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학박사” 에 대한 검색결과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국자감에 설치된 관직. [내용] 국자감에는 5품 이상 관직자의 자제가 입학하도록 되어 있는 대학(大學)을 두었는데, 는 여기서 교수직을 맡았다. 정원은 2인이었고 품계는 종7품이었다. 국가로부터 전(田) 60결과 시(柴)...
  • 윤신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때 박사는 1경(經)만을 시험하였으므로 실력이 모자라는 사람이 많아서 반드시 오경을 통달한 후에 선발하게 되니 이에 사문(四門)가 되었다. 충선왕 때 우헌납강릉부익선사(右獻納江陵府翊善使)가 되었다. 뒤에 충선왕이 그가 충숙왕의 총애를...
    이칭별칭 이지(伊之)| 장명(莊明)
  • 국자조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국자감(國子監)의 관직. [내용] 성종 때에 국자감을 설치하면서 국자사업박사(國子司業博士)와 함께 국자조교를 두었고, 그밖에 ()ㆍ대학조교(大學助敎)ㆍ사문박사(四門博士)ㆍ사문조교(四門助敎) 등을 두었다. 조...
  • 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국자감에서 교육을 담당한 관직. [내용] 고려시대는 중앙 최고의 국립대학인 국자감에 여러 박사를 두어 자제들에게 유학과 전문에 관한 기술학을 교육하였다. 즉, 국자감의 국자학(國子學)에는 국자박사, 대학에는 , 사...
  • 대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장 분량의 글씨 연습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국어(國語)』‧『설문(說文)』‧『자림(字林)』‧『삼창(三倉)』‧『이아( 爾雅)』 등 자전류를 읽게 하였다. 교관으로는 성종 때 ‧대학조교를 두었고, 문종 때 의 품계를 종7품, 정원을 2인으로 하였...

고서·고문서(11)

  • 32657 B032657 나득황 羅得璜 인물 高麗史節要 卷之十八 元宗 元年 春正月 春正月 太孫 以趙珣 參知政事 崔昷 爲樞密院使 金佺 朴成梓 爲樞密院副使 又以判禮賓省事羅得璜 爲濟州副使 前此 宋佋 守濟州 坐贓免 人語曰 濟州 昔經小盜 今遇大賊 又有知天文而拜者 能暴虎...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八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3942 B063942 도인 島人 도서 도인(島人) 高麗史節要 卷之十八 元宗 元年 春正月 春正月 ... 樞密院副使 又以判禮賓省事羅得璜 爲濟州副使 前此 宋佋 守濟州 坐贓免 人語曰 濟州 昔經小盜 今遇大賊 又有知天文而拜者 能暴虎而爲侍御醫者 人嘲之曰 占星大學博 捉虎...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八 | 지역분류도인(島人)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幼年必讀釋義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ᄒᆞᆫ다ᄂᆞᆫ 句語 高句麗ᄂᆞᆫ 小獸林王이 大學을 立ᄒᆞ야 子弟ᄅᆞᆯ 教ᄒᆞ고, ᄯᅩ 律令을 發ᄒᆞ고 其歷史ᄂᆞᆫ 國初브터 文字ᄅᆞᆯ 用ᄒᆞ야 時事紀一百卷이 有ᄒᆞ니 名曰留記라 嬰陽王이 李文眞을 命ᄒᆞ야 此ᄅᆞᆯ 刪修ᄒᆞ니 新集이 五卷이오 大抵高句麗ᄂᆞᆫ 街里厮養의...
    서명幼年必讀釋義 | 자료명第一課 學問 一
  • 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卷二 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_卷二 第三十課 文記之始 조선총독부 1924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국립중앙도서관 일제강점기 관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高勾麗嬰陽王十一年에 詔李文眞하야 約古史하...
    서명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 자료명第三十課 文記之始
  • 中等敎科東國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四十四 佛敎傳來始於高句麗 四十五 儒佛仙三敎幷行 四十五 博士及論語千字文遣于日本 四十五 五經博士 四十六 佛像經論送于日本 四十六 新羅佛敎 四十六 八關法 四十七 眞興王削髮王后亦爲尼 四十七 元曉義相道詵 四十七 世外敎 四十七 新羅始立國學 四十七 高句麗歷史 四十八 四十八 ...
    서명中等敎科東國史略 | 자료명目錄

기타자료(1)

  • 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숙위 학생을 신라로 돌려 보내달라고 요청한 狀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文德元年放歸限滿學生金紹游等例 勒金茂先等幷首領輩 隨賀正使級餐金穎船次還蕃 庶使駕馬成規 無辭十駕之役 割鷄新刃 聊呈一割之能 臣義重在三 情深勸百 冒犯宸辰 無任激切屛營之至 (󰡔東文選󰡕 47, 狀 奏淸宿衛學生還藩狀 崔致遠) 【해석】 신라국 當國은 먼저 表를 갖추어 아뢴...
    대표표제어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숙위 학생을 신라로 돌려 보내달라고 요청한 狀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국자감에 설치된 관직. 국자감에는 5품 이상 관직자의 자제가 입학하도록 되어 있는 대학(大學)을 두었는데, 는 여기서 교수직을 맡았다. 정원은 2인이었고 품계는 종7품이었다. 국가로부터 전(田) 60결과 시(柴) 33결을 지급받았다.

  • 국자조교 / 國子助敎 [교육/교육]

    고려시대 국자감의 관직. 성종 때에 국자감을 설치하면서 국자사업박사와 함께 국자조교를 두었고, 그밖에 ·대학조교·사문박사·사문조교 등을 두었다. 조교는 박사와 같이 교수요원으로 등급만 차이가 있었다.

  • 대학 / 大學 [교육/교육]

    이상 관리의 아들과 손자, 3품 이상 관리의 증손자, 훈관 3품 이상으로 봉작이 있는 사람의 아들이 입학할 수 있었다. 교관으로는 성종 때 ·대학조교를 두었고, 문종 때 의 품계를 종7품, 정원을 2인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