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학장구대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2)
- 죽유오운종손가소장문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9년(현종 10)∼1844년(헌종 6) 사이의 오필주(吳弼周) 등의 호적단자(戶籍單子), 1592년(선조 25)의 전령(傳令) 1점 등 7종 110점이다. 전적은 ≪대학장구대전 大學章句大全≫‧≪동문선 東文選≫‧≪노주연송덕시회편 勞酒宴頌德詩會編 ≫ 등 간본 3종...연계항목죽유오운종손가소장문적(竹?吳澐宗孫家所藏文籍)
- 완판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6)‧서전대전(書傳大全, 全州府 河慶龍 藏板, 1916)‧논어언해(論語諺解, 全州府 河慶龍 藏板, 1916)‧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 全州府 河慶龍 藏板, 1916)‧대학언해(大學諺解, 全州府 河慶龍 藏板, 1916)‧대학연의(大學衍義, 全州府 河慶龍 藏板, 191...
고서·고문서(4)
- 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記《大學》小註疑義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靈者, 心之感。” 靈者, 心之知處, 雖未感物, 靈固自若。 不可曰心之感也。 小註, 新安吳氏曰: “自散在事物者而言, 則曰事理, 是理之萬殊處, 一物各具一太極也; 自人心得於天者而言, 則曰天理, 是理之一本處, 萬物統體一太極也。 然一實 實: 속1에는 “貫”, 《大學章句大全...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주역대전:乾卦_총론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氏)를 공벽(孔壁)을 지칭하는 공안국(孔安國)으로 보지 않고, 더 나아가 공자로 볼 수도 있다. 『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에 “子程子曰: 『大學』, 孔氏之遺書, 而初學入德之門也.”라고 하였으니 이는 주희(朱熹)가 공자(孔子)를 공씨(孔氏)라고 칭한 사례이다. 유정원...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최영진 교수)
- 上(退溪)(李先生)別紙【戊午】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能之。【此下缺】 朱……缺: 속1에는 누락. 해당 내용은 이황의 答書를 바탕으로《大學章句大全》1장 細註의 내용 “定靜安三字, 雖分節次, 其實知止後皆容易進。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此最是難進處。 多是至安處住了, 安而后能處, 非顔子不能之。 去得宇地位雖甚近然, 只是難進。...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주제어사전(1)
-
대학장구대전 / 大學章句大全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사서류(四書類). 주희(朱熹) 찬. 목판본, 규장각 1820년(순조 20) 불분권 1책(69장). 표제는 대학대전(大學大全)이다. 간기는 경진(庚辰, 1820) 신간내각장판(新刊內閣藏板). 표지에 '증전(曾傳)' 필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