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심원” 에 대한 검색결과 3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3)

사전(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폐지하고, 구재판소(區裁判所)‧지방재판소‧공소원(控訴院)을 두어 1908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게 하였다. 이 때 은 새로운 3심4계급제의 최고‧최종심이었다. 지방재판소나 공소원의 제2심 판결에 대해서 상고심, 공소원의 재판에 대해서 항고의 재판권을 행사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 재판의 최고‧최종심을 맡던 최고법원.
    정의조선 말기 재판의 최고‧최종심을 맡던 최고법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aesimwon | MR표기Taesim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근대신어 : , 대법원()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9998 , 대법원 다항 在司法省內 은 사법성 안에 두고 泰西法律 漢城旬報 7 博文局 1883 12 1 24 :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 대법원()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9999 , 대법원 다항 上法官府라 상법관부(上法官府)라 中央은大統領의論事室과(上法官府라)을設고 중앙은 대통령의 집무실과 (상법관부(上法官府)라)을 설(設)하고 兪吉濬 西遊見聞...
    출전西遊見聞[交詢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 대법원()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0000 , 대법원 다항 을 立야 을 세워 황성신문 1906 5 5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3, 167면 :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帝國實業學會, 1922...
    출전황성신문 | 계통분류 [정치경제] 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257)

  • 控訴院長, 判事土井庸太郞補大邱控訴院長, 檢事黑川穰補大邱控訴院檢事長, 檢事向井巖補平壤控訴院檢事長, 判事中山勝之助補部長, 判事鳥山虎也太補大邱地方裁判所長, 檢事吉田雄六郞補大邱地方裁判所檢事長, 檢事膳鉦次郞補檢事。
    출처전거純宗實錄 | 지역분류도암(島巖)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조선에서 외국인 치외법권 폐지에 관한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A.9828 보고 조선 법부차관과 장이 조선 내 외국인 치외법권 폐지 관련 논의를 위해 도착했다는 보도. 그러나 반관신문 재팬 타임즈는 시기상조라고 반박보도하면서도 조만간 폐지해야 한다고 시사함. 법부차관, 장, 외국인, 치외법권, 폐지,...
    대표표제어조선에서 외국인 치외법권 폐지에 관한 보고 | 발신자몬트겔라스 | 수신자뷜로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 산 소송(山訟)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2_0756 산송 판결등본 () 민사부 산 소송(山訟)에 관한 건 융희(隆熙) 2년 보제156호, 융희(隆熙) 2년 민상제36호 1908년 10월 16일 중산승지조(中山勝之助), 홍우석(洪祐晳), 목산영수(牧山榮樹), 석천정(石川...
    재판기관대심원(大審院) 민사부 | 판결일자1908년 10월 16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소금값(鹽價) 소송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2_1925 물품 및 물품가 판결 () 민사부 소금값(鹽價) 소송에 관한 건 융희(隆熙) 3년 민상제39호 1909년 04월 26일 중산승지조(中山勝之助), 홍우석(洪祐晳), 함태영(咸台永), 목산영수(牧山榮樹), 석천정(石川正) ...
    재판기관대심원(大審院) 민사부 | 판결일자1909년 04월 26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산 소송(山訟)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2_0757 산송 판결 () 민사부 산 소송(山訟)에 관한 건 융희(隆熙) 2년 민상제36호 1908년 10월 16일 중산승지조(中山勝之助), 홍우석(洪祐晳), 목산영수(牧山榮樹), 석천정(石川正), 함태영(咸台永) 번역관(?...
    재판기관대심원(大審院) 민사부 | 판결일자1908년 10월 16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신문·잡지(19)

