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언” 에 대한 검색결과 1,8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18)

사전(35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밀직사에 소속된 관직의 하나. [내용] 밀직사는 중추원의 후신으로 원나라의 간섭으로서 변개된 것이다. 1310년(충선왕 2) 승지를 으로 개칭하였으며, 1354년(공민왕 3) 우‧좌(右左)과 우‧좌부(右左副)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밀직사에 소속된 관직의 하나.
    정의고려시대 밀직사에 소속된 관직의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aeeon | MR표기tae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62년에 우으로 개명하였고, 1369년에 다시 우승선으로 고쳤다. 뒤에 또다시 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사(高麗史)』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 승정원에 소속된 정3품 관직. [내용] 1401년(태종 1) 승정원에 소속되었던 우승지(右承旨)를 개칭한 것이다. 뒤에 다시 우승지로 개칭되었다. 『태종실록(太宗實錄)』
  • 우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밀직사의 정3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고려 전기의 우부승선(右副承宣)이 1276년(충렬왕 2) 우부승지(右副承旨)로 바뀌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다시 한번 개칭된 것이다. 좌우 및 좌부과 함께 이...

단행본(1)

고서·고문서(1,360)

  • 老乞解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老乞解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老乞解辭典 박성훈 편저 태학사 파주 2009 전문사전; 한국어학 국어사;; 중...
    대표표제어老乞大諺解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중간노걸해(重刊老乞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중간노걸해한언문(重刊老乞解漢諺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1636년 윤지평댁(尹持平宅) 노(奴) ()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조선시대 역학서:1670_노걸해(上)_ 姓이 李개니 이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노걸해 258 1670_노걸해(上) 姓이 李개니 이 1670노걸해上14b.jpg 姓이 李개니 이 小人의 어믜 동의게 난 아이오 이 姓이 趙개니 이 내 이우지라 네 이 姑舅의게 난 弟兄이어니 누구 어믜 오라븨게 난 식이며 누구 아븨 누의게 난
    편명1670_노걸대언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기초학문(47)

  • 노걸해류 제판본 번역의 문제에 관한 연구(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맹주억, 게재일 : 2006
    33710 맹주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06 노걸해류 제판본 번역의 문제에 관한 연구(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어 차용관계에서 의미변화에 관한 모델의 제시와 검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표상용, 게재일 : 1992
    00832 표상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어노문학회 1992 현어 차용관계에서 의미변화에 관한 모델의 제시와 검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
    유형논문 | 게재일1992
  • 상상력의 연극-이미지의 무대구성작업에 관하여 -김아라 연출작업에 나타난 새로운 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상식, 게재일 : 2012
    11467 남상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극학회 2012 상상력의 연극-이미지의 무대구성작업에 관하여 -김아라 연출작업에 나타난 새로운 무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고대영어의 통사론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의재, 게재일 : 1994
    00973 박의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어학회 1994 고대영어의 통사론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
    유형논문 | 게재일1994
  • 무핵범주의 비이동성 연구: 영어 의사수동태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선웅, 게재일 : 2009
    28307 김선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어학회/한국현어학회 2009 무핵범주의 비이동성 연구: 영어 의사수동태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26)

