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주첩”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수령의 포폄(褒貶) 사항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왕이 열람하도록 만든 첩자(帖子). [내용] 1708년(숙종 34) 처음으로 만들어 숙종이 ‘’이라고 친히 이름을 붙였다. 대주라는 첩의 이름은 침전의 기둥이...
  • 고과(考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록한 첩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1708년(숙종 34)에 처음 만든 이것을 숙종은 ‘()’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하였다. 영조대에도 수령 중 10번의 고과에서 10번 상(上)을 받은 사람을 뽑아 첩(帖)을 만들어 올리도록 명하였는데, 이름을 ‘속(續...
    동의어고적(考績) | 관련어근무시간(勤務時間), 근무(勤務) 일수(日數), 사일(仕日), 가자(加資), 전최(殿最), 포폄(褒貶)

고서·고문서(4)

  • 16341 B01634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0年 1月 16日_016 ... 劑, 上進御。 上曰, 暮年復政, 心許民國, 其若許民, 其在守令。 噫, 昔年有, 其宜法先, 令東銓, 抄十考十上在人, 依官案例作帖, 題曰續以進。 出傳敎 上曰, 昨...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538 B016538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0年 1月 16日_016 ... 劑, 上進御。 上曰, 暮年復政, 心許民國, 其若許民, 其在守令。 噫, 昔年有, 其宜法先, 令東銓, 抄十考十上在人, 依官案例作帖, 題曰續以進。 出傳敎 上曰, 昨...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昔年有, 其宜法先, 令東銓, 抄十考十上在人, 依官案例作帖, 題曰續以進。 出傳敎 上曰, 昨日以何事求對乎? 運維曰, 濟州御史狀聞入來, 其中有時急仰聞者, 故敢請矣。 上曰, 江都科事, 禮判先爲稟定, 可也。 雲逵曰, 取考謄錄, 則丙午年江華府別科時文科額數, 江華·通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昔年有, 其宜法先, 令東銓, 抄十考十上在人, 依官案例作帖, 題曰續以進。 出傳敎 上曰, 昨日以何事求對乎? 運維曰, 濟州御史狀聞入來, 其中有時急仰聞者, 故敢請矣。 上曰, 江都科事, 禮判先爲稟定, 可也。 雲逵曰, 取考謄錄, 則丙午年江華府別科時文科額數, 江華·通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수령의 포폄 사항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왕이 열람하도록 만든 첩자. 1708년(숙종 34) 처음으로 만들어 숙종이 ‘’이라고 친히 이름을 붙였다. 이 제도는 수령의 어짊과 어질지 못함이 백성의 편안함과 고달픔의 관건이 되므로, 그들의 행적을 항시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