  • 韓國의司法制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월 일일 동경뎐보 본즉 한국 법졔도에 관 이등통감의 의견은삼군에 구판소 (區裁判所)하나식 두고 각도에 디방판소 두고 경셩에 공소원 (控訴院)과 ()을 셜치야 삼심졔도(三審制度)를 용다더라
    게재일1907년 9월 6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對△設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검 향판귀랑씨 한국복심원쟝으로 동경디방 판소검 쳔견륜랑씨 한국복심원챠쟝으로 뎡이 되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4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裁判制度의內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控訴院)과 () 을 둔다더라
    게재일1907년 9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출판경찰보 104호 한민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8년 12월 동경(東京)에 건너가, 익년(翌年) 1월 8일 오전 9시 45분 앵전문(櫻田門)에서 왜황(倭皇)에게 폭탄을 던진 뒤 체포되어, 그 해 9월 30일에 적 (敵 )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10월 10일 오전 9시 2분 시곡(市谷)형무소의 교수대에서 이...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04호 한민 | 출판물명한민(韓民)
  • 5 정만수 황해도인민위원회 워싱톤 (평양22일발 조선중앙통신)워싱톤발 따스통신에 의하면 금고형의 언도를 받은 11명의 미국공산당지도자들은 미국에 대하여 자기들의 사건을 재심의하여 줄 것을 정식으로 제의하였다.
    대표표제어황해인민보_1951_0625_04 | 책임주필정만수

기타자료(10)

  • 43-2. 별첨 2―통감부 공보에 게재된 '통감부 재판소'에 관한 칙령 제28조, 29조, 30조 번역문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통감부 재판소'에 관한 칙령 제28조, 29조, 30조 번역문 통감부 재판소, 칙령, 이사청, 메이지 42년, 공소원, 고등법원, 프랑스어(번역문) 4_CFD43-2.pdf (탈초)4_CFD43-2.pdf pdf 통감부 공보 프랑스...
    집필자통감부 공보 | 작성연도1913년 | 작성월일10월 21일 | 발신자M. 파이야르,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 46-1. 별첨 1―재판소구성법 반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소 구성, 융희 원년, 구 재판소, 지방재판소, 공소원, , 융희 2년 프랑스어(번역문) 3_CFD46-1.pdf (탈초)3_CFD46-1.pdf pdf 이완용, 조중응, 고영희 프랑스 외무부 관보 1912년 1월 16일 서...
    집필자이완용, 조중응, 고영희 | 작성연도1912년 | 작성월일1월 16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 7. 한국 병합에 대하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한일 병합 (암호 해독된 전보) 각하의 전보 제5호에 대한 답신입니다. 1907년 12월 27일의 법령은 1곳, 공소원 3곳, 지방재판소 8곳, 구(區)재판소 112곳의 설립을 예상했습니다만, 직원 모집과 적당한 건물 신축에...
    집필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9월 01일 | 발신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 79. 대한제국의 정치 상황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니다. 황제를 대한제국 권좌에 유지한 채 대한제국 정부를 없애는 것, 한국인 관찰사들과 관리들을 없애는 것, 대한제국의 을 없애고 일본의 이 대한제국을 관할하게 함으로써, 사법 사무를 본국의 사법 사무에 보다 더 긴밀하게 편입하는 것 등입니다. 그렇게 되면...
    집필자M. 파이야르,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8월 12일 | 발신자M. 파이야르,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 78. 대한제국에서 이루어진 발전을 요약한 소책자의 발송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000 이는 도(道)당 1천 명의 병력이 있음을 나타내며, 2백 명의 헌병이 곧 일본으로부터 증파될 예정입니다. 이 나라의 인구수에 비해 형무 관련 종사자 통계 수치가 높지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에 제가 이 점을 지적했을 때 원장 와타나베 씨는,...
    집필자M. 파이야르,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8월 04일 | 발신자M. 파이야르,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주제어사전(3)

  • /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재판의 최고, 최종심을 맡던 최고법원. 일제는 을사조약이후 우리나라의 법부와 재판에 대해 간섭, 1907년 12월 23일 새로 '재판소구성법'을 제정해 구재판소, 지방재판소, 공소원을 새롭게 두어 1908년 1월 1일부터 시행하였다. 이 때 은 새로운

  • 평리원 / 平理院 [역사/근대사]

    없게 되었다. 개화기 재판제도 중에서 최초의 일반적 상고심이었으나 주체적으로 운용되지 못하고 1907년 12월 23일자로 폐지되고, 대신 ()으로 개편되었다.

  • 함태영 / 咸台永 [역사/근대사]

    고 경미한 처벌을 받도록 하였다가 파면당하였다. 이후 고등재판소 검사, 평리원 검사, 법부 법률기초위원, ()판사, 복심법원(覆審法院)판사를 역임하면서도 강직함은 변하지 않았는데, 이 때문에 당시 집권층의 미움을 받아 면관(免官)·복직되기를 여러 차례 거듭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