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추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
사전(88)
- 대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며, 9∼10월에 적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익는다. 원산지는 중국으로 우리 나라에 전래된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1188년(명종 18) 이래에 널리 재배를 권장하였다고 한다. 대추나무의 재배적지는 연평균기온이 8℃ 이상이고 1월의 평균기온이 -10℃ 이상이며,...
- 덕동대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특별시 사동구역 덕동리에 있는 대추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9호. 대추나무는 덕동리로부터 약 1.5㎞ 정도 떨어진 이현부락의 대추밭 가운데 있다. 대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석회암지대에 생긴 산림...
- 은정대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봉산군 은정리에 있는 대추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413호. 대추나무는 흥수역에서 남동쪽으로 약 8㎞ 정도 떨어진 은정리 칡골의 산기슭 아래에 있다. 대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사암지대에 생...
- 평산대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평산군 봉탄리에 있는 대추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89호. 봉탄리 철봉산 서남쪽의 막다른 골짜기 안에 철봉부락이 있다. 대추나무는 이곳의 한 살림집 앞에 있다. 대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 봉오리왕대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재령군 봉오리에 있는 왕대추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453호. 왕대추나무는 황해 금강으로 널리 이름난 장수산 북쪽 기슭의 봉오리 마을 옆에 퍼져 있다. 왕대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산림밤색 토양이고...
고서·고문서(58)
- 대추나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대추나무 김 남자 길림성(吉林省) 반석현(磐石县) 우심향(牛心?) 우조2대 2 2 대추나무, 큰부락, 동네, 강, 절...대표표제어대추나무 | 성씨김
- 미상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軆舍 4칸, 前退와 行廊 2칸, 감나무 6주, 대추나무 4주를 320냥에 방매함분야문학 | 유형문헌
- 1731년 양인(良人) 이암회(李岩囬)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731년 2월 11일, 유학(幼學) 이동진(李東振)이 양인(良人) 이암회(李岩囬)에게 봉화(奉化)동면(東面)돌고개원(乭古介貟)에 있는 밭과 뽕나무, 대추나무 등을 52냥으로 값을 정하여 받고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583년 오촌숙(五寸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83년(선조13) 오촌숙부가 조카 정대령(鄭大岭)과 논밭을 맞바꾼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자신의 논 4마지기를 조카의 겉보리밭 7마지기와 바꾸었는데, 밭가에 심어져 있는 대추나무와 감나무도 함께 넘겨받았다. 다만 논값이 밭값에 미치지 못하여 유장의(襦長衣) 한 벌과...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752년 세룡(世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고 대추나무 2주(株) 및 본문기(本文記) 3장과 함께 상전(上典)의 배지[牌子]에 따라서 정생원(鄭生員) 댁 노(奴) 어둔(於屯)에게 팔면서 작성한 문기이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명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구술자료(6)
- 못쓰는 대추나무를 판 봉이 김선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친구하고 내기해서 이긴 이야기는 없느냐고 묻자“아 봉이 이야기” 하면서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시종 웃음 띤 얼굴로 조사자에게 동의를 구하면서 이야기를 해나갔다.*조사일시1984-02-09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 제보자장정섭
- 두들기면 떨어지는 대추나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뚝덕방망이 이야가가 없느냐고 물었더니 그런 이야기는 모르고 이런 이야기가 있다고 말한다.*조사일시1980-08-12 | 조사장소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 제보자김정균
- 방학중이 팔아 먹은 대추나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만서나 방학중에 관한 이야기는 없느냐고 했더니, 방학중이 이야기는 끝이 없다고 했다. 방학중이 이야기를 들어 보자고 했더니, 먼저 이 이야기를 했다. 다른 곳에서 듣지 못했던 것이다. *조사일시1981-08-02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군 북후면 옹천동 | 제보자강대은
- 괵끼뿌리의 중국 대추나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선감1리 경로당에는 남자 어르신 다섯 분 정도가 화투를 치고 있었다. 연로하여 귀들이 어둡고, 또 이곳의 토박이들이 아니어서 마땅히 우리 의 질문에 답변해줄 수는 없었다. 안산시사에 참여하여 마을의 유래를 설명하였던 문기식 제보자를 묻자, 전화하여 경로당에 나오게 ...조사일시2011. 1. 18(화) | 조사장소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선감1리 경로당 | 제보자문기식
