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연” 에 대한 검색결과 387,56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7,520)

사전(646)

  • 치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하(河)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으며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고본(稿本)이다. 대략 분류해 보면, 기(記) 3편, 논(論) 1편, 전(傳) 1편, 설(說) 3편, 소(疏) 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생애에 관한 내용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의 『고초록(古?錄)』이라는 문헌에 ‘청구사문(靑丘沙門)’이라는 표현이 있으며, 『나라록(奈良錄)』, 『동역전등록(東域傳燈錄)』 등에 그의 저술명 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는 이 포함되어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조선선교사(朝鮮禪敎史)』(忽滑谷快天 저, 정호경 역, 보련각, 1978)
    이칭별칭선회(善會)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 국왕과 왕비 연은 다시 크기에 따라 과 소연으로 구분되었다. 에는 기둥 바깥쪽으로 난간을 설치하였고, 소연에는 난간이 없다. 至鞠躬在都群官進香奉辭如別儀訖靈駕進發前銜宰樞及耆老學生僧徒序立道旁將至皆俯伏哭四拜, (빈전1800/042ㄴ03~05)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에 기반을 둔 술수학에서 숫자 50
    정의역에 기반을 둔 술수학에서 숫자 50 | 문광부표기Daeyeon | MR표기Taey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3)

  • 저자 : 문창로, 오흥식, 이청규, 김범철, 안신원, ... | 출판사 : 서울: 진인진 | 출판일 : 20180915
    이 연구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으로 3년 동안 연구를 진행한 과제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의 첫 번째 성과물을 엮은 책이다. 이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한국과 동북아, 그리고 유럽의 고고학과...
  • 저자 : 이성주, 오강원, 이청규, 오영찬, 고일홍, ... | 출판사 : 진인진 | 출판일 : 20180915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5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김인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장원태, 정원재... | 출판사 : 민창사 | 출판일 : 2013.10.31.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臺山集 遺藁 德峰集 德隱遺稿 陶溪遺稿 道谷集 敦巖集 東谷集 冬郞集 東樊

논문(1)

고서·고문서(235,183)

  • 第九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730 易學緖言 卷一 ITKC_MP_0597A_0730_020_0100 第九論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易學緖言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계사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經史門1_楊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澶州之役, 帝還行宮, 留準居北城上. 徐使人視準何爲, 準方與知制誥楊億, 飮博歌謔懽呼. 帝喜曰: “吾復何憂?” 及萊公之敗, 丁謂召楊至中書, 楊震懼便液俱下. 朱子嘗擧以爲譏. 以此觀之, 楊之北城事, 只是强作, 非實見得如此也. 意者, 平日信寇寇: 와세다대본에는 ‘萊’로...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門10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數 《周易折中》曰: “凡方圓, 可以比例. 惟徑七者, 方周二十八, 圓周二十二, 合成五十, 是之數. 又句三, 其積九; 股四, 其積十六; 弦五, 其積二十五, 合成五十之數. 因而開方, 不盡一數, 則蓍策之虛一者, 是也. 方面之中, 函八句、股, 又不盡一數, 則蓍策之掛一者...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5297 P-SDK-05297-P-B-01-01 P-SDK-05297-P-B-01-01-1 P-SDK-05297-P-B-01-01-2 육군특별습기념 陸軍特別習記念 쇼와 천황 1매. 사제엽서 역사 쇼와천황 근대 일본 ...
    자료명육군특별대연습기념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12,197)

기초학문(39)

  • 谱考论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홍택, 게재일 : 2006
    15015 오홍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四川大学 . 文学与新闻学院 2006 宋谱考论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5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현대일본의 대련() 표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69859 한국연구재단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현대일본의 대련() 표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독일의 협의제 민주주의와 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영태, 게재일 : 2005
    11583 김영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학회 2005 독일의 협의제 민주주의와 신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한중 근극의 발생과정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종진, 게재일 : 2006
    21761 김종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연구회 2006 한중 근극의 발생과정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戰後 소련의 만주 지배와 일본인사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59791 한국연구재단 단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3 戰後 소련의 만주 지배와 일본인사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96,513)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슈비에셔 명일 상오구시경에셔부터 십이시지 홍졔원부근에셔 젼격으로 연습다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教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텬도교쥬 손병희씨난 금화일쳔원을 일진회에 연보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장원감독 김영진씨와 탁지셰국쟝 리건영씨등이 로인계즁으로 동문외 탑골승당에 잔셜얏 그연회에참여인원도만커니와 기 십여명은 자우에셔 노불으고 악공들은 풍류를 젼후에질쥬야 연의 흥치도으 관광쟈 그연회의 굉쟝경황을 칭션이 만엇다더라...
    게재일1906년 5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슈비가 나고로 진고 거류민이 작일 왜장터에셔 젼별회를 셩고 작야에 공관에셔 연회를 셜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5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슈비가 작일에 격연습을 셜엿데 일즁 광희문밧게셔 연습고 이즁 셔빙고근디에셔 연습고 금일과 륙일에 격쟝에 회동야 연습다더라
    게재일1902년 3월 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539)

기타자료(40,399)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0508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6면 1. 동창회명부;2) 영생고등보통학교 졸업생;(2) 제2회(1934년) 김;金 淸津第一公普校
    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794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9면 김;金 제5회 1935-03-24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1343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1면 ㅁ1. 회원록;ㅁ3) 1학년 병조 황;黃 함남 안변군 학성면 외석교리 201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2758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7 46면 ㅁ7. 제7회(1937년 3월) 15명;ㅁ2) 별과 지;池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2101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6 39면 ㅁ제6 생도(1936년 10월 현재);ㅁ1. 생도씨명;ㅁ1) 제3학년(16명);ㅁ(2) 특과 지;池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8)

주제어사전(33)

  • / [정치·법제]

    과 왕비 연은 다시 크기에 따라 과 소연으로 구분되었다. 에는 기둥 바깥쪽으로 난간을 설치하였고, 소연에는 난간이 없다.

  • 지봉 / 脂峯 [지리/자연지리]

    양강도 삼지연시 신무성 노동자구에 있는 산. 해발 2,358m의 산으로 백두산의 장군봉으로부터 남동 방향으로 4.5㎞ 떨어진 곳에 있으며, 산세는 매우 웅대하고, 산정은 둥글다. 지봉과 소연지봉 사이의 기슭의 해발 2.110m에는 1980년 1월에 천연기념물 제3

  • 대년군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 급료병의 예비자원으로 등록, 편성된 대기병. 정규군의 16세 미만 아들이나 동생이 등록되었으나, 친족이 없을 경우 타인이 대신할 수 있었다. 훈련도감의 마군과 보군 및 3군영의 표하군 충원은 반드시 대년군에 등록된 자들에 한정하게 하였

  • 임대년 / 任 [종교·철학/유학]

    ?∼1695 조선후기 문신. 임백영 현손이다. 집안의 의장을 팔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도와주었으며, 흉년이 든 해에는 자기의 전토를 팔아서 이웃과 마을 사람들에게 곡식을 나누어 주었는데, 그 숫자가 수천 명이었다고 한다. 상신 이단하가 인재로 조정에 아뢰어 경양찰방을

  • 잔당오의 / 殘唐五 [문학/고전산문]

    하지 않다. 『잔당오의』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조선에 유입되어 읽혔다. 허균(許筠, 1563∼1618)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홍만종(洪萬宗, 1643∼1725)의 『순오지(旬五志)』, 윤덕희(尹德熙)의 「소설경람자(小說經覽者)」, 완산 이씨(完山李氏)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