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승불교” 에 대한 검색결과 2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3)

사전(14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불교 유파의 하나인 대승의 교법. [내용] 대승(大乘)이란 ‘큰 수레’를 뜻하는 범어 마하야나(Mahāyāna)의 한역어로 소승(小乘), 즉 히나야나(H○nayāna)에 맞서는 말이다. 운동이 일어났을 때 대승교도들은 스스...
  • 근대신어 : , 대승, 마가연나(摩訶衍那)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9993 , 대승, 마가연나 다항 摩訶衍那 마가연나 Mahayana 大乘 대승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134 신앙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신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원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84세설을 채택하고 있다. [학문세계와 사상] 그는 를 깊이 연구하고 강의한, 신라 최초의 학승이었다. 저술로 『여래장경사기(如來藏經私記)』 3권과 『여래장경소(如來藏經疏)』 1권 등이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 여래장 사상에 대...
  • 기신론(起信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104 문헌 기신론(起信論) 기신론 起信論 1, 2세기경 인도의 마명(馬鳴)이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의 개론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의 근본 뜻을 이론과 실천의 양면에서 이른 책이다. 석가모니가 열반에 든 후 6...
    유형분류문헌
  • 아미타경(阿彌陀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161 문헌 아미타경(阿彌陀經) 아미타경 阿彌陀經 아미타불 신앙을 설교하는 경전(經典)의 하나. 1권. 정토종(淨土宗) 소의경전(所依經典)인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중의 하나이다. 『일체제불소호염경(一切諸佛小護念...
    유형분류문헌

고서·고문서(18)

  • 維摩經사전 上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維摩經사전 上 인문학 불교학 기타불교학 維摩經사전 上 정암 지음 하늘북 서울 2009 유마경; ; 구마라습; 재가주...
    대표표제어維摩經사전 上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불교학 | 소분류기타불교학
  • 유마힐경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유마힐경 인문학 불교학 기타불교학 유마힐경 구마라습 鳩摩羅습 선학원 서울 1960 유마힐경; ; 팔만대장경; 난해어...
    대표표제어유마힐경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불교학 | 소분류기타불교학
  • 고구려의 북위(北魏) 조공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던 오아시스 국가로 호탄(Khotan)을 가리킨다. 한나라 시기 유명한 서역 36국 중의 하나로서 현재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허톈지역에 해당한다. 실크로드 남로의 중요 도시로서 동서무역의 거점이었다. ()가 번성하여 『화엄경(華嚴經)』 등의 불교경전이...
    권차『冊府元龜』 卷969 外臣部 朝貢2 | 연도466년 | 기사해제466년 고구려가 북위에 사신을 보내 조공한 기록이다.
  • 고구려·백제·신라가 당에 조공함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을 가리킨다. 한나라 시기 유명한 서역 36국 중의 하나로서 현재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허톈지역에 해당한다. 실크로드 남로의 중요 도시로서 동서무역의 거점이었다. ()가 번성하여 『화엄경(華嚴經)』 등의 불교경전이 이곳을 거쳐 중국으로 전래되었다....
    권차『冊府元龜』 卷970 外臣部 朝貢3 | 연도642년 | 기사해제정관 16년(642), 삼국이 당에 사신을 보내 조공한 기록이다.
  • 문화생활 사찰 근대 경주 사진그림엽서 미상 미상 미상 석굴암을 소재로 촬영한 사진그림엽서 8장 1세트의 봉투이다. 경주 석굴암 내에 있는 부도로 조각된 문주보살상을 정면에서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주보살은 에서 숭배하는 보살의...
    자료명문주보살상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기초학문(2)

  • 의 이미지론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용주, 게재일 : 2010
    28229 박용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0 의 이미지론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고대 실크로드 경제권의 변화와 의 발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63182 한국연구재단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고대 실크로드 경제권의 변화와 의 발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

멀티미디어(102)

