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인접물”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동학(東學)에서 가르치는 덕목(德目). 대인은 다른 사람을 대우하는 것이고 접물은 사물을 다루는 것이다. [내용] 이 대인과 접물에 대한 가장 바른 길이 법인데, 이에 대한 설교를 1871년(고종 8) 동학의 제2대 교주 최시형...
  • TD_L14_D_1669 牧隱 인물 謙恭, 愷悌, , 和氣, 油然 行狀 D_10_02_16 대동운부군옥 10권 2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2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사인여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나 물건을 접할 때에는 반드시 악을 숨기고 선을 드는 것을 주로 하라. 저 사람이 사나운 악으로 나를 대하거든 나는 어질고 충서(忠恕)로써 대하고, 저 사람이 간교함과 거짓으로 말을 꾸미거든 나는 정직으로써 순히 받으면 자연히 돌아와 감화되리라( 必隱惡揚善爲主...
  • 노서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 있다. [내용] 윤선거의 평상시 언행으로부터 거가(居家), (), 출처사수(出處辭受), 위학방법(爲學方法) 등에 이르기까지 항목의 분류 없이 서술하였다. 아들 윤증이 편차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은 주로 윤선거의 학문방법, 특히 하학공부...
  • 천도교경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1984년 다시 증보하여 천도교주의 경전과 법설을 모두 수록하기에 이르렀다. 새로 수록된 해월신사 법설과 의암성사 법설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2대 교주 법설은 천지이기‧천지부모‧도결‧천지인‧귀신‧음양‧허와 실‧심령지령‧‧영부‧주문‧수심정기‧성...

고서·고문서(13)

  • 조선시대 역학서:1721_오륜전비언해(1)_敬으로 을 存면 이 正고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오륜전비언해 456 1721_오륜전비언해(1) 敬으로 을 存면 이 正고 敬으로 을 存면 이 正고 敬으로 몸을 가디면 몸이 닷고 敬으로 일을 셰오면 일이 일고 敬으로 며 事上臨下홈애 간마다 可티 아닐 배 업니라 내 엇디
    편명1721_오륜전비언해(1)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5304 B005304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3年 3月 13日_035 , , 誠意藹然, 宗族信之, 鄕黨化之, 而若言其立朝居官之大致, 則其在槐院參下也。 李偉卿等十九人, 投疏請廢母后, 烇冒犯駴機, 一竝停擧。 雖以此積困於兇黨之中傷而不撓, 正論有賴, 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上木齋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nk?DCI=ITKC_MP_0597A_0190_010_0040_2014_004_XML 004 向來校書之會,歸而思之,何其盛也!歸而疾病纏綿,至今闕然不一請起居,罪不容赦矣。鏞自承良誨,覺半生繳繞,都與自己心身無涉,誠欲務去氣質之病,力圖本源之養,而性本躁暴,習又鄙悖,之際...
    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答方山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nk?DCI=ITKC_MP_0597A_0190_010_0090_2014_004_XML 004 山深日短,校役過期,歸騎匆匆,不能歷叩門屏,久而耿結彌深,向者君實袖傳下札,深以爲慰。學問之爲世所憎惡久矣。端居深念,良心微見,及至,輒欲求媚取容,遇農說農,遇賈說賈,率未免棄己而殉...
    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의 累를 벗고 高尙한 을 가져 하올 젹에 一毫私曲 업슴으로 平生의 所爲를 남을 對 다 말함이 大丈夫의 일이로다 얼널널 상사뒤 千里駿驄 를 쳐셔 天下名勝 구경하고 胸海가 훨시 널너 万古文章 된 然에 到處마다 雄詞健筆 敞動一世  것도 大丈夫의 일이로다 얼...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천도교]

    동학(東學)에서 사람과 사물을 대하는 바른 방법 또는 덕목(德目). 동학은 본래 하느님을 모시라(侍天主), 또는 하느님을 공경하라고 가르쳤다. 최시형은 이것을 사물에 까지 확장하여 적용하여 을 가르쳤다.

  • 노서유사 / 魯西遺事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윤증이 노서 윤선거(1610∼1669)의 평소 언행을 기록한 언행록. 서문과 발문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윤선거의 평상시 언행으로부터「거가(居家)」,「()」,「출처사수(出處辭受)」,「위학방법(爲學方法)」 등에 이르기까지 항목의 분류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