고리 278에 있고 초대...
    이칭별칭무교(戊敎)|무을교(戊乙敎)
  • 무을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김계주(金桂朱)가 창시한 종교. [내용] 증산교 계통의 한 종파로 ()의 전신이다. 김계주는 1896년 9월전라남도 나주에서 태어나 일찍이 보천교(普天敎)에 입교하여 적극적인 신앙활동을 하였고, 또 모악교회(母岳...
    이칭별칭무교(戊敎)|대한불교미륵종
  • 무을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이상대는 무성상제(戊聖上帝‧甑山), 기성대제(己聖大帝‧車京石), 무성제군(戊聖帝君‧金桂朱)을 받드는 신앙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증산교파에서 무을교라는 교명은 이 밖에도 현재 ()이 한때 사용되었고, 박동혹(朴東惑)이 이 이름으로...
  • 단군사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이다. 이처럼 비단군계의 교단에서 자기들의 신앙대상과 함께 단군을 곁들여 신앙하거나 향사를 하는 교단, 그리고 전국에 무수한 무속 숭신인(巫俗崇神人)들의 기축도량(祈祝道場)이나 가정신단(家庭神壇)에 단군을 모신 것은 무수히 많다. 더욱이...
  • 증산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이들 가운데에는 ()‧대한불교법상종(大韓佛敎法相宗)‧증산미륵도(甑山彌勒道)‧용화교(龍華敎) 등 불교적 색채를 띤 교파와, 단군성주교(檀君聖主敎)‧홍익교(弘益敎) 등 단군계통과 같은 인상을 주는 교파, 그리고 선도교와 같이 선도의...
    이칭별칭훔치교

주제어사전(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