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학연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6)
사전(108)
- 대학유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조 제22대 왕 정조가 송나라 진덕수(眞德秀)가 지은 『대학연의(大學衍義)』와 명나라 구준(丘濬)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에서 가장 절실한 글을 주비(朱批)‧채집(採輯)하여 엮은 책. [편찬/발간 경위]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저술이...이칭별칭어정대학유의
- 대학연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고, 이어서 상서성차자(尙書省箚子)‧진대학연의표(進大學衍義表)‧시정기방신장(時政記房申狀)이 있으며, 권말에 권근(權近)‧변계량(卞季良)‧김빈(金鑌)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3권 12책. 목활자본‧목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 대학연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송나라의 진덕수가 대학의 세 강령과 여덟 조목을 부연한 경서정의중국 송나라의 진덕수가 대학의 세 강령과 여덟 조목을 부연한 경서 | 문광부표기Daehak yeonui | MR표기Taehak yŏnŭ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학연의집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이석형(李石亨) 등이 송나라 진덕수(眞德秀)의 『대학연의』와 『고려사』에서 정치에 모범이 되고 경계해야 할 만한 글을 뽑아 엮은 책. [서지적 사항] 목판본. 21권 7책.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 대학연의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명(明)나라의 정주학자(程朱學者)인 구준(丘濬, ?-1495)이 송(宋)나라의 정주학자인 진덕수(眞德秀, 1178-1235)가 찬(撰)한 《대학연의》를 보완한 책.정의명(明)나라의 정주학자(程朱學者)인 구준(丘濬, ?-1495)이 송(宋)나라의 정주학자인 진덕수(眞德秀, 1178-1235)가 찬(撰)한 《대학연의》를 보완한 책.[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Daehak yeonui bo | MR표기Taehak yŏnŭi p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46)
- 대학연의(大學衍義)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대학연의(大學衍義)》는 주자(朱子)의 제자인 진덕수(眞德秀)가 《대학(大學)》의 뜻과 이치를 설명한 책이다. 즉, 《대학》의 8조목인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聖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 체제에 따라 유...저자진덕수(眞德秀, 송 1178 ~ 1235) | 간행시기1234년(南宋 理宗 10년) | 판본형태43권 12책
- 대학연의(大學衍義)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597 B049597 덕진 德津 군사교통 太宗實錄 元年(1401) 夏四月 태종실록_10104016_003 ○分遣大臣, 禱雨于開城大井、朴淵、德津。 上爲祈雨及禳星變, 遣左副承旨朴信于新都昭格殿, 行太一醮齋于別殿。 令侍讀金科, 齋於闕內, 進講《大學衍義》。출처전거太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20 B003920 강도 江都 정치행정 孝宗實錄 五年(1654) 五月 효종실록_10505001_003 ○上御夕講, 講《大學衍義》。 講訖, 同知經筵李時楷曰: “新豐府院君張維在世日, 欲著《癸亥反正錄》, 未成而卒。 靖社事實, 恐未得昭示于後也。” 特進官李時昉曰: “臣父家...출처전거孝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양(德讓)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內者也漢書纂國語家語大學衍義小學二帙校書館所送周易通鑑一帙伯氏之所備歷代臣鑑鄭知三所備綱鑑會要朱子大全明紀編年陳北溪性理書余之所備彙語古今名喩伯姪德讓所備也校中舊有鄕藥集邑侯持去交代官卽備置云己卯尹侯匡烈時禮記一帙自校中新備四書三經俱解自官備置 所謂養士卽所庚申辛酉年間所創也陳侯尙漸助以鹽盆一坐李侯...출처전거江原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2)
- 세종의 정치이념과 『대학연의』_제2회 연구 중간발표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남욱, 게재일 : 200513691 조남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국가경영연구소 2005 세종의 정치이념과 『대학연의』_제2회 연구 중간발표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주자학에서 '도덕적 경영'에서 '경영적 도덕'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상우, 게재일 : 2014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6223&local_id=10048068 주자학에서 '도덕적 경영'에서 '경영적 도덕'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에 관한 연구: 眞德秀의 〈大學衍義〉에서 丘濬의 〈大學衍義補유형논문 | 게재일2014
주제어사전(6)
-
대학연의 / 大學衍義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간행한 송나라의 학자 진덕수의 『대학』주석서. 43권 12책. 목활자본. 1403년(태종 3), 1434년(세종 16), 1527년(중종 22) 등 여러 차례 국비로 간행하였다. 권두에 중종이 쓴 어제서문과 진덕수의 자서가 있고, 이어서 상서성차자·진대학연
-
국조대학연의 / 國朝大學衍義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권상신이 『대학』의 기본 정신에 우리나라 역대 왕들의 언행을 부합시켜 1865년에 간행한 주석서.유학서. 『대학』의 삼강령·팔조목의 기본 정신과 우리나라 역대 왕들의 언어 행적을 부합시켜서 조선조 태조로부터 정조까지의 사실과 행의(行誼)를 수록하고
-
대학연의집략 / 大學衍義輯略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 이석형이 『대학연의』와 『고려사』를 요약한 정치서. 목판본. 21권 7책.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책머리에 저자의 서문이 임금께 올리는 전문(箋文)의 형식으로 실려 있고, 책 끝에는 이정구(李廷龜)가 인조에게 올린 「진대학연의집략차(進
-
대학유의 / 大學類義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정조가 『대학연의』와 『대학연의보』에서 가장 절실한 글을 발췌하여 1781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서두에 제대학유의(題大學類義)라 하여 정조가 쓴 어제(御題) 서문과 범례(凡例)가 있고 권수(卷首)에는 주희(朱熹)의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 진덕수의
-
광보자경편 / 廣補自警編 [종교·철학/유학]
, 『이정전서(二程全書)』 139항목, 『주자대전(朱子大全)』 216항목, 『주자어류(朱子語類)』 279항목, 『소학』 47항목, 『근사록(近思錄)』 93항목, 『성리대전(性理大全)』 83항목, 『대학연의(大學衍義)』 25항목, 『대학연의보』 94항목, 『송명신록(宋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