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의창”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세곡을 보관하던 창고. [내용] 좌창‧우창‧용문창‧부용창 등과 아울러 백성들의 세곡을 보관하던 곳이다. 본래 개경의 서문(西門, 혹은 西大門, 南門) 안에 있었는데, 화재로 모두 소실되자, 화재 예방을 꾀하여 수세(水勢)가 좋은 ...
  • 부용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세곡(稅穀)을 보관하던 창고. [내용] 이 밖에 좌창(左倉)‧우창(右倉)‧용문창(龍門倉)‧() 등도 있었다. 홍주(洪州) 산중에 있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에 비정된다. 부용창(富用倉)에 보...
  • 용문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개경에 설치되었던 창고. [내용] 개성에는 용문창을 비롯하여 좌창(左倉)ㆍ우창(右倉)ㆍ() 등이 있었다. 좌창의 곡식은 주로 관리들의 녹봉으로 지급된 데 비하여 용문창의 곡식은 부용창(富用倉)ㆍ우창과 같이...
  • 김원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동상‧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하였으나 1958년 11월 숙청당하였다. 『약산(若山) 김원봉(金元鳳) 평전(評傳)』(김삼웅, 시, 2008) 『대륙에 남긴 꿈: 김원봉의 항일역정과 삶』(한상도,...
    이칭별칭 약산(若山)|최림|이충|진국빈|천세덕

고서·고문서(11)

  • 초급에서 고급까지 부수별로 익히는 생활한자 공부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박충순 지음 시 서울 2007 학습사전; 한국어; 한자; 초급용; 고급용 [국중]서고자료신청대(1층) [국중][KDC]711.47-7-31 [국회]1층 대출대 [국회]411.15 ㄱ697ㅅ [고려대]세종학술정보원 인문자료실1 ...
    대표표제어초급에서 고급까지 부수별로 익히는 생활한자 공부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한문학
  • 出典을 완벽하게 살린 고사성어대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出典을 완벽하게 살린 고사성어대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한문학 出典을 완벽하게 살린 고사성어대사전 임종욱 역음 시 서울 ...
    대표표제어出典을 완벽하게 살린 고사성어대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한문학
  • 出典을 완벽하게 살린 고사성어대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出典을 완벽하게 살린 고사성어대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한문학 出典을 완벽하게 살린 고사성어대사전 임종욱 엮음 시 서울 ...
    대표표제어出典을 완벽하게 살린 고사성어대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한문학
  • 綠江 九聯城抱本聯作照,誤. 군사 외교 戶部覆山東廵按周維翰周維翰廣本抱本翰作漢.條陳有禆於邊儲者議軍糧支領之朞官軍糧餉刊立限朞於每月初五日造完實支冊送管糧衙門照月支給庶貧軍俱沾實惠可免稱糧派支之地倉廒環傍營伍即令餉軍就便守支如倉貯有盈縮軍伍有多寡聽該道劑量分撥不...
    출처전거『明實錄』 神宗顯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鴨綠江 九聯城, 九聯城 抱本聯作照,誤. 군사 ○戶部覆山東廵按周維翰周維翰廣本抱本翰作漢.條陳有禆於邊儲者議軍糧支領之朞官軍糧餉刊立限朞於每月初五日造完實支冊送管糧衙門照月支給庶貧軍俱沾實惠可免稱糧派支之地倉廒環傍營伍即令餉軍就便守支如倉貯有盈縮軍伍有多...
    출처전거『明實錄』 神宗顯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2)

  • /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세곡을 보관하던 창고. 좌창·우창·용문창·부용창 등과 아울러 백성들의 세곡을 보관하던 곳이다. 본래 개경의 서문(西門) 안에 있었는데, 화재로 모두 소실되자, 화재 예방을 꾀하여 수세(水勢)가 좋은 개경 서남쪽의 장패문(長覇門) 안쪽으로 옮겨 지었다. 그 적

  • 용문창 / 龍門倉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개경에 설치되었던 창고. 개성에는 용문창을 비롯하여 좌창·우창· 이 있었다. 용문창 곡식은 부용창·우창과 같이 주로 전란이나 수한 등 비상시에 대비하였다. 1052년(문종 6)에 용문창의 곡식 8,000석을 염주·백주에 옮기어 농민에게 지급하였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