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창서” 에 대한 검색결과 2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0)

사전(4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창고를 관장하던 관청. [내용] 소속관원으로는 목종 때 영(令)이 있었음이 확인되며, 문종 때 영‧승(丞) 4인과 이속(吏屬)으로 사(史) 5인, 기관(記官) 4인, 산사(算士) 2인을 두어 직제상의 확립을 보게 되었다. 주요기능...
  • 사창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창고를 간수하고 전곡을 출납하는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내용] 토관(土官)의 종6품 아문(衙門)이다. 원래의 ()‧염점(鹽店) 등이 합쳐서 1434년(세종 16) 사창서로 개편된 것이다. 설치지역은 함흥부‧평...
  • 동사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현채(玄采)가 하야시(林泰輔)의 『조선사』와 『조선근세사』를 근간으로 역술(譯述 : 번역해 기술함)했으나, 중요한 부분에서는 민족적 시각에서 재서술한 한국 통사. [개설] 4권 1책. 발행 및 발매원은 경성 원(院), 인쇄소는...
    이칭별칭중등교과동국사략|반만년조선역사
  • 대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0여만 곡(斛)을 저장할 수 있는 지창(地倉)이 신축되기도 하였다. 대창어사(大倉御史)의 존재가 확인되나, 구체적인 관직은 밝혀지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와의 관계도 분명하지 않다. 『고려사(高麗史)』
  • 장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남송의 고종을 모시고 금산사 창업연에 참석한26) 원ㆍ보급서원 간행 [강태공전](1925)에는 ‘장철’로 나타나기도 한다(p. 52, 53 등). 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75)

  •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巻二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_巻二 第二十二課 학부 1909 점인쇄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관찬독본 일본어 今年、去年、月、今月、来月、先月、 今月ワ、一月デス。 来月ワ、二月デス。 一月カラ、二月、三月、四月、五月、六月、七月、八月、九月、十...
    서명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 자료명第二十二課
  •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巻二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_巻二 第二十七課 학부 1909 점인쇄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관찬독본 일본어 殖エル、減リ、河、芽、延バシ、猫、鶏、 春ガ、来テ、暖カニ、ナリマシタ。 河ノ水ガ、殖エテ、山ノ雪ガ、減リマシタ。 草ヤ、木ノ芽ガ、出テ...
    서명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 자료명第二十七課
  •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巻二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_巻二 第一課 학부 1909 점인쇄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관찬독본 일본어 東、西、南、 北、毎日、 日ガ、出マシタ。 アノ子供ワ、日ノ方エ、向イテ、立ツテイマス。 日ノ出ル方ヲ、東ト、イイマス。 日ノ入ル方ヲ、西ト...
    서명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 자료명第一課
  •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巻二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_巻二 第三課 학부 1909 점인쇄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관찬독본 일본어 眠リ、覚メ、目、昨夜、気持、 李。 昨夜ワ、ヨク、眠リマシタカ。 朴。 ハイ、昨日ワ、ヨク、運動シタカラ、昨夜ワ、ヨク、眠リマシタ、ヨク、運...
    서명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 자료명第三課
  •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巻二 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_巻二 第六課 학부 1909 점인쇄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관찬독본 일본어 大分、頃、 明ケ、暮レ、 日ガ、大分短ク、ナリマシタ。 此頃ワ、何時ニ、夜ガ、明ケマスカ。 六時半頃ニ、明ケマス。 何時頃ニ、日ガ、暮レマス...
    서명普通学校学徒用日語読本 | 자료명第六課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창고를 관장하던 관청. 소속관원으로는 목종 때 영(令)이 있었음이 확인되며, 문종 때 영·승(丞) 4인과 이속으로 사(史) 5인, 기관(記官) 4인, 산사(算士) 2인을 두어 직제상의 확립을 보게 되었다. 주요기능은 좌창과 우창을 관할하는 것이었다.

  • 콩쥐팥쥐전 /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목판본이나 필사본은 발견되지 않고, 활자본으로 원본(院本, 1919)·태화서관본(太華書館本, 1928) 등이 전하고 있다. 이 작품은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신데렐라형 설화(AT Type No. 510)를 소재

  • 화옥쌍기 / 花玉雙奇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본. 1914년 원(院)에서 발행한 활자본이 있다. 16회로 되어 있는 회장본(回章本)으로 남녀주인공의 결연담과 무용담을 엮은 영웅소설이다. 명나라 세종 때 절강에 사는 서용(徐庸)은 늦게야 아들 몽린(夢麟)을

  • 반씨전 / 潘氏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구활자본. 1918년원(院)에서 간행하였다. 총 3회로 구성되어 있는 장회체(章回體) 소설이다. 이 작품은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이나 인물의 비중이 위윤과 반씨 부부의 아들인 위흥에게 있음

  • 김진옥전 / 金振玉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활자본. 50여 종의 필사본이 현존하고 있으며, 국문활자본으로도 1916년 덕흥서림을 비롯하여 1917년 박문서관, 1920년 원, 보급서원, 1929년 태화서관 등에서 발행한 것이 있다. 이 소설은 전반부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