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유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8)
- 대유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비유법의 하나. 한 낱말 대신에 다른 낱말을 사용하는 표현법이다. [내용] 대유법을 곧 환유법(換喩法)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유법은 환유법과 제유법(提喩法)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환유법은...
- 환유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비유법의 하나로 대유법의 하위 범주 용어. [내용] 대유법을 곧 환유법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유법은 환유법과 제유법(提喩法)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하나의 관념을 연상시키는 그 무엇이 그 관념의 표...
- 제유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비유법의 하나. [내용] 대유법의 하위 범주이다. 흔히 전체를 그 전체의 일부분으로, 혹은 일부분을 그 전체로 표현하는 것으로 어떤 사물의 부분 또는 특수성을 나타내는 단어로써 그 사물의 전체 또는 일반성을 대신하는 비유법이다...
- 대구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변화법(變化法)의 하나. [내용] 비슷하거나 동일한 문장 구조를 짝을 맞추어 늘어놓는 표현법이다. 대우법(對偶法), 대유법(對喩法), 병려법(騈麗法), 대치법(對峙法), 균형법(均衡法)이라고도 한다. 이 표현법은 병렬되...이칭별칭대우법(對偶法)|대유법(對喩法)|병려법(騈麗法)|대치법(對峙法)|균형법(均衡法)
- 수사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함으로써 특수한 의미나 효과를 성취하는 수사법이다. 비유법에는 직유법(直喩法)‧은유법(隱喩法)‧대유법(代喩法)‧제유법(提喩法)‧환유법(換喩法)‧의인법(擬人法)‧활유법(活喩法)‧풍유법(諷喩法)‧의성법(擬聲法)‧의태법(擬態法) 등이 있다. 직유법(simile...
고서·고문서(5)
- 蔡齊【文忠公】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宋名臣言行錄 前集 卷五 蔡齊【文忠公】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56 蔡齊【文忠公】 字子思其先洛陽人徙萊州擧進士第事仁宗官至參政 祥符八年真宗采賈誼置器之説試禮部所奏士讀至公賦有安天下意歎曰此宰相器也凡貢士當賜第者考定必召其髙第數人並見又參擇其材質可者然後賜第一及公召見衣冠偉然進對有...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實地應用作文大方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喩法 (五) 對喩法 (六) 聯喩法 (七) 簡喩法 (八) 詳喩法 (九) 引喩法 (十) 虗喩法 第十 問答法 第十一 照應法 第十二 聯珠法 第十三 雙關法 第十四 常蛇法 第十五 擒縱法 第十六 左右夾攷法 第十七 軆物法 (一) 實軆 (二) 虗軆 (三) 象軆 (四) 比軆 (五) 量軆...서명實地應用作文大方 | 자료명實地應用作文大方目次
- 『실지응용작문법(實地應用作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유법(譬喩法)의 경우를 예로 들면, 직유법(直喩法), 은유법(隱喩法), 유유법(類喩法), 힐유법(詰喩法), 대유법(對喩法), 박유법(博喩法), 간유법(簡喩法), 상유법(詳喩法), 인유법(引喩法), 허유법(虛喩法), 제유법(提喩法), 환유법(換喩法), 풍유법(諷喩法),...서명 『실지응용작문법(實地應用作文法)』
- 實地應用作文大方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ᄒᆞᆷ이 是誰의 罪인가 (論語)虎兕ㅣ 出於柙이 是誰之過歟 (五) 對喩法 對喩ᄂᆞᆫ 先比後證ᄒᆞ야 上下相符ᄒᆞᆷ이니 例컨ᄃᆡ (人物價値論) 珠玉의 價ᄂᆞᆫ 重量을 不問ᄒᆞ고 品質을 論ᄒᆞᄂᆞ니 吾人의 人物價値ᄂᆞᆫ 成敗를 不問ᄒᆞ고 氣節로 論ᄒᆞᄂᆞᆫ지라 (莊子) 魚相忘于江...서명實地應用作文大方 | 자료명第三章 文章總則
- 實地應用作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로 愚人이로다) (三)類喩法 類喩ᄂᆞᆫ 其一類를 取ᄒᆞ야 譬喩ᄒᆞᆷ이니 例컨ᄃᆡ 舟說에 (今天下ᄂᆞᆫ 水요 人主ᄂᆞᆫ 舟요 德은 楫이라) (四)詰喩法 詰喩ᄂᆞᆫ 詰難ᄒᆞ야 譬喩ᄒᆞᆷ이니 例컨ᄃᆡ 新羅論에 (隣人과 謀ᄒᆞ야 自家를 毀ᄒᆞᆷ이 是誰의 罪인가) (五)對喩法...서명實地應用作文法 | 자료명正例
주제어사전(3)
-
대유법 / 代喩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비유법의 하나. 한 낱말 대신에 다른 낱말을 사용하는 표현법. 환유법은 나타내고자 하는 관념이나 사물을, 그것과 공간적으로나 논리적으로 인접한 다른 관념이나 사물을 지칭하는 말로써 대신하는 비유법이다. 공간적인 인접성에 바탕을 둔 환유법의 대표적인 예로서 흔
-
환유법 / 換喩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비유법의 하나로 대유법의 하위 범주 용어. 대유법을 곧 환유법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유법은 환유법과 제유법(提喩法)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하나의 관념을 연상시키는 그 무엇이 그 관념의 표시를 위해서 사용된다. 기호(記號)가 지
-
제유법 / 提喩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비유법의 하나. 대유법의 하위 범주이다. 흔히 전체를 그 전체의 일부분으로, 혹은 일부분을 그 전체로 표현하는 것으로 어떤 사물의 부분 또는 특수성을 나타내는 단어로써 그 사물의 전체 또는 일반성을 대신하는 비유법이다. “약주를 잘 드신다.”에서 ‘약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