  • 승리의생활_1967_01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목차 자 J. C. 멧카피 49 pp. 49~51, 64~67 전도용책자 페이지가 따로 되어있음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 本店에셔 陰十月卄四日夜에 絹絨等物을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店에셔 陰十月卄四日夜에 絹絨等物을沒數逢賊엿新貨三百元價値라本港警署에告온바摠順朴淵圭氏와鄭學基氏此時民生이極度慘境에陷을憂뢰든公心이라警察之務에熱心奮力야九時內에賊漢을捉得고該物을這這覔給시니民彦支保에幸莫이라莫知收謝와敬告于內外國民오니照亮소셔 仁港杻峴女裁縫...
    게재일1905년 12월 5일 | 기사분류광고
  • 本店에셔 陰十月卄四日夜에 絹絨等物을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店에셔 陰十月卄四日夜에 絹絨等物을沒數逢賊엿新貨三百元價値라本港警署에告온바摠順朴淵圭氏와鄭學基氏此時民生이極度慘境에陷을憂뢰든公心이라警察之務에熱心奮力야九時內에賊漢을捉得고該物을這這覔給시니民彦支保에幸莫이라莫知收謝와敬告于內外國民오니照亮소셔 仁港杻峴女裁縫...
    게재일1905년 12월 1일 | 기사분류광고
  • 本店에셔 陰十月卄四日夜에 絹絨等物을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店에셔 陰十月卄四日夜에 絹絨等物을沒數逢賊엿新貨三百元價値라本港警署에告온바摠順朴淵圭氏와鄭學基氏此時民生이極度慘境에陷을憂뢰든公心이라警察之務에熱心奮力야九時內에賊漢을捉得고該物을這這覔給시니民彦支保에幸莫이라莫知收謝와敬告于內外國民오니照亮소셔 仁港杻峴女裁縫...
    게재일1905년 12월 6일 | 기사분류광고
  • 本店에셔 陰十月卄四日夜에 絹絨等物을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店에셔 陰十月卄四日夜에 絹絨等物을沒數逢賊엿新貨三百元價値라本港警署에告온바摠順朴淵圭氏와鄭學基氏此時民生이極度慘境에陷을憂뢰든公心이라警察之務에熱心奮力야九時內에賊漢을捉得고該物을這這覔給시니民彦支保에幸莫이라莫知收謝와敬告于內外國民오니照亮소셔 仁港杻峴女裁縫...
    게재일1905년 12월 3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8)

  • ;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3895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44면 (2) 졸업생일람 탁;卓 고보4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태언;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39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0면 주태언;朱 제3회 1943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태언;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031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60면 주태언;朱 제12회 1946년 3월 2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론 공식 발표 보고 요청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론 공식 발표 보고 요청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68/03/28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3689] UNCUARK(유엔 한국통일부흥...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장관 | 수신자주일대사
  • 당이 발해국왕을 책봉하고 발해에 사신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번역】 봄 정월 초하루가 을묘일인 경오일(16) 의(義)를 발해국왕으로 책봉하고, 비서감 홀한주도독을 제수하였다. (『舊唐書』 15 本紀 15 憲宗 下) 【번역】 (원화) 8년 정월 원유의 아우 권지국사 언의를 은청광록대보 검교비서감 도독 발해국왕으로 제...
    대표표제어당이 발해국왕을 책봉하고 발해에 사신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13년(癸巳/신라 헌덕왕 5/발해 僖王 朱雀 2/唐 元和 8/日本 弘仁 4)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18)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밀직사에 소속된 관직의 하나. 밀직사는 중추원의 후신으로 원나라의 간섭으로서 변개된 것이다. 1310년(충선왕 2) 승지를 으로 개칭, 1354년(공민왕 3) 우·좌과 우·좌부의 4이 모두 녹관이 되었고, 1362년 모두 정3품으로 정해졌다.

  • / 副 [정치·법제/법제·행정]

    치와 함께 부활되었다. 1369년 또다시 부승선으로 바뀌었다가 뒤에 부으로 되었다. 1433년(세종 15) 좌부승지·우부승지·동부승지가 두어지면서 완전히 혁파되었다.

  • 좌부 / 左副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왕명의 출납 및 숙위·군기의 정사를 관장하던 밀직사의 정3품 관직. 1310년(충선왕 2) 좌부승선의 후신인 좌부승지를 개칭한 것이다. 1356년(공민왕 5) 좌부승선, 1362년 좌부, 1369년 좌부승선, 뒤에 다시 좌부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이

  • 노걸해 / 老乞 [언어/언어/문자]

    고려시대부터 전해온 중국어 학습서인 『노걸대』 언해서. 사절의 왕래나 상인의 교역에 필요한 중국어 회화책이다. 작자와 간행연대는 미상이나 『통문관지(通文館志)』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 현종 때 정상국(鄭相國)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책은 이에 앞서 간행된 최세진(崔世珍)

  • 신석노걸해 / 新釋老乞 [언어/언어/문자]

    이 1763년에 운각(芸閣:교서관)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이 중 유독 『신석노걸해』만이 부재하는 사실이 기이하다. 틀림없이 변헌은 한어본(漢語本)만 수정, 간행하였고, 언해본은 그 이전부터 내려오던 판본을 그대로 사용하였거나, 현존 『중간노걸해』와 차이가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