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한국국제” 에 대한 검색결과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18)

  • 법규교정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추진된 광무개혁(光武改革)으로 인하여 설치되었으며, 우리나라에 있어서 최초의 헌법이라고 할 수 있는 「()」를 반포하였다. 이는 전문 9조로 되어 있으며, 내용은 모든 통치권이 황제에게 집중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법규교정소는 총재‧의정관(議定...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를 초안하여 올리도록 하명하였다. 이에 법규교정소 총재 윤용선(尹容善) 이하 여러 의정관(議政官)과 위원 등이 검토, 토의한 끝에 「」 9조를 채택하여 황제명으로 반포하게 되었다. 여기서 ‘헌법’이 아닌 ‘국제’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은 국회에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년 대한제국이 반포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헌법.
    정의1899년 대한제국이 반포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헌법.[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aehan-guk Gukje | MR표기Taehan’guk Kukch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종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들이 그것을 돕도록 하였다고 비난하고 그의 집까지 습격하였다. 1900년 법규교정소(法規校正所) 의정관(議定官)이 되어 황제의 전제권을 명시한 「()」 제정에 참여하였다. 뒤에 농상공부대신ㆍ군무국총장ㆍ강원도와 평안남도관찰사ㆍ군부대...
    이칭별칭 치행(致行)
  • 윤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사무를 관장하였다. 1900년에 일본인과 직산금광채굴합동조약을 맺었고, 궁내부관제를 새로운 관제로 개정하였으며, 또한 법규교정소(法規校正所)의 의정관이 되어 () 제정에 참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의정부찬정을 지냈다.
    이칭별칭 사교(士交)| 하운(下雲)

단행본(1)

  • 고종과 대한제국 [고종의 국정운영과 리더십 |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저자 : 조재곤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01021
    이 책은 대한제국의 황제권력 형성과 운영에 관한 필자의 그간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서술한 글을 재정리하고 새롭게 구성한 것이다. 내용은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국으로 시작하는 시기부터 1904~5년 러일전쟁 전후 기간까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한제국 초...

고서·고문서(1)

  • 李太王實錄資料 2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2019412016201941_005 李太王實錄資料 24 자료제25호 李太王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46 0001 122 1899년 8월 17일 法規校正所에서 제정한 를...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초학문(2)

  • 禮治와 法治 : 未完의 ‘體制’와 그 性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원택, 게재일 : 2006
    02433 이원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회 2006 禮治와 法治 : 未完의 ‘體制’와 그 性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개화기 '禮治'로부터 '法治'로의 사상적 전환-미완의 '體制와 그 성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원택, 게재일 : 2008
    26141 이원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사상학회 2008 개화기 '禮治'로부터 '法治'로의 사상적 전환-미완의 '體制와 그 성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4)

  • 13. 대통령의 십사조목과 우리 독립의 관계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3) 약소민족 독립문제 13. 대통령의 십사조목과 우리 독립의 관계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18년 6월 3일 신한민보 『신한민보』. 『근정치관 자료집 제2권 제국-식민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pp.60-63) 기...
    대표표제어13. 대통령의 십사조목과 우리 독립의 관계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신한민보 | 출처『신한민보』. 『근대한국국제정치관 자료집 제2권 제국-식민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pp.60-63) | 키워드약소국의 독립, 국제연맹, 월슨의 십사조목, 약소국의 기회, 신한민보
  • 상원의원들에게 보내는 편지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3) 약소민족 독립문제 상원의원들에게 보내는 편지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18년 12월 10일 헨리 정 www.koreahistory.or.kr, 『근정치관 자료집 제2권 제국-식민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pp.39...
    대표표제어상원의원들에게 보내는 편지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헨리 정 | 출처www.koreahistory.or.kr, 『근대한국국제정치관 자료집 제2권 제국-식민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pp.39-41) | 키워드약소민족, 민족 문화 말살, 인권 침해, 민족자결주의, 기독교 박해, 미국의 도덕적 의무와 국익
  • 12. 약산생, 평화회의에 대한 결과를 예언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3) 약소민족 독립문제 12. 약산생, 평화회의에 대한 결과를 예언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18년 12월 26일 약산생 『신한민보』. 『근정치관 자료집 제2권 제국-식민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pp.57-60) ...
    대표표제어12. 약산생, 평화회의에 대한 결과를 예언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약산생 | 출처『신한민보』. 『근대한국국제정치관 자료집 제2권 제국-식민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pp.57-60) | 키워드약소국독립, 십사조목, 평화회의, 윌슨, 백성의 세력
  • 민족자결주의의 오해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3) 약소민족 독립문제 민족자결주의의 오해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19년 3월 6일 조선총독부 『매일신보』. 『근정치관 자료집 제2권 제국-식민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pp.63-64 기사/사설 2 이 글...
    대표표제어민족자결주의의 오해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조선총독부 | 출처『매일신보』. 『근대한국국제정치관 자료집 제2권 제국-식민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pp.63-64 | 키워드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자치 및 독립, 연합국, 중립국, 대일본제국

주제어사전(3)

  • / [역사/근대사]

    1899년 8월 17일 대한제국이 공포한 국제. 1896년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등이 중심이 되어 자주독립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자, 이에 정부에서는 1897년 연호를 ‘광무’로 정하고, 같은 해 10월 국명을 ‘대한제국’으로 고쳐 내외에 자주국가임을 선포하였다. ‘헌법

  • 법규교정소 / 法規校正所 [역사/근대사]

    1899년 교전소에서 분리, 개편된 전장과 법률을 개정하는 임무를 맡았던 기관. 아관파천 이후 비교적 외세의 간섭이 없이 자율적으로 추진된 광무개혁으로 인하여 설치되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헌법이라고 할 수 있는 ''를 반포하였다. 이는 전문 9조로 되어 있

  • 원수부 / 元帥府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때 설치되었던 황제 직속의 최고 군통수기관. 고종은 아관파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를 반포해 자강의 의지와 개혁을 추진하였는데, 1899년 군통수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원수부를 설치하였다. 황제가 대원수로서 모든 군기를 총괄하고 육해군을 통령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