- 뱀이 많이 생겨난 이유(낑껑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엄마 흉내를 내라고 했다. 흉내 소리를 듣고 여자가 온 것이라 여긴 뱀이 밖으로 나오자 남자가 칼로 쳐 죽였다. 남편은 뱀의 머리는 대추나무에 걸고, 고기는 국으로 끓여서 아내에게 주었다. 모르고 국을 먹던 여자에게 구관조가 ‘네 남편을 먹고 있다’고 했다. 남편에게국가캄보디아 | 제보자디다넬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5년차] 포유미네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7)
- 신시대_1942_02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兄弟 김사영 113 장편소설현상모집 125 대추나무 (2) 유치진 12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2
- 신시대_1943_03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연 김동석 128 형제 (3) 김사영 130 대추나무 (완) 유치진 142 144...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3
- 신시대_1942_02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25 조선의 실학파와 그 저서 이재욱 127 古本について 최인욱 131 대추나무 유치진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2
- 재독한국문학_2010_0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원두커피 외 1편 유한나 103 바닷가의 석양에 외 4편 이금숙 107 내 정원의 대추나무 외 1편 이...발행국가독일 | 발행연도2010
- 황해일보_1951_0912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원응준 안지송 주재기자 사리원, 웽그리야 황혼의 깃□ 무렵 사리원시 선창리마을 한복판 우물구덩에는 불□□은 안악네들이 가득히 모여있었다. 이들은 모다 색색이 원피―스 스카―트로 보기좋은 옷차림을 하고 있었다. 대추나무 아래에서 모여노는 어린이들은...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1_0912_02 | 책임주필원응준
기타자료(3)
- (교사수첩) 대추나무 심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사수첩) 대추나무 심기 (교사수첩) 대추나무 심기 교육 문헌 중등교육 교사문화 잡...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윤호 | 사료철명강원교육
- 경산 당곡리 447번지 유적 -경산 당곡리 공장 신축부지내-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한 발(시)굴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제출토록 하였다. 이번 발(시)굴조사는 선행된 지표조사를 토대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에서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지는 최근까지 대추나무 밭으로 이용되었고 경작 및 식목을 위하여 굴착 및 삭평하여 평탄한 지형을 이루며 조사 당시에...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밀양 희곡리유적 -밀양 국도 24호선 확장구간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면에 위치한다. 조사 전에는 감나무와 대추나무의 과수원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곳곳에 민묘가 조성되어 있었다. 2005.07.18~2005.11.24 Ⅰ.머리말 / Ⅱ.유적의 위치와 주변환경 / Ⅲ.조사내용 1.무문토기시대 1)주거지 (1)주거지 1호 (2)주거지...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8)
-
대추나무 / Zizyphus jujuba MILL [과학/식물]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학명은 Zizyphus jujuba MILL.이다. 높이는 10∼15m에 달하며, 곧추 자란다.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이 둥글고 좌우가 같지 않으며 3주맥(主脈)이 있다. 가장자리에 뭉툭한 톱니가 있으며 광택이 있다.
-
덕동대추나무 / 德洞─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특별시 사동구역 덕동리에 있는 대추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9호. 대추나무는 덕동리로부터 약 1.5㎞ 정도 떨어진 이현부락의 대추밭 가운데 있다. 대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석회암지대에 생긴 산림 밤색 토양이고 자갈이 보통 정도로 섞인 메흙이
-
봉오리왕대추나무 / 鳳梧里王─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재령군 봉오리에 있는 왕대추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453호. 왕대추나무는 황해 금강으로 널리 이름난 장수산 북쪽 기슭의 봉오리 마을 옆에 퍼져 있다. 왕대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이다. 이 지대의 연평균기온은
-
강호염주나무 / 江湖念珠─ [과학/식물]
강호염주나무는 강서사 대웅전 앞 마당에서 자라고 있다. 강호염주나무의 남쪽에는 한교천이 흐르고 북쪽에는 천마산이 솟아 있다. 강서사 주위에는 밤나무, 대추나무 및 은행나무 등의 과일나무가 자라고 뒷산에는 소나무가 있다.
-
과수원 / 果樹園 [경제·산업/산업]
과수를 영리적으로 재배하는 농장. 우리나라의 과수재배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통일신라시대에 많은 종류가 재배되었다고 하며, 『고려사』 식화지(食貨誌)에 의하면 1188년(명종 18) 왕이 “밤나무·배나무·잣나무·대추나무 등을 많이 재배하여 이(利)를 얻도록 하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