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천” 에 대한 검색결과 3,7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29)

사전(60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보령 지역에 있었던 지명. [내용] 본래는 이 지역의 천(川)이라는 자연지명이었는데, 뒤에 행정지명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보령군이 되었다. 1914년 부군폐합령에 의하...
    이칭별칭대천천(大川川)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문과 급제. 胤君 可謂希有之慶 不幾日之間 一門從兄弟 次第登科 非但爲之者感祝萬萬而已 聞見之人 孰不致賀, 남계우(南啓宇), 21(智)-352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남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개설] 오은 오대산맥의 북측으로는 오대산 비로봉?두로봉?동대산?노인봉, 동측으로는 황병산?용산?백석봉, 남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못하였지만, 귀로 들은 것과 문헌에 나타난 것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정조는 그 내용에 동감하면서도 곧바로 세상에 내놓지 못할 것을 알고 ‘록’이라 이름을 고치게 하여 저자에게 다시 내려보냈다. 그 뒤 정조가 죽고 벽파(僻派)가 다시 득세하자 저자는 이전에 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김치화(金致和)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석인본. 1929년 후손 현섭(顯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원용규(元容圭)의 서문과 권말에 왕재정(王在政)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역서...

논문(1)

고서·고문서(2,391)

  • 48659 B048659 橋 군사교통 京畿道邑誌 長湍郡邑誌 長湍郡 橋樑 橋 在臨湍館東 金陵橋 在松南面 招賢橋 在招賢撥所 板門橋 在松南面○古者用板爲橋故名 沙川橋 在中西面 三彌川橋 在江南面○水漲則以船往來 郵撥東坡驛 在津東面屬延曙驛 桃源驛 在東道面 仇和驛 在...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660 B048660 橋 군사교통 咸境道邑誌 吉州牧邑誌 吉州牧吉州 橋梁 橋梁南橋在州南七里臨溟川橋在州南六十五里雙浦川橋在州南七十五里
    출처전거咸境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661 B048661 橋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0 함경도 北靑 橋梁 南橋西南五里魚隱灘橋北三十里獐項橋北四十里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662 B048662 橋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0 함경도 端川 橋梁 南橋南五里福橋西南十里北橋東北二十里(邑內場一六)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663 B048663 橋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0 함경도 端川 橋梁 南橋南五里福橋西南十里北橋東北二十里(邑內場一六)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59)

  • 바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2-27 | 조사장소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 제보자이경하
  • 보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전 10시경, 이쾌남씨가 이야기와 노래를 잘 한다는 말을 듣고 댁으로 찾아 갔더니, 그의 부군인 제보자가 관심을 가지고 접근해 왔다. 할머니들을 모시고 집뒤 정자나무 아래까지 왔다. 남자가 있으니까 할머니들이 거북하게 생각하는 듯해서,[설화 20]뒤에 긴 명당설...
    조사일시1981-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손윤호
  • 손지지(百孫之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우리나라에 있는 묘자리 가운데 백대천손지지는 딱 한 곳밖에 없다고 하면서 이 설화를 들려 주었다. 이야기 도중 제보자는 “누가 옆에서 들을라.” 하면서 이야기를 중단했다. 그래서 조사자가 옆에 다른 사람들이 없으니 이야기를 계속해 달라고 하니, 제보자는 계...
    조사일시1981-04-27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 제보자강학철
  • 바다 한 가위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3-08-10 | 조사장소대구직할시 동구 불로1동 | 제보자김몽기
  • 바다 한가운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또 하나 하자”면서 제보자가 부른 노래이다. 부르고 난 뒤에 노래 가사를 일일이 설명하면서, 의미가 깊은 노래임을 강조했다. *
    조사일시1983-08-13 | 조사장소대구직할시 동구 불로1동 | 제보자김위달

기초학문(16)

