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승기신론소” 에 대한 검색결과 1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7)

사전(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元曉思想 Ⅰ-世界觀-(李箕永, 弘法院, 1967) / 해동소 ≪대승기신론≫에 대한 원효(元曉)의 주석서. 2권. ≪기신론≫의 본문에 따라 일일이 해석을 붙인 책이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물 제1713호. 신라의 승려인 원효(元曉, 617-686)가 《대승기신론》을 해석한 주석서.
    정의보물 제1713호. 신라의 승려인 원효(元曉, 617-686)가 《대승기신론》을 해석한 주석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aeseung gisinnon so | MR표기Taesŭng kisinnon 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아란야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요한 곳에서 행하는 수행으로서, 처음 도를 닦는 사람들은 반드시 세속의 인연을 끊고 아란야에서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신라의 원효(元曉)는 『()』에서, “수행자는 아란야를 찾아 단정히 앉고 마음을 바로 가져야 한다.”는 『대승기신론』의 글을 해...
  • 기신론(起信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曉)가 주석한 『()』가 유명하다. 1461년 4월에 쓰시마에서 온 사신(史臣)이 도주 소 시게요시(宗成職)의 어미가 죽은 일과, 불이 났던 일, 그리고 여러 섬의 굶주린 무리가 장사꾼으로 둔갑하여 도둑질하러 나오려는 것을 달랜 일 등을 전하였다...
    유형분류문헌
  • 보림사사천왕상복장경전불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금강경(金剛經)』과 『법화경(法華經)』을 비롯한 경전류 불서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금강반야바라밀다경오가해(金剛般若婆羅密多經五家解)』,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권2~9, 『(...
    연계항목보림사사천왕상복장경전불서(寶林寺四天王像腹藏經典佛書)

단행본(1)

  • 별기 주석 [중국 강서성 한국학 교육시스템 구축 사업 | 南昌大學 (Nanchang University)]
    저자 : 謝飛 ... | 출판사 : 학자원 | 출판일 : 20241231
    釋於《大乘起信論》之《疏》,振古[ 振古:自古。《詩經·周頌·載芟》:“匪今斯今,振古如茲。”《文選·左思·魏都賦》:“兆朕振古,萌抵疇昔。”]凡有三品:曰法藏、曰慧遠[ 慧遠:淨影寺沙門慧遠。]、曰元曉,世謂之本《論》三師。就中,先二《疏》行於世年已尚矣,是機緣方熟也。今斯《疏》唯䎹[ 䎹:《玉篇...

기초학문(4)

  • 元曉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유진, 게재일 : 1996
    01015 최유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철학연구회 1996 元曉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c6b4
    유형논문 | 게재일1996
  • 종밀의 『』와 원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67830 한국연구재단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종밀의 『』와 원효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杏雨書屋所藏敦煌文獻『』(擬題,羽333V)について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1381 한국연구재단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2 杏雨書屋所藏敦煌文獻『』(擬題,羽333V)について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행우서옥본 『』와 진제 역서‧찬술서* - 담연의 『대승기신론의소』와 비교를 통해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7
    63045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행우서옥본 『』와 진제 역서‧찬술서* - 담연의 『대승기신론의소』와 비교를 통해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131)

  • ()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1 형태서지 元暁 撰 [新羅] [韓國] 京都 永田長左衛門 1696年(元祿 9) 2卷2冊 24.0...
    대표표제어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1 | 대표서명大乘起信論疏 | 한글서명대승기신론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2 형태서지 [元曉] [新羅] [韓國] 木版本 1695年(元錄 8) 2冊 T44, p.202. ;
    대표표제어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 | 대표서명大乘起信論疏 | 한글서명대승기신론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3 형태서지 元暁 [新羅] [韓國] 1696年(元禄 9) 2卷 T44, p.202. ; H1, p.69...
    대표표제어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3 | 대표서명大乘起信論疏 | 한글서명대승기신론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4 형태서지 元暁 [新羅] [韓國] 1696年(元禄 9) 2卷 T44, p.202. ; H1, p.69...
    대표표제어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4 | 대표서명大乘起信論疏 | 한글서명대승기신론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5 형태서지 元曉 撰 [新羅] [韓國] 木版本 京都 井上忠兵衛 1696年(元禄 9) 2冊 2...
    대표표제어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5 | 대표서명大乘起信論疏 | 한글서명대승기신론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불교]

    원효가 <대승기신론>에 단 주석서. 그 구성은 종체를 밝힌 부분과 제목을 해설한 부분, 본문의 귀절을 해설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일심, 중생심을 중심으로 만법을 설명하였다. 새로이 진여의 세계에 도달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 아란야법 / 阿蘭若法 [종교·철학/불교]

    불교에서 행하는 고요한 곳에서 도를 닦는 불교 수행방법의 하나. 아란야법은 고요한 곳에서 행하는 수행으로서, 처음 도를 닦는 사람들은 반드시 세속의 인연을 끊고 아란야에서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신라의 원효(元曉)는 『()』에서, “수행자는 아란

  • 대승기신론별기 / 大乘起信論別記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대승기신론』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원효는 『대승기신론』에 대해서 8종의 주석서를 남겼는데, 이 중 현존하는 것은 『()』와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 뿐이다. 『대승기신론』은 5분(分)으로 구성되는데

  • 기신론별기 / 起信論別記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대승기신론』을 논리정연하게 해설한 불교서. 원효는 『기신론』에 대해서 5부의 저술을 남겼는데, 현재 『()』와 이 책만 전하고 있다. 이 책은 『기신론』의 5장인 ‘인연분(因緣分)’·‘입의분(立義分)’·‘해석분

  • 통도사경판 / 通度寺經板 [언론·출판/출판]

    ()』·『금강경(金剛經)』은 사교과에 포함된다.