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증광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23)
- 대증광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국가에 큰 경사가 있을 때 특별히 실시하던 과거. [내용] 언제부터 실시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조선 중기부터 그 사례가 보이며 『속대전』에 과거의 항목으로 규정되어 있다. 본래 국가에 큰 경사가 있거나 여러 경사가 겹쳤을...
- 대증광시(大增廣試)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증광시 대증광시 大增廣試 과거(科擧) 무과(武科), 문과(文科),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식년시(式年試), 잡과(雜科), 증광시(增廣試)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진옥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무과(武科), 문과(文科),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식년시(式年試), 잡과(雜科), 증광시(增廣試)
- 기로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대증광시(大增廣試)를 실시한 뒤, 이어서 70세 이상자를 대상으로 기로정시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문과에 이종령(李宗齡) 등 5인을, 무과에 이지홍(李枝弘) 등을 뽑아 합격자 전원에게 통정대부를 주었다. 1769년에는 좌의정 김양택(金陽澤)이 명관(命官)이 되...
- 증광무과초시(增廣武科初試)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증광시(大增廣試)라고 하여 선발 인원을 2배로 하였다. 대외적인 상황에 따라 초시 합격자를 전시에 곧바로 응시하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조선시대에 왕이 즉위하거나 즉위한 지 30년 또는 40년, 혹은 원자(元子) 혹은 원손(元孫)의 탄생...상위어과거(科擧), 무과(武科) | 관련어증광시(增廣試), 목전(木箭), 철전(鐵箭), 편전(片箭), 기추(騎芻), 관혁(貫革), 기창(騎槍), 조총(鳥銃), 유엽전(柳葉箭), 격구(擊毬), 편추(鞭芻), 강서(講書)
- 율과(律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대증광시는 2명을 더하였다. [내용 및 특징] 율과는 1393년(태조 2) 7월에 율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율학(律學)에 통달한 사람을 시험하여 충원하도록 하였으며[『태조실록』 2년 7월 14일], 1397년(태조 6)에 명률(明律) 7명을 뽑았다[『태조실록...상위어잡과(雜科) | 관련어율과초시(律科初試), 율과복시(律科覆試), 형조(刑曹), 율학(律學), 율관(律官)
고서·고문서(1)
- 辭持平兼陳科弊疏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究無慶科之名。大抵國有慶禮,臣民自當歡忭,何必設科而後爲同慶哉?且唯慶科之大者,卽大增廣是已。卽雖大增廣,其得意者不滿三百,其失志者以千萬計。使三百蹈舞,而千萬揮涕,烏在其同慶哉?又如丙別ㆍ謁聖ㆍ節製ㆍ柑製等小小科名,一切罷之,唯三年一大比取人,稍增其額,則士無奔競之路,朝杜僥倖之門,其于立賢用人...권차명文集 卷九 | 문체公車類|疏箚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대증광시 / 大增廣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가에 큰 경사가 있을 때 특별히 실시하던 과거. 언제부터 실시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조선 중기부터 그 사례가 보이며 ≪속대전≫에 과거의 항목으로 규정되어 있다. 본래 국가에 큰 경사가 있거나 여러 경사가 겹쳤을 때 특설하던 과거시험을 증광(增廣)이라고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