  • 山川五嶽과 名山 숭배의 연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영수, 게재일 : 2001
    09627 김영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山川五嶽과 名山 숭배의 연원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일본 살마(薩摩)묘(苗)에 정착한 임진왜란 한국피로인의 모국어교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광, 게재일 : 1988
    12629 정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중언어학회 1988 일본 살마(薩摩)묘(苗)에 정착한 임진왜란 한국피로인의 모국어교육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1988
  • 전통적 역산천문학의 단절과 근문학의 유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72303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2 전통적 역산천문학의 단절과 근문학의 유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고려시대 개경 일대 名山과 국가 제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8877 한국연구재단 부산경남사학회 2012 고려시대 개경 일대 名山과 국가 제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니시키에[錦繪]를 통해서 본 근황상과 조선 멸시관의 형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70904 한국연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2013 니시키에[錦繪]를 통해서 본 근황상과 조선 멸시관의 형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427)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젼에 부에셔 군슈 쥬본에 강릉 홍쥬량군슈 의원면본관으로 졍부에 쳥의얏더니 참찬리샹씨가반야왈 이 두고을군수의 직쳥원은 다른연고안이오 타쳐로 쳔젼각이잇스니 결단코 허시치못리라야 아직즁지가됨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4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龜八(商店) 서울 龜八 商店 永登浦町 426 건축재료 - 목재 소매 25.65 토기(土器)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大串龜八(大串商店) | 지역서울 | 품목건축재료 | 영업종목목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基鍾(屋) 서울 金基鍾 屋 橋南町 22 요리_음식점 - 조선 주점 - 16.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基鍾(大泉屋)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조선 주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趙鏞律(蕎麥精米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趙鏞律(蕎麥精米所) 진남포 趙鏞律 蕎麥精米所 漢頭里 - - 정미업 - - - 伸び申く鎭南浦: 會社一覽表,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趙鏞律(大泉蕎麥精米所) | 지역진남포 | 품목- | 영업종목정미업 | 자료출처伸び申く鎭南浦: 會社一覽表, 1940년
  • 井に躍る壁画羽衣二巨作 (정에 그려진 벽화 羽衣의 거작)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大天井に躍る壁画羽衣二巨作 | 기사명_한글대천정에 그려진 벽화 羽衣의 거작 | 부제_원문百四十三室一萬坪の構内大ホールから中央高塔へ | 게재일19250815 | 게재판 | 게재면03 | 게재단1-9

멀티미디어(1)

  • 대구 동 511-2번지 유적 I -대구 동 511-2번지 공동주택신축부지내-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대구 동 511-2번지 유적 I -대구 동 511-2번지 공동주택신축부지내- bb6-0072_#1 유구 사진 5. 조사대상지역 서편 주거지군 전경(①), 주거지16호‧10호 전경(②) bb6-0072_1_2015-04-16_8265_사진
    제목대구 대천동 511-2번지 유적 I -대구 대천동 511-2번지 공동주택신축부지내-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29)

  • 종;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943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59면 - 종;宗 소화18년 3월3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324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1 326면 2. 학생 및 생도 (1941년 6월 말일 현재);8) 예과생도;(10) 문과 1학년 갑류(45명) 호;浩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3715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43면 2. 학생 및 생도 성명 (1942년 10월 말 현재);9) 예과생도;(5) 문과 2학년 갑류 호;浩 (본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8349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16-1935) n.r. 129면 박;朴 경기 19회 1933.3.6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9407 남한 충남 대전직업학교 2-21 제2회졸업기념사진첩 1943―03 4면 홍;弘 충청남도 대전부 춘일정2정목 16 제2회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대전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89)

  • / [지리/인문지리]

    면 신성리(현재의 보령리)에 있던 군청이 리로 이전되었다. 그 뒤 보령의 중심지가 되고, 1962년 면이 읍으로 승격되고, 1986년 1월 1일 다시 시로 승격되어 시가 되었다. 1988년 당시 시의 면적은 46.25㎢, 인구는 55,553명이었으

  • 록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박하원이 1762년에 일어난 사도세자사건을 중심으로 기록한 정치서. 내용을 보면 상편에는 영조 즉위와 동시에 노론의 득세, 그리고 사도세자가 노론 계통인 벽파의 질책을 받는 경위 및 남인 계통인 시파에서 세자를 동정하는 경위 등으로 엮어지면서, 1762

  • 집 /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김치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석인본. 1929년 후손 현섭(顯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원용규(元容圭)의 서문과 권말에 왕재정(王在政)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역서(易序) 1편, 하

  • 항 / [경제·산업/교통]

    충청남도 보령시 동에 있는 연안항. 충청남도 중부 일원의 어업전진기지로 개발하고 태안반도 일원 여객선 안전운항을 보장하기 위한 시설 확보를 목적으로 1968년 연안항으로 지정된 후 1986∼1995년 사이에 1단계 사업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을 축조하였다. 그 후 1

  • / 北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길주군과 함경남도 단천군의 경계에 있는 두류산(頭流山)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117.6㎞. 유역면적 1,420㎢.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이마이천(泥磨耳川)이라 기록되어 있고, 《증보문헌비고》에는 북천(北川) 또는 북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