  • 정토_ 의 히든카드_2주차_1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 의 히든카드 3주차. 관음, 현세의 구원자 4주차. 지장시왕, 명부를 주관하다. 5주차. 다라니 신앙 6주차. 고대-불국토 신앙과 국가 7주차. 고려-불교의례의 설행과 기원 8주차. 조선-내세로 이어진 효 9주차. 조선-민간신앙의 융합과 불교화 16주차. 근
    강좌제목한국의 불교 신앙 | 강의자옥나영
  • 정토_ 의 히든카드_2주차_2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 의 히든카드 3주차. 관음, 현세의 구원자 4주차. 지장시왕, 명부를 주관하다. 5주차. 다라니 신앙 6주차. 고대-불국토 신앙과 국가 7주차. 고려-불교의례의 설행과 기원 8주차. 조선-내세로 이어진 효 9주차. 조선-민간신앙의 융합과 불교화 17주차. 근
    강좌제목한국의 불교 신앙 | 강의자옥나영
  • 정토_ 의 히든카드_2주차_3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 의 히든카드 3주차. 관음, 현세의 구원자 4주차. 지장시왕, 명부를 주관하다. 5주차. 다라니 신앙 6주차. 고대-불국토 신앙과 국가 7주차. 고려-불교의례의 설행과 기원 8주차. 조선-내세로 이어진 효 9주차. 조선-민간신앙의 융합과 불교화 18주차. 근
    강좌제목한국의 불교 신앙 | 강의자옥나영
  • 정토_ 의 히든카드_2주차_4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 의 히든카드 3주차. 관음, 현세의 구원자 4주차. 지장시왕, 명부를 주관하다. 5주차. 다라니 신앙 6주차. 고대-불국토 신앙과 국가 7주차. 고려-불교의례의 설행과 기원 8주차. 조선-내세로 이어진 효 9주차. 조선-민간신앙의 융합과 불교화 19주차. 근
    강좌제목한국의 불교 신앙 | 강의자옥나영
  • 정토_ 의 히든카드_2주차_5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 의 히든카드 3주차. 관음, 현세의 구원자 4주차. 지장시왕, 명부를 주관하다. 5주차. 다라니 신앙 6주차. 고대-불국토 신앙과 국가 7주차. 고려-불교의례의 설행과 기원 8주차. 조선-내세로 이어진 효 9주차. 조선-민간신앙의 융합과 불교화 20주차. 근
    강좌제목한국의 불교 신앙 | 강의자옥나영

연구과제(1)

  • 석보상절 권3,6,9,11

    한국 학술 번역사업 | Bella Pak |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 2021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3)

  • / [종교·철학/불교]

    1세기경에 일어난 불교의 한 종파. 대승이란 말은 큰수레라는 뜻으로 의 가르침은 모든 중생을 제도하는 큰 수레와 같다는 의미에서 나왔다. 는 중국, 한국, 티벳 등의 북방민족에 전파되었다. 의 특징으로는 이타행에 대한 강조를 들 수 있다.

  • 미륵보살 / 彌勒菩薩 [종교·철학/불교]

    의 보살. 미륵보살은 미래에 미륵불로 성불하여 중생을 제도하리라 믿었다. 미륵보살은 인도 바라내국의 바라문 가문에서 탄생하여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받고 미리애 성불할 것이라는 수기를 받은 후 도솔천에 올라가 설법을 하고 있다. 미륵신앙은 의 종말론적 구원

  • 능엄경 / 楞嚴經 [종교·철학/불교]

    경전 중의 하나. 마음이란 그 어느 곳에도 없음을 밝히고 깨달음의 본성과 과정, 여래장이 무엇인가에 관하여 설하고 있다. 10권으로 되어 있다.

  • 관음설화 / 觀音說話 [문학/구비문학]

    관음보살을 주인공으로 하는 불교설화. 관음보살 설화는 의 보살신앙에 근거하여 등장한 설화이다. 관음보살의 형상은 인도 마하라슈트라주에 있는 아잔타석굴(Ajanta Caves)의 관음보살 벽화로부터 비롯되었는데, ‘연꽃을 가진 인물’(Padmapāni, 蓮華手菩

  • 열반경 / 涅槃經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경전 가운데 하나. 소승불교와 의 <열반경>으로는 <불반니원경> 등이 있다. 에는 <대반열반경>이 있다. 주요내용은 석가모니의 입멸에 대한 것이다. 소승불교 <열반경>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전후하여 그의 행적과 최후의 가르침, 입멸 후의 슬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